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 (특별판)
로맹 가리 지음, 김남주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사실 김영하 작가의 팟캐스트를 듣기 전까지는 로맹 가리라는 작가가 있는 줄도 몰랐다는 것이 내 솔직한 고백이다.  그래도 어릴 때부터 책을 읽어왔기 때문에 누구나 알 것 같은 고전문학의 유명한 이름은 어느 정도 알고는 있다.  하지만, 그들조차도 다 읽어본 것은 아닌데, 이는 20대 초반까지는 문학보다는 역사나 역사소설을 주로 보았기 때문에 문학작품에 본격적인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중반을 넘어서부터이기 때문이다.  지금도 꾸준히 고전을 읽으려고 노력을 하는데, 역시 주종이 아닌지라 그때 그때의 기분에 많이 좌우되는 것 같다.  어떤 날은 재미있다가 또 어떤 날은 플롯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 날도 있는데, 서재에 글을 올리기 시작하면서부터는 보다 깊은 읽기를 원하게 되어 더욱 가벼운 마음으로 즐기던 때와는 달리 행간을 짚어내려고 하거나, 시대적인 배경, 작가의 철학 등등 플롯 이상의 것을 찾느라 정작 읽기 그 자체에 집중을 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아마도 나의 읽기는 그러니까 일종의 과도기를 거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남들보다 늦게 시작한 문학탐독의 댓가가 아닐까?

 

고전문학도 그러니, 근현대문학에 와서는 더 할 말이 없다.  그래도 이광수를 필두로 한 한국 문단의 근현대 작가들은 조금씩 살펴보았지만, 외국의 경우에는 고전문학에서 근현대로 넘어오는 과정의 작가들 몇 명의 이름만 알고 있을 뿐이고, 그 외의 작품이나 작가들에 대한 이해나 지식은 얕기 그지 없다.  로맹 가리도 피츠제럴드나 헤밍웨이와 함께 새로 흥미를 갖게 된 몇 안되는, 내가 아는 작가들의 한 사람인데, 그의 파란만장한 인생여정, 그리고 그 끝맺음 덕분에 그나마 작품에도 흥미를 갖게 된 작가이다.  말은 이렇게 해도 정작 그의 출세작은 아직도 조금 읽다가 내버려둔 채 일년을 훌쩍 넘겨버렸으니, 정말이지 문학으로의 길은 험하고도 먼 것 같다.

 

이 책은 그의 단편들을 모아놓은 작품인데, 표제작보다도 '진품'수집에 편집적으로 사로잡힌 남자의 이야기를 비롯하여 특이한 반전이 일품인 작품들 몇 편이 기억에 남는다. 

 

어쩌면 한 작가를 시작할 때 그의 대표작이나 유명한 대작으로 시작하는 것보다는 이런 단편 또는 소품집을 통해 먼저 조금 발을 담근 후, 어느 정도 그의 작품관이나 서술에 익숙해진 후에 본격적인 장편으로 들어가는 것도 좋은 입문경로라고 생각한다.  자기 입맛에 딱 맞는 작품일 수도 있지만, 고전문학에서 또는 그 의미가 현 시대까지 살아남아 전해오는 작품이나 작가라면 일괄적으로 비슷한 맛을 내기보다는 각자의 색깔이 강하게 마련인데, 이럴 때, 불쑥 물속으로 뛰어드는 것 같은 읽기보다는 조금씩 다가가는 방법이 더욱 길고 깊은 독서를 가능케 할 수도 있지 싶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이에자이트 2014-02-06 14: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국 소설 독자들 사이에서는 90년대 작품도 옛날 작품 취급을 받습니다.소설 수명이 참 짧아요.외국 작품에 비해서요.일제시대 소설도 괜찮은 게 많은데 수험용으로 조금 읽지 제대로 감상하는 사람들이 드물죠.

transient-guest 2014-02-07 00:44   좋아요 0 | URL
어떤 유행처럼 독서를 하는 경향이 있어요. 드라마에서 책 한 권 들고 나오면 바로 판매부수가 올라가는 것을 보면 그렇죠. 말씀처럼 90년대 작품만 해도 절판된 책들이 많은 것 같네요. 책 수명이 참 짧아요.

고양이라디오 2023-05-15 15: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최근에 재밌게 읽은 책입니다^^

transient-guest 2023-05-16 02:07   좋아요 1 | URL
로맹 가리는 이 즈음에 무척 열심히 읽던 작가입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