이 검은 버섯을 보니 기형도 시인의 '입 속의 검은 잎'이 생각난다. 음식은 인간 생존에 밀접하게 닿아있고 거기서 사람들은 몽상을 하기도 하고 알 수 없는 성취감을 느끼기도 한다.


여림 시인은 시만 쓰다가 하루를 어떻게 보낼 것인가, 생계가 아닌 생존에 부딪히면서 하루를 견디다가 죽고 말았다. 그의 찬란한 시들을 친구인 시인이자 대학 교수인 ###이 여림 시인의 시들을 묶어서 시집으로 출판을 했다.


코로나 이전에는 마스크를 쓰는 것은 미세먼지 때문이었다. 미세먼지는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사람들에게 상처를 준다. 지금 내가 타인에게 받은 상처는 내가 누군가에게 준 상처보다 덜 하기 때문에 이렇게 아무렇지 않게 살아가고 있을지도 모른다.


이런 글을 신형철의 글에서 본 것 같다. 신형철의 평론을 읽으면 평론도 문학이 된다는 것을 느낀다. 신형철 이전에 먼저 평론이 문학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람이 있었다.


89년 문지에서 나온 ‘입 속의 검은 잎’라는 시집이 있다. 바로 기형도의 시집이다. 이 시집의 제목은 기형도가 지은 것이 아니다. 다 알겠지만 기형도는 자신이 적은 시를 아기처럼 안고 출판의 길로 가던 도중 제목도 짓지 못하고 그대로 죽음을 맞이했다.


기형도의 이 시집의 제목은 문지에서 활동하는 평론가 김현 선생이 지었다. 이 김현 평론가의 평론을 듣던 80년대 대학생들은 딱딱할 줄로만 알았던 평론이 문학이 된다는 것을 느꼈다.


기형도가 파고다극장인가 종로의 심야 극장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했을 당시 김현 평론가가 기형도의 가방을 보니 시집을 내기 위한 시들이 있었다. 그때 그 시들을 보고 김현 선생이 ‘입 속의 검은 잎’이라는 제목을 붙여 시집을 출간했다.


잎은 혀를 말하며 그 혀는 이미 검게 되었고 그 입은 죽은 자의 입속을 말하는 것이다. 기형도와 기형도의 시를 한 마디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와 그의 시를 말하자면,


두터운 모호함, 이성의 손길로도 잡히지 않는 무의식의 신호, 예측 불가의 미지를 향한 구애, 두려움의 대상인 낯선 것들에 대한 애정, 우리는 어둠 속 미아로 헤매는 존재, 죽음과 상실을 미치도록 탐닉했던 시인과 시였다. 유난히 기형도의 젊은 죽음은 비극적이다.


기형도의 시는 기형도의 몽상과 심연에서 나온다. 고 생각이 든다. 김현 평론가가 이런 기형도의 내면을 들어가 본 것처럼 알고 제목을 ‘입 속의 검은 잎’으로 지은 것은 김현 평론가 역시 기형도와 같은 병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은 상태였기 때문이다. 기형도의 시가 세상에 나온 그다음 해 김현 평론가도 기형도를 따라갔다. 김현 선생은 기형도를 무척 좋아했다.


기형도의 정거장에서의 충고를 읽으면 인간은 사실 더 이상 갈 곳이 없는 존재 같은 기분이 든다.


인간은 어떤 극단적인 일을 당하지만 조금 지나면 허기짐을 참지 못하고 배를 채우는 것에 달려드는 존재다.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망각으로 인해 내가 누군가에게 상처를 줬다는, 피해를 주고 있다는 것을 잊어버리게 된다. 특히 요즘 뉴스를 보면 그런 사람들이 잔뜩 나온다. 우리는 대체로 우주의 중심은 ‘나’라는 이기적인 생각이 강하다.


‘나’가 중심이 아니라 ‘우리’라고 느낄 수 있게 시는 그 길을 인도해준다. 기형도의 정거장에서의 충고를 읽으면서 어디에 와 있으며 어디로 가야 하는지, 그리고 갈 곳이 없음에도 버스에는 계속 사람들이 올라타는 것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정거장에서의 충고>

미안하지만 나는 이제 희망을 노래하련다

마른 나무에서 연거푸 물방울이 떨어지고

나는 천천히 노트를 덮는다

저녁의 정거장에 검은 구름은 멎는다

그러나 추억은 황량하다, 군데군데 쓰러져 있던

개들은 황혼이면 처량한 눈을 껌벅일 것이다

물방울은 손등 위를 굴러다닌다, 나는 기우뚱

망각을 본다, 어쩌다가 집을 떠나왔던가

그곳으로 흘러가는 길은 이미 지상에 없으니

추억이 덜 깬 개들은 내 딱딱한 손을 깨물 것이다

구름은 나부낀다, 얼마나 느린 속도로 사람들이 죽어갔는지

얼마나 많은 나뭇잎들이 그 좁고 어두운 입구로 들이닥쳤는지

내 노트는 알지 못한다, 그 동안 의심 많은 길들은

끝없이 갈라졌으니 혀는 흉기처럼 단단하다

물방울이여, 나그네의 말을 귀담아들어선 안 된다

주저앉으면 그뿐, 어떤 구름이 비가 되는지 알게 되리

그렇다면 나는 저녁의 정거장을 마음속에 옮겨놓는다

내 희망을 감시해온 불안의 짐작들에게 나는 쓴다

이 누추한 육체 속에 얼마든지 머물다 가시라고

모든 길들이 흘러온다, 나는 이미 늙은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21-10-07 14: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얼마전 치과 치료를 받으며 혀에 대한 생각을 새삼 다시 하게 되었어요.
제 혀가 제 말을 안 들으니 정말 난감했지요. 기형도의 시를 생각하며...
페이퍼 잘 읽고 갑니다.

교관 2021-10-08 13:09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