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오월이면 햇차를 맛보는 것 같다. 우전은 간신히 맛만 보고 올해는 세작으로 시작했다. 경제적으로 내게는 사치란 생각을 떨칠 수 없지만 혼자 누리는 이 사치를 그만두고 싶은 마음이 없다. 작년에는 맛이 깊고 향기로웠는데 올해는 매끄러운 단맛이 더하다. 문태준 시인도 차를 즐기나보다. 시인의 성품이나 글맛이나 차맛이 일품으로 동일하다.
햇차를 끓이다가
멀리 해남 대흥사 한 스님이 등기로 부쳐온 햇차 한 봉지
물을 달여 햇차를 끓이다 생각한다
누가 나에게 이런 간곡한 사연을 들으라는 것인가
마르고 뒤틀린 찻잎들이 차나무의 햇잎들로 막 피어나는 것이었다
소곤거리면서 젖고 푸른 눈썹들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차를 우려낼 때 “마르고 뒤틀린 찻잎들”을 가만히 들여다보노라면 정말 차나무에 처음 잎이 나던 순간들처럼 연둣빛으로 서서히 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차가 우러나기를 기다리는 그 짧은 시간은 온몸을 바쳐도 아깝지 않은 시간이다. 내가 도자기로 만든 찻주전자보다 유리유전자를 더 선호하는 까닭은 차가 우러나는 “간곡한 사연”과 보낸 이의 마음까지 같이 우러나는 것을 보고 듣고 맛볼 수 있기 때문이다. 수색은 이렇게도 맑은데 입 안 가득 번지는 향과 맛은 대체 어디서 오겠는가?
사람들을 만나다보면 밥맛 나는 사람, 술맛 나는 사람, 차를 같이 하고 싶은 사람이 각각이다. 이상하게도 술 마시는 사람들과는 차를 마시는 일이 거의 없는 것 같다. 밥을 먹고 나면 차를 마시게 마련이지만 이때 차를 마시는 것은 그저 이어지는 코스의 한 형식이기 쉽다. 차를 마시기 위해 밥을 같이 먹을 수 있는 사람. 차를 마시다가 식사로 이어지고 그냥 헤어지는 것이 아쉬워 다시 찻집을 찾게 되는 사람. 이런 사람 갖고 싶다.
문득 고즈녁한 찻집에서 향기와 맛과 시간을 나누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참으로 행복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들은 아마도 서로에게 향기와 맛을 나눠주기 위해 오랜 시간 찻잎처럼 외로움으로 건조되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찻잎이 따뜻한 물을 만나 향기로워 지듯이 그들도 서로에게 젖어 향기로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