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벨문학상 작가지만 한국 출판계에서 철저하게 외면당한 루이즈 글릭)
지난주에 노벨문학상 발표가 났다.
생전 처음 들어본 작가가 상을 받았다.
지금은 탄자니아, 예전에는 탕가니카라고 불리던 동네에서 태어난 작가라고 한다.
이름은 압둘라자크 구르나. 1948년 12월 20일 생으로 우리 나이로는 73세다.
잔지바르 술탄국 출신으로 (만) 18세가 되던 해인 잔지바르 혁명으로 고향을 떠나 영국으로 망명했다. 그러니까 미스터 구르나는 난민이었던 것이다. 영국에서 학위를 받고, 나중에 은퇴할 때까지 교수직을 역임한 켄트 대학에서 서아프리카 소설 연구로 PhD 학위를 받았다.
유럽 쪽에서는 나름 알려진 작가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전혀 소개된 바가 없다. 그러니까 한 마디로 말해서 번역된 책이 하나도 없다는 말이다. 10편의 소설을 비롯해서 다양한 저술들이 있다.
이 시점에서 작년에 노벨문학상을 받은 사람이 누군가 싶어서 찾아보니...
미국 시인 루이즈 글릭이라고 한다. 더 놀라운 사실은 이 시인이 노벨문학상을 받은 지 일년이 다 되도록 단 한 권의 시집도 번역이 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놀랍지 않은가!
자그마치 노벨문학상 작가인데 말이다.
예전에 그렇게 말이 많던 밥 딜런의 책들도(아마 그가 쓴 책은 아니고 평전 그런 게 아니었나 싶다) 나왔는데 말이다. 명색이 노벨문학상인데 그렇다고 해서 그의 음반들을 사서 듣는 건 좀...
노벨문학상을 수여하는 스웨덴 한림원이 무슨 변명을 하더라도, 이번 수상 역시 정치적 논쟁에서 벗어날 수가 없을 것 같다. 성추문으로 노벨문학상이 거센 타격을 받은 후, 유럽 남성작가 위주라는 비판에서 벗어나기 위해 열심히 새로운 작가를 찾은 것으로 보인다. 미스터 구르카는 그런 점에서 아주 적당한 타협이 아닐까 싶다.

(미스터 구르나의 대표작들)
우선 그는 아프리카 출신 난민이다. 일단 제3세계 작가라는 점에서 득점이다. 유럽 작가들이 다 해먹는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우 수가 있다. 게다가 지난 8월 대규모 아프간 난민이 발생하게 되면서, 다시 한 번 난민 이슈가 부상되었다. 아니 아프리카 출신에 난민이기까지! 더 좋은 건 미스터 구르카가 모국어인 스와힐리어가 아닌 영어로 작품활동을 해왔다는 점이다. 세계 공용어인 영어를 사용하는 아프리카 출신 난민 작가라...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는 그런 선택이 아니었을까.
국내 출판계에서는 이런 추세를 미리 읽었다면 투자하는 셈치고, 이런 작가에게 투자를 했어야 한다. 당장은 돈이 되지 않더라도, 미래의 잭팟을 기대하는 심정으로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새로운 작가들을 발굴해서 한두 작품만 번역해서 출간했어도 가을 노벨문학상 특수를 제대로 누렸을 텐데... 우리 책쟁이들도 당장은 읽지 않더라도, 호기심 구매를 했을텐데 말이다.
노벨문학상 발표가 나자마자 오프라인 서점의 매대를 장식할 수 있는 영광은 올해에도 그렇게 날아가 버렸다. 매년 단군 이래 가장 어렵다는 신기록을 매년 갱신하고 있는 출판계가 적은 투자로 그야말로 대박을 터뜨릴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걷어차고 있는 건 아닌가 뭐 그런 생각이 문득 들었다.
[뱀다리] LA Times 추천 미스터 구르나 5 Books
1. “By the Sea” (2002)
2. “Gravel Heart” (2017)
3. “Admiring Silence” (1996)
4. “The Last Gift” (2014)
5. “Paradise” (1994)
과연 미스터 구르나의 10권의 소설 가운데 어떤 책이 가장 먼저 번역이 될지 궁금하다.
개인적으로 아마 부커상 최종심에 오른 <낙원>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