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떻게 프로그래밍 되었는가 - 한국인으로 태어난 우리를 지배하고 명령 내리는 것들
고진석 지음 / 갤리온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어떻게 프로그래밍 되었는가 라는 책은

사실 어떻게 정의내리기 힘든 서적이다.

철학서적 같기도 하고 한국 역사 비평서 같기도 하며,

불교서적 같기도 하고, 문명론에 관한 책인거 같기도 한

한마디로 쉽게 정리하면 인문학 서적이다.

서울대 전산학과-MBA코스를 밟은

인문학과는 많이 거리가 먼 전공을 공부한 저자가

이렇게 인문학적 소양을 보여준 것은

나에겐 신선했다.

약간 현학적인 말투인듯 하기도 하지만,

핵심적 개념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글을 잘 풀어내고 있다.

내가 생각한 이 책의 핵심 개념어는 다음과 같다.

우연과 필연

거시와 미시

서양과 동양

과거,현재,미래

이 4가지 라고 생각한다.

이 4가지들을 각각 따로따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잘 조합해서 아니 약간 어지러울 정도로 조합해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있다.

이 책에서 나는 저자의 솔직한 말투, 그러면서도 냉철하게 분석하려는 태도가

매우 좋았다.

그러면서도 참고도서를 잘 알려주어서 이 책을 다음에 다시 읽을때

도움이 될만한 책들도 잘 선정해주었다.

나는 지금 나자신에 대해 매우 궁금하다.

사춘기 시절에 해야할 고민들을 지금 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어쩔땐 사춘기에 대해 말하는 특징들중

자신을 탐색하는 시기 라는 말이 약간 불편할때가 있다.

살면서 자신을 탐색하는 시기는 사춘기에만 머물러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내가 생각하는 사춘기는

자신에 변화에 대해 그리고 자신에 대해 다른 시기보다 깊이 탐구하는 시기.

이정도가 좋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이렇게 나 자신에 대해 궁금했던 나에게 저자의 관점에서 본

사회분석과 철학,역사 분석 등으로 도움을 주었다.

이 책은 보통의 자기계발서나 청춘계발(청춘을 위한 위로서적 등)서적이 아니다.

하지만, 매우 추천할 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지식인들이 인문학과 고전을 말하면서

공부를 하여야 한다고 매우 강조를 한다.

그런데 사람들은 왜? 라는 질문을 한다.

그 질문에 답을 하여야 한다면 나는 이 책을 추천해주고 읽어보라고 할 것이다.

인문학은 돈이 많아서 공부하는 사치가 아니라,

자신의 마음에서 비롯되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공부하는 학문임을

이 저자는 알려주고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