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길에 반하다 - 가벼운 걷기에서 울트라 도보까지
유혜준 지음 / 미래의창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어릴 적부터 멀미가 심했던 탓에 나는 차 타기보다 걷기가 좋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는 '걷기를 좋아해'라고 말할 엄두를 내지 못하겠다. 하루에 10킬로미터를 훌쩍 넘게 걷는 지은이의 기세는 물론이거니와, 그보다 더 기가 죽은 건 내가 걸었던 길조차 그녀의 걸음을 좇다보니 영 낯설기만 한 것이다. 걷는 데도 '도'가 있구나, 처음으로 그런 생각이 들었다. 

책을 읽으면서 제일 반가웠던 건, 내가 엄두도 낼 수 없는 먼 길이 아니라 언제든 맘만 먹으면 갈 수 있는 길들이 소개된 점이다. 걷기 여행이 유행하면서 책도 여러 권 나왔지만 그 책들을 보면 나와는 영 거리가 먼 느낌이 들어 좌절감에 사로잡히곤 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는 여러 번 "나도 여기 아는데!" "나도 가봤는데!" 하며 반가워하곤 했다. 그만큼 서울 사는 내게 익숙한 길들이 나온다.  

그런데 그 익숙한 길들이 지은이를 따라 걷다보면 왜 이리 낯설게 느껴지는지. 분명 나도 걸었던 길들인데 나는 그저 스쳐지나간 길을 그녀는 꼼꼼히 살펴보고 담담하게 전해준다. 화려한 미사여구도, 과장된 감탄사도 없이 담백하게 쓴 문장 속에서 낯익은 길들이 새삼스런 모습으로 다가온다. 그걸 발견하는 기쁨이 만만치 않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은 길에도 해당된다는 걸 이 책을 읽고 알았다. 내 옆에 있지만 내가 모르고 스쳤던 길들에 새삼 눈이 뜨이고, 그 길들처럼 묵묵하게 다가오는 책의 문장들에 마음이 젖는다.  

맑은 가을, 나도 도시락 싸들고 지은이를 따라 걷고 싶다. 그래서 마음 속에 호젓한 길 하나 내고 싶다. 그 길에서 꿈꿔왔던 만남까지 이룬다면 더 바랄 게 없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랑세기, 또 하나의 신라 - 고려인이 쓴 삼국사기를 넘어 신라인의 눈으로 바라본 신라
김태식 지음 / 김영사 / 200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쓴 김태식은 전문 역사학자가 아니다. 그런데 화랑세기에 관해 읽은 책들 중 나는 이 책이 제일 좋았다. 역사학자나 국문학자들이 쓴 책을 보며 느꼈던 지나친 조심성과 상상력 부족을 김태식은 상당 부분 극복해 있었다.  

<화랑세기> 위작설에 대해선 문서 자료는 물론 경주 월성 현장 발굴을 증거로 설득력있게 비판하고 있으며. 위작설 주장자들에게는 신랄한 공격도 서슴지 않는다. 논쟁이 되고 있는 역사를 다룰 때 이런 재미도 빼놓을 수 없는 것이니, 인신공격만 아니라면 독자를 즐겁게 한다. 특히 <화랑세기>에 실린 미실의 향가에 대해 김완진 교수 등이 제기한 위조설이 어떻게 나왔는지를 소개한 부분은 어지간한 드라마보다 재밌다. 학자들에게 조심성은 필수불가결하지만 새로운 자료에 대해 거의 냉소적으로 보이는 태도에는, 자신의 수십 년 공부를 지키려는 완고함으로 비춰지기도 한다.  

아쉬운 점은 서술이 쟁점 몇 가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구성이 산만하고, 신라사에 대한 새로운 상을 잡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화랑, 원화, 그리고 미실로 대표되는 대원신통 여성들의 역할 등에 대해 단편적인 서술만 있는 점이 아쉽다. 미실이 화랑과 특히 밀접했고 원화를 부활시킨 것은, 신라의 '선도'와 관련하여 미실계 여성들의 역할과 화랑에 대해 새롭게 사고하게 하는데, 그런 점이 더 탐구되었으면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그다드 동물원 구하기 - 그가 구한 것은 동물원이 아니라 ‘하나의 세계(The Earth)’였다!
로렌스 앤서니 지음, 고상숙 옮김 / 뜨인돌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미국이 이라크를 침공했을 때 바그다드 동물원에 갇혀 죽어갈 동물들을 구하러 간 사람이 있다고 한다. 전쟁이 터지면 당연한 듯 사람이 죽을 일만 생각하던 내게는 그 자체가 충격이었다. 그래, 우리에 갇힌 동물들은 도망도 가지 못한 채 포탄 소리에 떨다가 속절없이 죽어가겠구나. 뒤늦게 죄책감을 느끼며 이 책을 보았다. 그런데 철저히 미국의 시각에 선 저자의 글쓰기가 몰입을 방해한다. 아니, 몰입은커녕 나중엔 읽기가 힘들 정도였다.  

남아공에서 자연공원을 운영하던 로렌스 앤서니는 이라크 전쟁의 참상을 텔레비전으로 보고 바로 바그다드로 떠난다. 전쟁의 틈바구니에서 죽어갈 동물원의 동물들이 걱정되었던 것. 온갖 빽을 동원해 바그다드에 도착한 로렌스는 몇 마리 남지 않은 동물원의 실태를 목격하고 충격을 받는다. 그리고 동물원을 지키던 부원장 하샴과 힘을 합해 동물원 구하기에 나선다.  

이야기 자체는 재미있다. 하지만 지나치게 부풀린 글쓰기, 넘칠 정도의 미국식 유머, 그리고 이런 비극을 불러온 전쟁과 인간의 이기심에 대한 깊은 통찰과는 거리가 먼 단순한 사고 등등이 책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무엇보다 동물을 보호한다는 그의 가치관 자체가 어쩌면 동물에 대한 인간중심적 이용의 출발은 아닌지 의심스러운데, 유감스럽게도 그는 단 한번도 이런 의심을 하지 않는다. 그래서일까, 그가 구한 것은 동물도 이라크 동물원도 아니고, 명예욕에 가득한 그 자신인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기 사람이 있다 - 대한민국 개발 잔혹사, 철거민의 삶
강곤 외 지음 / 삶창(삶이보이는창)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가슴이 아파서 읽기 힘들고 글자가 빼곡해서 읽기 힘들고, 그래도 알아야 할 현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핑퐁
박민규 지음 / 창비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민규는 나를 설레게 한다. 그의 문체와 상상, 그리고 요즘 보기 드문 완강한 현실주의(사실주의와 오해말길)까지 모두 나를 감탄시킨다. 그런데 그 때문인지 그의 책을 읽기 전에는 자꾸 망설인다. 준비됐나 싶을 때까지 기다린다. [핑퐁]은 너무 긴 워밍업 끝에 만난 책이다. 

아주 슬프고 끔찍한 이야기다. 그리고 스케일이 다른 상상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더 감탄스러운 것은 현실을 물고늘어지는 작가의 집요함이다. 중반 이후에는 그 집요함이 좀 버겁게 느껴지기도 했다. 하지만 역시 박민규다. 최근에 읽은 그의 단편이 좀 실망스러웠기 때문에 이 책은 더욱 반갑게 여겨졌다. 매너리즘을 모르는 그의 글쓰기에 존경을 보낸다. 그러니 부디, 절대 이 글쓰기를 이어주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