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다와 독약 ㅣ 창비세계문학 28
엔도 슈사쿠 지음, 박유미 옮김 / 창비 / 2014년 2월
평점 :
어제 저녁에는 나탈리아 긴츠부르그의 <가족어 사전>을 마저 다 읽을 계획이었는데 사무실에 책을 두고 가는 바람에 급회전에서 2년 전 동네 책축제 때, 창비 정기구독을 하면서 서비스로 받아온 엔도 슈사쿠의 <바다와 독약>을 읽게 됐다. 창비 설렉션 중에서 내가 이 책을 고른 아마 가장 큰 이유는 얄팍한 두께 때문이 아니었을까. 여전히 창비만의 독특한 표기법이 눈에 거슬렸지만, 뭐 책 읽는 데 큰 지장은 없었다. 가뿐하게 무시해 버리면 되니까. 굉장히 무거운 주제였는데 술술 익히는 바람에 하루 저녁에 다 읽을 수가 있었다. 모든 책을 이런 속도로 다 읽을 수 있다면 참 좋겠지만, 현실은 너무 다르다.
소설은 초반에만 등장해서 이야기를 이끌어내는 도쿄 외곽에 사는 못 도매상이자 기흉환자인 ‘내’가 기흉 치료를 위해 만난 의사 스구로의 행적을 추적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촌마을 의사 스구로의 실력이 의심되지만, 공기 주입을 위해 주삿바늘을 찌르는 그의 냉철하면서도 정확한 솜씨에 의사로서의 온기가 느껴지지 않는다는 느낌이 묘하게 교차되면서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또 다른 한 축으로는 2차세계대전이 끝나고, 평온한 일상 가운데 주변의 보통사람들이 전쟁 중에는 지금과는 다른 얼굴을 가졌었다는 사실을 나레이터가 깨닫게 되는 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화자 역시 전쟁에 참가하긴 했지만, 끝무렵이라 난징대학살 같은 가증스러운 전쟁범죄에는 참가하지 않았던 것을 다행이라고 생각해야 할까.
나레이터 나는 우연한 기회에 자신을 치료하는 의사 스구로가 전쟁 중에 살아있는 미군포로를 생체해부한 전범이었고, 그 죄로 전후에 징역살이를 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리고 소설은 나레이터에서 소설의 진짜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닥터 스구로의 이야기로 전환된다. 그 후 나레이터의 역할이 소멸되면서 다시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그야말로 모두가 죽어가는 세상에서 외과학부생 스구로는 한 명의 생명이라도 살리기 위해 자신이 일하는 대학병원에 소개된 무료환자들을 돌보는 일에 여념이 없다. 특히 자신이 처음으로 맡은 ‘아지매’에 대한 애착은 주변 사람들을 불편하게 할 정도다. 이미 이때부터 자본의 힘은 사람의 생사여탈을 결정할 정도의 위력을 가지고 있었던 것일까. 한편, 미군의 계속된 공습으로 인근 F시(아마도 후쿠오카로 추정된다)가 전소되고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가는 상황을 목도하면서 젊은 의대 학부생 스구로의 양심은 흔들리기 시작한다.
게다가 의학부장 자리를 두고 암투를 벌이는 교수진의 모습을 통해 작가는 인간을 살리기 위해 존재한다는 의술의 본질이 무엇이냐고 독자에게 묻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하물며 독자도 이럴진대, 죽음의 소용돌이 속에서 악전고투를 벌이던 청년 스구로의 양심은 오죽했을까. 의학부장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무리하게 타베 부인 수술을 진행하던 하시모토 교수의 실수로 환자가 사망하자, 교수는 더 큰 무리수를 두기 시작한다. 아마 그들도 그 당시에 그런 결정이 후에 어떤 파국을 초래할지 몰랐으니까 그런 결정을 내렸겠지만. 그 결정은 포로로 잡힌 미군을 상대로 정말 끔찍한 생체실험을 하겠다는 것이다. 군의관과 군부까지 개입된 이 사건으로 전후에 열린 재판에서 관련자가 모두 처벌받고 주임교수는 자살했다고 신문기사는 전하는데, 엔도 슈사쿠 작가는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독자의 추론에 맡긴 것 같다.
한편, 제목에 등장하는 바다는 규슈 앞의 그것이다. 쉴 새 없이 쓸려오는 검푸른 빛깔의 바다라는 자연은 얼떨결에 생체해부팀 합류를 결정한 스구로의 양심을 묵직하게 타격한다. 그토록 자신이 살리려고 노력했던 아지매는 시바타 조교수의 결정으로 어차피 죽을 운명이니 성공확률이 지극히 낮은 수술에 동의하고 결국 폭격 와중에 자연사하고 만다. 동료이자 친구 고베 출신의 토다는 소설 후반에 드러나게 되지만, 이미 스구로가 갈등하는 양심하고는 거리가 먼 인물이다. 어쩌면 토다야말로 모두가 죽어가는 참혹한 세상에서 어떻게든 살아남아야겠다는 그리고 양심보다는 수치심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일본인을 상징하는 캐릭터가 아닐까. 들키지만 않으면 괜찮다는 비양심으로 무장된 토다는 자신의 절도를 다른 친구에게 뒤집어씌우고, 사촌과 간통하고, 자신의 아이를 가진 하녀의 위험천만한 소파수술을 직접 집도하고 내쫓아 버리는 냉혈한이다. 그렇기에 살아있는 포로들을 상대로 한 생체실험에도 벌벌 떠는 스구로를 대신해 나서는 모습을 보여준다.
소설에서 바다로 형상화된 자연이 스구로로 대변되는 양심을 대변한다면, 모두가 죽어가는 세상이라는 핑계로 양심을 마취시키고 비인간적 활동을 합리화시키는 일단의 의사들과 군부는 제목에 등장하는 독약이다. 어쩌면 전쟁이 그들을 그렇게 만들었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들이 만들어낸 같은 아시아 민족을 위한다는 대동아전쟁의 실체는 결국 침략전쟁일 뿐이고 궁극적으로 그들이 가해자라는 사실은 바뀌지 않는다. 결말 부분에 나오는 스구로 같은 개인이 그런 치명적인 독약이 조종하는 거대한 움직임에 할 수 있는 일이 아무 것도 없었다는 고백은 어쩐지 비겁한 변명처럼 들렸다. 그런 점에서 지금 같이 읽고 있는 나탈리아 긴츠부르크의 <가족어 사전>이나 페터 바이스의 <저항의 미학>이 그에 대한 답이 될지도 모르겠다는 그런 생각이 들었다. 문득 스구로의 양심을 그렇게 괴롭히던 규슈 앞바다가 보고 싶어졌다.
내가 처음으로 만난 엔도 슈사쿠 작가의 <침묵>에서 기리스탄과 후미에 서사를 통해 신의 섭리에 대한 도전을 만났다. 현실을 너무나 닮은 <바다와 독약>에서는 신이 부재한 세상에서 홀로 남은 인간의 양심은 어디로 가야 하는지 묻는다는 느낌이 들었다. 아무래도 <침묵>부터 다시 한 번 읽어야할 것 같다. 너무 무거운 주제에 한숨부터 나온다.
[뱀다리] 이 소설이 1986년에 영화로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한 번 보고 싶다. 냉혈한 토다 역은 와타나베 켄이 맡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