션 베이커는 플로리다 프로젝트의 감독이다. 플로리다 프로젝트에 관한 리뷰는 짤막하나마 이전에 한 번 올렸기에 영화에 대한 언급은 피하고 션 베이커 감독이 이 영화에서 아이폰으로 촬영한 장면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한다

 

플로리다 프로젝트는 2018년에 나온 영화 중에 최고의 영화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버닝이 그랬고 로건이 그랬다. 션 베이커는 플로리다 프로젝트의 배우들을 한 배우를 빼고 몽땅 신인으로 촬영했다. 헬리(브리아 비나이테)는 션 감독이 그냥 인스타그램을 보고 뽑았다고 한다

 

모두가 신인인데 윌렘 대포 같은 명 배우를 집어넣은 것은 관객의 시선 때문이다. 여기 시네플레이의 블로그에서도 말하지만 스타의 힘을 이용하는 것은 보는 이들, 즉 관객의 시선을 션 감독은 생각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영화에서는 션 베이커가 마지막 무니와 젠시가 뛰어가는 뒷모습을 아이폰으로 촬영을 했다. 역설적이게도 카메라로 담은 이전의 장면보다 아이폰으로 담은 이 장면에서 우리는 그만 무니에게 이입이 되고 만다

 

무니가 웃으면 관객이 따라 웃게 되는데 그건 션이 카메라를 통해 감독이나 영화의 감정을 무니에게 강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무니가 표현하는 감정에 그냥 그대로 이입을 할 수 있었다

 

무니는 사실 불행을 모르고 지낸다. 무니를 괴롭히는 것도 없고 모든 것이 그저 신난다. 오늘은 무니가 무엇을 하며 신나게 노는 것일까. 카메라로 담은 무니의 일상을 보는 우리는 무니가 오늘도 침을 뱉을까? 그렇게 생각한다. 그런데 아이폰으로 촬영을 하면서 무니의 불행이 영화에 드러나게 된다. 무니의 불행을 이 작은 이상한 매체인 아이폰으로 그것을 브라운관 밖으로 끄집어 낸다

 

션 베이커는 이전의 영화 탠저린은 몽땅 아이폰으로 촬영을 했다. 그래서 탠저린이 좀 별로인가 한다면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우리가 생각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기존의 틀이 무너지고 있는 것은 이제 올림픽에 춤이 정식종목으로 들어가게 되고, 폰으로 영화를 촬영을 해도 감정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문학의 거장인 테오도르 칼리파티데스나 찰스 부코스키는 말년에 들어 글쓰기가 두렵다고 했다. 거침없고 막힘없이 글을 그동안 써왔던 테오도르가 그렇게 글쓰기에 겁을 집어먹은 것은 정신적인 에너지의 소진이라고 한다. 역시 찰스 부코스키 역시 자신의 마지막 저서인 ‘망할 놈의 예술을 한답시고’에 그러한 내용이 잘 나온다

 

거장들이 이렇게 어려움을 토로하는 것은 아무래도 기존의 글쓰기 방식으로 죽 끌고 온 것에 대한 한계를 느꼈기 때문이 아닐까. 34년생인 이어령은 아직도 글을 쓰고 있는데 그가 암에 걸렸어도 지속적으로 글을 쓰게 하는, 글을 쓸 수 있는 동력은 글을 쓰는 것에 있어서 변화를 받아들였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이어령은 모니터도 몇 대에, 가지고 있는 태블릿도 여러 대가 있으며 이 모든 것들이 자신이 글을 쓰는데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고 했다. 이미 그것이 오래 전인데 변화를 받아들임으로써 변함없이 글을 쓰고 있는지도 모른다

 

플로리다 프로젝트의 마지막 장면에서 션 베이커는 무니의 뒤를 따라가면서 아이폰으로 무니와 젠시의 달려가는 그 진동을 표현했다. 전혀 잡스럽지 않다. 그 장면을 통해 화면 밖의 우리는 드디어 무니의 불행을 감지하게 되었고 세상의 모든 무니에게 행복이 가득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비로소 가지게 된다

.

.

#션베이커 #플로리다프로젝트

#탠저린 #아이폰 #촬영

#씨네플레이 #블로그 #사진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