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내 신경을 쓰고 있는 일들 중 하나가 잘 해결되었다.  오늘 새벽에 바로 업데이트가 왔는데, 참 잘 됐다고 생각하면서, 남은 일들에 대한 좋은 전조로 해석하기로 했다.  


변호사라는 직업은 온갖 감정과 개인적인 감상을 배제하고 오로지 윤리와 법에 입각한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판단이 지배하는 것을 이상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막상 일을 해보면, 각각의 고객이나 케이스에 대하여 완전히 emotion을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  개인적인 변호사로서의 책임소재의 문제는 아니지만, 케이스가 잘 풀리는 것은 어떤 한 사람과 그의 가족의 삶에 있어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거나 골치아픈 일을 해결하는 의미 또는 그 이상 커다란 임팩트가 있기 때문에 일이 잘 풀리지 않거나 더디게 진전이 되는 경우 나 또한 굉장한 정신적인 피곤함을 느끼곤 한다.  


최악의 경우 당연히 변호사는 결과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그리고 그렇게 일을 추진하지도 않고, 계약하지도 않기 때문에 나의 경우 책임은 없다.  하지만, 결과가 안 좋게 나오면, 최대한 대안을 마련하여 궁극적으로는 일을 해결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마무리를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단순히 고객을 위하는 마음 뿐 아니라, 끝까지 최선을 다해 결과적으로는 고객이 원하는 것을 얻게 하는 것이 돈을 버는 것 이상 큰 기쁨으로 다가오는 것을 종종 느끼기 때문이기도 하다.  여기에 더더욱, 성격상 일이 안 풀려 좋지 못한 결과로 관계가 끝나면 아주 오랫동안 그 사실 자체가 나를 괴롭게 만들기 때문인데, 이래저래 좀 cool~하다면 cool하게, 아니면 아주 냉정한 계산으로 털어버리지 못하는 천품의 결함이 있다고도 말 할 수 있겠다.


on-going한 업무를 진행하는 것도 이제는 일상이고, 여기에 사무실이 잘 굴러가기 시작한 이래 지난 2년동안 쌓인 관리업무의 양도 무시할 수 없기에 이렇게 늘 계획대로 스케줄이 전개되지 못하고 갑작스럽게 하루를 빼앗기곤 한다.  그렇게 밀린 업무는 고스란히 주말이 저녁 시간대로 옮겨지는데, 지금은 어떻게든 주중에, 설사 매일 늦은 퇴근이라도, 일을 정리하여 주말에는 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말에 자꾸 해결하다 보니까, 주중에도 주말에도 쉬는 건지, 일하는 건지 알 수 없는 시간을 보낼 때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확실히 일할 땐 일, 놀 땐 놀아야 한다.


그간 작은 성공에 살짝 교만해졌던 것 같기도 하고, 조금 방만하게 행정적인 부분을 처리한 것 같기도 하다.  이번의 어려움은 그런 나를 다시 초심으로 돌리려는 좋은 nudging이라고 믿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yamoo 2016-05-01 23: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쿡은 모르겠습니다만, 우리나라 법조 시스템은 정말 무전유죄 유전무죄를 양산하는 거 같습니다. 전관 예우로 사람들을 연줄로 선별하여 법을 해석하는 게 아니라 사건에 법을 짜맞추어 입맞대로 양형을 하는게 정말 기도 안 찹니다. 학문적 체계만 그럴듯하지 법을 운용하고 법을 해석하는 게 너무 기득권 위주로 이루어지는 거 같아 되게 씁쓸합니다~

transient-guest 2016-05-02 00:23   좋아요 0 | URL
미국도 문제가 많지만, 한국만큼 말도 안되는 경우는 아니라고 봅니다. 전체적인 시스템의 운용도 그렇고, 법철학이나 사회적인 인식도 그래요. 저는 한국의 문제는 단지 법조계에 그치지 않고 시민의식 전반에 걸친 거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