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버우드 클리닉 아이들 ㅣ 마음이 자라는 나무 30
테레사 토튼 지음, 김충규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살아가다 보면 내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을 인정하고 싶지 않을 때가 있다.
듣고 싶지 않은 이야기들도 있고 마주하고 싶지 않은 일들도 있듯이 우리가 바라고 원하는 대로 살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살아가면서 때로는 마음을 비우고 포기 할것은 포기하게 되는데 무엇보다 그럴수 없는게 아마 자식이지
않을까 싶다.
다른 것 보다 내 아이들 만큼은 고통받지 않고 자신들이 하고 싶은 것들은 하면서 행복하게 살았으면 하는
게 이 세상 모든 부모들의 간절한 바람이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자식들의 문제 만큼은 한치의 양보도 할수 없는게 우리
부모들이다..
그런데 이토록 소중하고 귀중한 내 아이들을 아프게 하는 이 현실이 무엇보다 안타깝기만
하다.
뉴스만 켜면 연일 터지는 믿기지 않은 사건 사고들을 보며 내 아이가 아니어서 천만 다행이라는 생각보다는
아무 죄없는 아이들이 평생 짊어지고 가야 할 어깨의 짐들이 그 고통이 느껴져 정말 가슴이 아플때가 한 두번이 아니다.
요 근래도 입에 올리기도 싫은 성범죄들을 보며 과연 우리 아이들이 두 발 뻗고 제대로 살수 있는 사회를
우리 어른들은 만들어 줄수는 없나 싶어 가슴이 답답하기만 하다.
그런 와중에 읽게 된 책..
푸른숲주니어에서 나온 <<리버우드 클리닉
아이들>> 정말 비록 책이지만 가상의 이야기 이고
가상의 인물들이지만 왜 나는 가상이 아닌 현실로 받아 들여지는지 왜 꼭 우리 주위에서 이 사회에서 만나볼수 있을 것만 같은지 책을 보는 내내
가슴이 먹먹해서 편치 않았다.
만인의 연인이란 말도 있듯이 밖에 나가면 너무나 다정 다감하고 자상한 그야 말로 멋진 아빠지만 사람들의
눈이 없는 집에서는 폭군도 그런 폭군이 없을 정도로 무자비하게 돌변하는 두 얼굴을 가진 아빠, 그런 아빠에게 인정 받고 싶어 사력을 다하는
가엾은 딸 대니, 무차별 폭력을 당하는 딸을 어깨 넘어 보기만 하는 무심한 엄마..
또한 세상에 하나 밖에 없는 동생이 자신과 똑같은 전철을 밟을까봐 방패막이가 되어 주고 싶었으나 그런
힘이 없었던 대니는 동생을 지켜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더욱더 시달렸다..
대니는 숨막힐 정도로 힘이 들었던지 약물과 알콜에 의존할수 밖에 없었나 보다..
책을 보는 내내 양의 탈을 쓴 것만 같은 아빠가 그리도 미웠는지 모르겠다.
남편의 폭력을 무심한 듯 강건너 불 보듯 하는 엄마도 너무나 답답해서 끓어오르는 화를 누르느라 너무나
힘이 들게 했던 책이었다..
아빠가 대니를 화장실로 끌고 갔다. 그녀는 변기 위에 다시 오줌을 누었다. 체리
아이스크림을 너무 많이 먹은 탓이었다. 아빠는 그 자리에 - 딱 그 자리에 - 서서 대니를 지켜보고 있었다. 아빠는 몇 번이고 이를 악물었다.
턱의 미세 근육이 바르르 떨리는 것이 뚜렷하게 보였다.
"대니?" 그녀는 숨도 쉬지 못한 채 붉게 상기된 얼굴로 뭔가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다
변기의 레버 쪽으로 손을 뻗었다. 그녀의 손이 레버에 채 닿기도 전에 아빠가 머리채를 낚아채었다.
아빠가 대니의 머리를 화장실 변기에 쑤셔
넣었다. - p.62
초반부 부터 충격 그 자체였다. 고작 5살짜리가 바지에 오줌을 쌌다고 아빠라는 사람이
이럴수가..
유능한 변호사인 아빠는 자신의 딸이 최고 이기를 바라며 자신의 성에 차지 않으면 이렇듯 무지 막지한
폭군으로 돌변을 해서 대니는 온 몸과 마음에 상처 투성이인 만신창이가 되어 결국은 약물과다에 알콜 중독으로 정신병원인 리버우드 클리닉에 입원하게
된다.
이곳에는 대니처럼 몸과 마음에 상처를 입은 아이들이 치료를 받는 곳으로 알콜 중독과 다량의 약물 과다
섭취로 기억을 잃어버린 대니, 새 아빠로부터 성폭행을 당할 때마다 자해를 하며 그 고통에서 벗어나려 했던 스크래치, 동성애자라는 사실을 알게 된
부모로부터 버림을 받아 괴로워 결국 자살 시도까지 했던 케빈 등 여러 아이들이 치료를 받고 있는 곳이었다.
기억을 잃어버린채 무기력했던 대니가 스크래치,케빈의 도움과 정성을 다해서 치료를 해주는 의사 선생님을
통해서 조금씩 기억을 되찾으면서 엄마와 화해하는 과정은 가슴 뭉클하기만 하다.
보는 내내 궁금하게 했던 대니가 그토록 지키고 싶어 했던 동생의 죽음은 큰 충격이 아닐수가
없었다.
잘 있어주기를 그렇게 바랬는데 뜻밖의 죽음에 안타까워 가슴이 아렸다..
자신의 딸을 지키기 위해 남편과 이혼을 강행하고 자신을 거부하는 딸을 만나기 위해 매일 병원에 출근을
하는 엄마의 모습은 그 동안 자신의 무능을 탓하는것 같아 또 안쓰러웠다.
이 책은 이 시대의 문제점들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어 눈길을 끌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비행 청소년으로 단정짓는 약물+자해+자살에 가정 폭력+성폭력까지 정말 마주 하고
싶지 않은 것들을 수면위로 끌어 올려 아이들의 아픔을 그 고통들을 말을 하고 있었다.
"엄마,아빠 나 정말 아파?" 라고 온 몸으로 말을 하고 있는 이 책..
아프다고 자포자기 하고 포기해 버리는게 아니라 힘든 아이들 스스로가 서로를 의지하며 서로를 도우면서
세상의 빛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어 비록 책이고 가상의 아이들이지만 고맙기 까지 하다.
그리고 스스로 자신의 앞 날을 자신의 미래를 선택하려는 모습들은 여타의 다른 책들과는 또 다른 점이
아닐까 싶다.
정해진 길을 가는게 아니라 본인 스스로가 생각하고 결정하는 결말이 참 인상적이다..
비록 책 이지만 어둡고 힘든 시기를 겪으면서 더 단단해 지고 더 여물어지듯이 용기있게 잘 헤쳐나온
아이들에게 큰 박수와 격려를 아낌없이 보낸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어렵고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아이들이라면 이 책이 위안이 되지 않을까
싶다.
이 책 속의 대니와 스크래치.케빈처럼 어둡고 미래가 없을 것만 같은 곳에서도 이렇듯 용기있게 자신의
인생을 책임지려고 노력하려는 모습을 보며 자신들도 용기를 얻을수 있지 않을까 싶다.
어두운 터널을 빠져 나오면 밝은 빛이 기다리는 것처럼 멋진 삶을 살아가는 씩씩한 아이들이
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