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낭만전사 - 여자는 왜 포르노보다 로맨스 소설에 끌리는가? ㅣ 다윈의 대답 시리즈 6
도널드 시먼스.캐서린 새먼 지음, 임동근 옮김 / 이음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무언가에 어떤 기능이 있다면 그것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지, 아무런 소용도 없는 것이 비용을 낭비하면서 고안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연계는 물론이고 인간의 모든 행위에서 발견되는 경험칙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간 행위를 이루는 어떤 보편적 메커니즘이 있다는 것은 이 메커니즘을 생산했던 과거의 어떤 인지과정과 이 생산이 발생했던 환경들의 존재를 함축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전제하에 “인간의 심리적 적응도 일반적인 자연선택의 산물이다.”라는 진화론에 기초하여 현대사회의 논쟁적 이슈일 수 있는 ‘슬래시(slash) 소설'의 존재론을 고찰하고 있다.
즉 소년 또는 청년들 간의 연인관계 발전 모습을 그리는 남/남 커플의 로맨스 소설인 슬래시 소설이 왜 여성들을 위한 독자적 문학 장르로서 발생하고 확산되고 있는가에 대한 진화론적 탐색을 통해, 남성과 여성이 서로 다른‘짝 짓기’전략을 선택 할 수밖에 없었던 자연선택의 압력과 적응주의의 현상의 한 형태임을 추론하고 있다.
짝짓기에서 남녀가 서로 다른 방식의 선택압력을 받았다는 것인데, 바로 이 다른 압력에 적응한 남녀의 성적 심리에 그 차이가 뚜렷하게 각인되어 있다는 것이다.
1. 남녀의 짝짓기 전략
짝짓기는 모든 동물의‘재생산’전략이다. 수컷은 이 재생산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려면 어떤 방법을 취할까? 인간 수컷은 사실 재생산을 위해 거의 비용이 들지 않는다. 정자를 암컷에 주입하는 짧은 시간이면 충분하다. 이처럼 저비용의 재생산구조를 가진 수컷은 가능한 많은 수의 암컷과 관계를 통해 극대화하려는 전략을 채택한다.
그러나 인간 암컷이 이러한 전략을 택한다는 것은 거의 재앙에 가깝다. 임신하면 9개월 동안은 자신의 몸 안에서 태아를 키워야하며, 또한 출산하고서도 젖을 물려야 하는 등 얼마간의 양육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만일 신중하지 못하게 자신과 아이를 위해 충성하지 않는 수컷을 받아들였을 경우에는 자신의 아이의 생존은 물론 자신의 생존조차 위태롭게 되는 자멸이라는 위기에 처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 여성은 자원을 계속 제공할 수 있고, 자신과 자식에게 충성을 다할 남성을 선택해야 생식 성공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성에 대한 선택압이 달랐던 것이다. 남성에 비해 고비용 구조를 지닌 여성의 성은 아주 신중하게 자신에 적합한 남성을 찾고, 그에게 마음을 얻어 완전하게 자신을 위해 헌신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게 되었을 때 비로소 짝짓기에 이르는 전략을 취하게 되었다. 반면에 남성에게 있어서 짝짓기는 되도록 많은 수의 젊은 여성과 관계를 맺는 것이 생식 성공률을 높이는 것이다. 짝짓기는 이처럼 남녀에게 확연히 다른 압력이 주어졌고 이에 잘 적응하는 개체만이 자연에 의해 선택될 수 있었을 것이다.
여기에는 한 가지 모순이 있다. 가능한 많은 수의 짝짓기를 필요로 하는 남성과 자신과 자식만을 위해 헌신할 남성이 필요한 여성의 전략은 상충한다. 만일 한 여성만을 위해 충성하게 될 경우 남성이 부담할 위험은 증가한다. 여성이 낳을 자식은 확실히 그 여성의 자식이 분명하지만 그 자식이 남성의 자식일 확률은 보장되지 않는다. 만일 자기의 자식이 아님에도 충성하게 된다면 남성의 재생산성은 제로(zero)라는 재앙에 직면하게 된다. 결국 효과적인 남성의 재생산 전략은 자기 아내를 성적으로 독점하는 방식뿐이다. 오늘의 대다수 인간들이 1부1처를 유지하는 것이 근대적 이성과 법제도에 근원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선택압과 이의 적응이라는 진화적 산물임을 의미한다.
2. 슬래시(slash) 소설, 로맨스 소설과 포로노그래피
슬래시 소설이란 스타트렉(star trek)의 커크/스포크나 셜록홈즈의 홈즈/왓슨처럼 이름 사이에 사선을 그어 그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습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남/남 커플의 로맨스를 다룬 소설을 일컫는다. 왜 뜬금없이 슬래시 소설인가? 하는 의문이 들겠지만 이들 남자들의 동성애적 이야기가 여성들을 위한 고유의 장르로 부상하고 있는 것을 과연 진화론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가 하는 도발 때문이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여성문학인 로맨스 소설부터 그 특징을 알아봐야 하는데, 그래서 이 책은 여성들에게 가장 많이 읽힌 로맨스 소설들에 나타난 남성상과 여성의 심리를 통계학적 자료들을 통해 정리하고 있다. 그 결과는 우리의 상식을 전복시킨다. 자상하고 감수성 높은 남자? 아니다! 더구나 돈과 사회경제적 지위보다는 근육질의, 잘생긴, 힘센, 키가 큰, 햇볕에 그을린, 강하고 뻔뻔한 남자를 그리고 있더라는 것이다. 또한 여성 독자들은 성적으로 대담하고 자신만만하며 추진력이 있는 남자로서 여자 주인공의 사랑에 의해서만 길들여지는‘위험한 남자’(한국식으로 말하자면‘나쁜 남자’쯤 될까?)에 대한 판타지를 선호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로맨스 소설과 슬래시 소설이 어떤 관계에 있기에 여성들이 이 낯선 남/남 커플의 연애담에 빠지게 된다는 것일까? 남/남 커플 중 한 남자는 여성적 역할을 수행 한다. 그러나 우리도 알고 있듯이 스타트렉의 커크와 스포크는 물론 홈즈와 왓슨은 이성애자다. 그런데 이들을 주인공으로 한 슬래시 소설은 이들을 다중적 정체성(남성와 여성의 정체성을 모두 인식하는)이 가능한 이성애자로 그리며, 세상의 험난한 문제를 같이 해결하는 인생의 동반자라는 강한 우정으로 시작하여 서서히 미몽에서 깨어나 서로의 사랑을 깨닫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바로 이 점이 여성들을 매료시키는 요인이라고 한다. 여성 독자는 여성성을 보이는 남성 인물에 동질감을 느껴 자신과 동일시하며, 이성애자인 그 남성을 가질 수 있는 대상으로도 볼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로맨스 소설은 남성을 자기의 헌신자로 만들긴 하였지만 그 남성은 언제라도 타 여성과 관계를 가질 수 있으나 슬래시 소설의 남성은 서로 사랑을 깨닫기 전부터 이미 동지였으며, 바위 같은 토대로 영원히 이어지리라는 기대 때문에 더욱 안전한 낭만을 느낀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슬래시 소설은“여성의 기준에 맞게 남성성을 가상적으로 변형 시킨” 소설이라는 것이다.
점점 전통적 여성의 역할에만 머물지 않고 남성적 역할까지 함께하려는 여성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상이다. 다른 여성의 유혹을 극복하리라는 믿음을 가진‘짝 가치’가 높은 전사를 선택하는 오랜 짝짓기의 적응주의 산물은 이제 전사(warrior;戰士)의 부인보다는 동료 전사(co-warrior)라는 판타지를 선호하는 것이다. 이것이 슬래시 소설이 지니는 진화론적 유익성이다.
그렇다면 포르노그래피라는 스토리도 없고, 실제적 주인공의 시점도 없으며, 어떠한 감정적 교감도 없이 단지 성관계에만 몰두하는 시각적, 청각적 자극물이 남성에게 선호되는 이유를 이것이 남성성의 진화론적 적응의 산물임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어진다. 즉 가능한 많은 여성과의 성관계가 유익한 전략이었으므로 남성이 “저비용에 감정 없이”성교하는 것은 매우 적응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극단적인 남녀의 차이를 독해 해낼 수 있게 된다. 짝 짓기 행위가 여성에게는 신체적 반응이나 시각적 이미지가 아니며, 감정의 교환이라는 것임에 비해, 남성에게는 신체적 흥분이라는 성적 자극이라는 것이다. 결국 포르노토피아가 남성의 성적 환상이라면 “남성의 육체 위에서 남성 육체에 의해 행해지는 섹슈얼리티의 여성적 버전(version)”인 슬래시 소설은 이에 대한‘대응-판타지’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자연 선택이 짝짓기 선택의 맥락에서 짝 가치와 관련된 신뢰할만한 정보를 찾아내고 활용하기 위해 특화된 심리적 적응을 생산”했음을 새롭게 여성 독자층을 확산시키며 부상하는 슬래시 소설의 특징을 통해 주장하고 있는 이 다윈주의자들의 도발적 저술은 생명을 구성하는 문제해결의 진화론의 장치인 적응주의의 해석을 통해 인간 행위의 보편적 메커니즘을 흥미롭고 유쾌하게 풀어내고 있다. 사실 책의 후반부에 이르러 이들 주장을 뒷받침하는 자료나 입증이 흐지부지 사라지는 아쉬움을 느끼게 한다. 가설과 추정을 견고하게 해줄 연구가 완성되지 못한 미완성작이라는 느낌 말이다. 다만 이러한 미흡함에도 불구하고 남녀의 성(性) 선호와 행위의 차이에 대한 사회문화적(문학) 소재와 과학적 접근이라는 측면에서 새롭고 유익한 정보로서 유의미한 저술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