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다섯의 사춘기 - 일, 사랑, 결혼, 인간관계, 내 인생에 다시 입 맞추고 싶은 서른 너머의 성장통
한기연 지음 / 팜파스 / 2017년 10월
평점 :
절판


어리면 어리다고 힘들고 나이가 먹으면 나이가 먹었다고 힘들다고 한다.

일이 어려우면 어려워서 힘들다고 하고, 일이 쉬우면 지루해서 힘들다고 한다. 아마 잘은 모르겠지만, 인간이란 존재는 존재하는 것 자체가 힘겨운 존재가 아닐까 싶다. 


그렇지만, 그런 힘겨움 때문에 인간의 삶은 재미있기도 하다.

힘겨움 속에서 인간은 혼자 이겨내기보다 다른 사람들과 경험을 공유하고 협업을 하면서 생존을 모색했고, 그 덕에 생존가능성을 높일 수 있었다. 


이 책을 읽는 것도 마찬가지다. 

20대 때는 아프니까 청춘이다고 했겠지만, 

30대에선 청춘도 아니고 그렇다고 장년층도 아닌

애매한 시기가 된다. 

그 속에서 직장생활, 결혼, 재산축적 등 삶에서 굉장히 중요한 것들을 해내야 하고, 그만큼 높은 경쟁과 스트레스를 경험해야 한다.


저자가 서른 다섯의 사춘기라고 책 제목을 지은건 이런 이유에서 지은것이 아닐까 생각해보기도 한다.


저자는 따뜻하지만 냉정하다. 서른살은 더이상 순진한 20대 청춘이 아니다. 냉혹한 세상에서 살아남고 자신을 지키며 미래를 대비해야 하는 시기란 점을 강조한다. 상대에게 잘해주라고 하지도, 무조건 용서해야 한다고 하지 않는다. 


자기 자신을 지키라고 한다. 

이기적으로 살라고 한다.

관계가 안될거 같거든 잘라내라고 한다.

두렵더라도 세상에 자기 자신의 중심을 세워보라고 한다.

흔들리더라도 때론 좌절하더라도 꿋꿋이 중심에 서보라 한다.


왜 이런 조언을 하는가? 저자는 상담심리를 하기 때문이다.

상담심리에서 중요한건 누구인가? 내담자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좋아질 수 있도록 하는게 우선순위 1번이다.

그러니, 다른 사람보다도 내담자가 좋아질 수 있도록 하는 조언을 줄 수밖에 없다.


그리고 내담자가 좋아져야 내담자를 둘러싼 환경도 좋아질 수 있다.

자기 스스로 너무 힘들어하는데 환경을 바꿀 수 있을까?

결국 스스로 편해져야 남들에게도 편해질 수 있다.


저자의 조언은 이런 점에서 냉정하지만 따뜻하고 

따뜻하지만 냉정하다.


스스로 변화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 저자의 조언을 들어볼 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