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는 내가 좋아하는
요소로 꽉 찬 영화다. 달리기와 소설. 이 두 주제가 이 영화를 가득 채우고 있다. 타치바나는 늘 달린다. 왜 그렇게 매일 달리는 거야?라는
물음에 대답은 딱 정해져 있다. 달리면 기분이 좋기 때문이다. 인간은 누구나 달리지 못하는 날이 오기 때문에 달릴 수 있을 때 그 기분 좋음을
잔뜩 느끼는 것, 그것이다. 매일 숨을 할딱거리며 여기서 저기 끝도 보이지 않는 곳을 달리다 보면 여름에는 자칫 데드포인트까지 도달하는 아찔함도
느낄 수 있다. 꼭 약을 해야만 그런 기분을 느끼는 건 아닌 것 같다
그리고 또 다른 주인공 콘도
마사미는 이혼 남에 책을 너무너무 좋아하고 글을 쓰고 싶어 소설가의 꿈을 지니고 있지만 늘 좌절하고 만다. 하는 일은 패밀리 레스토랑의 점장.
손님들에게 맨날 굽신거리기만 하고 허술하고 꿈도 희망도 없지만 시간만 나면 책이 가득한 곳에서 자신을 돌아보는 그런
남자다
그런 이혼남에 별 볼 일 없는
아저씨를 좋아하는 육상 유망주였던 고등학생 타치바나의 이야기가 이 영화다. 타치바나는 일본 여학생 중에 가장 빠른 기록 보유자이지만 아킬레스건이
끊어짐으로 달리기를 포기하고 만다. 그렇게 좌절을 겪는 여고생이 좌절을 겪어버린 이혼남을 좋아하는
이야기
영화에는 좋은 대사가 나온다.
책은 일방적으로 추천받아서 읽는 건 아니야, 그 책이 안 맞으면 계속 읽는 게 고통이 되거든.라는 대사가 나오는데 나에게 책을 추천해 달라고
하면 늘 집에 책이 있으면 그걸 읽으라고 해버리는데 이런 이유다. 책을 추천해 달라는 것만큼 좀 이상한 건 없는 것 같다. 책을 추천하는 건
음식을 추천하는 것만큼 쉬운 일은 아닌 것 같다
이 영화에 대해서 평론가보다
일반인이 더 멋진 댓글을 남겼는데 평론가는 여고생과 이혼남 아저씨의 어쩌구 하는 식으로 댓글을 남겼다면 어떤 일반인은 ‘이 영화의 주제는 이혼남
아저씨와 여고생의 사랑이 아니라 좌절에서의 회복이다’라는 댓글을 남겼다
아마도 평론가는 달린다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소설을 쓰고 읽는다는 것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