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의 추억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앉은 자리에서 쉼 없이 내처 읽을 수 있을 정도로 흡입력이 강한 작품이다. 욕망에 가려진 음울한 현실세계와 심리적 외상으로 이중적 정체성에 시달리는 인간 군상들의 두려움과 고통이 빚어내는 선과 악의 실체에 대한 연민의 시선이 아닐까. 탐욕과 악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인공도시, ‘뉴아일랜드’, 그리고 퇴락과 소외의 지역이 된 침니랜드라는 대조되는 세계, 트라우마의 탁월한 메타포, 신경을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스릴과 서스펜스가 조화를 이루어 지성의 환기와 감성을 동시에 충족시켜주는 크라임 스릴러 걸작이라 할 수 있다.

이들 두 세계의 물리적 공간을 구분하는 것은 좁은 해협이지만, 상시적으로 뿌옇게 드리운 안개 또한 서로를 분리하는 장치가 된다. 욕망과 이면의 추함, 그 사악함을 가려주는 천혜의 은폐물(隱蔽物)로서 완벽한 상징성을 확보한다. “이 도시의 사람들은 두 얼굴을 지녔어요. 어둠속에서 죄를 짓고 사람을 죽이지만 안개가 사라지면 해협의 물결처럼 아름답게 보이죠. ~ 어떤 것이 진짜 모습일까요?”이처럼 선(善)과 악(惡)은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그래서인지 주인공 ‘매코이’의 상태와 상치(相値)되어 정신적 분열을 앓고 있는 현대사회 모습의 다른 표현처럼 느껴진다.

마주하기 두려운 고통의 기억에 시달리는 매코이를 보면서, 문득 이러한 생각에 이른다. 도저히 참아낼 수 없는 아픔이 나의 몸을 누비면, 극한의 고통이 정신을 짓누르면, 나는 어떤 태도를 취하게 될까. 아마 도저히 피할 수 없는 통증이라면 정신 줄을 내 놓고 기절해 버릴 것이다. 기절도 할 수 없는 지속되는 아픔일 경우에는? 그럼 그 고통을 받는 것은 내가 아니라고, 다른 사람이 받는 것이라고 내 인격을 분리할 수 있다면 분리해 버릴 것이다. 그 고통을 받는 것은 내가 아닌 다른 녀석이라고. 이것이 바로 우리들의 모습일 것이며, 이러한 순간 인간이 필사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대응전략이 될 것이다.

과거의 아픔과 자기와의 관계를 송두리째 거부하는 사람, 그래서 아픔이 주체와 연결되지 못한 채 주체가 될 만한 나 아닌 다른 사람을 만들어 내야만 했던 그 사람에게 우린 악인이라 할 수 있을까? 안개 속에 가려진 두 얼굴, 아니 그 분열 된 초상은 우리들 자신의 모습이지 않을까? 연쇄살인을 정당화하고, 살인범을 변론하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또한 현대인들 모두를 몰아 댈 생각도 없다. 그러나 고통을 가한 주체에서 우리들과 우리들 사회의 책임을 배제할 수 있을까? 유별나게 특별한 놈이 저지른 정신질환적 범죄일 뿐이라고.

사실 이 작품은 이러한 곤혹스런 주제의식에 사로잡힐 만큼 느슨하지 않다. 시간적, 공간적 변화가 엄청난 속도감을 느끼게 한다. 게다가 심리분석관 ‘라일라’의 배치는 감성적 배려와 사건 전개의 세밀함 등에 관계하면서 보다 집중적인 게임으로 유도한다. 또한 작품 초입부터 퍼즐이 게재된 신문과 같은 암시, 매코이의 고양이‘애들레이드’, 왼손잡이에 대한 편견을 넌지시 던져 복선여부를 혼동하게하거나,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진행은 어느덧 나를, 뇌의 부신피질에서 마구 분비되는 에피네프린으로 교감신경이 극도로 흥분되어 백 미터를 전력 질주한 선수처럼 헐떡이게 할 정도이다.

작품의 배경인 두 세계와 이중 정체성에 시달리는 개인이 절묘하게 어우러져 궁극으로 지향되어야 할 타자에 대한 연민, 신뢰, 사랑의 지고한 덕목이란 주제를 유연하게 표현하고 있을 뿐 아니라, 장르적 요소를 통한 재미의 배가로 한국문학에서 장르와 주류의 경계에선 새로운 장을 개척하고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진정 소설이란 이런 것이다! 라고 갈채를 보내고 싶다. 『바람의 화원』에 이은‘이정명’의 또 하나의 역작(力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