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쓴 글이 부끄러워 오늘도 쓴다 - 거리의 인문학자 최준영 에세이
최준영 지음 / 이지북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제 - 거리의 인문학자 최준영 에세이

  저자 - 최준영




  ‘거리의 인문학자’라는 부제가 참으로 인상적이었다. 검색을 해보니, 저자는 그 외에도 ‘노숙인 인문학자’, ‘거지 교수’ 라는 별칭으로 불리고 있다고 한다. 별명을 보면 그 사람에 대해서 어느 정도 정보를 준다고 하는데, 그러면 이 저자는 어떤 사람일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보통 사람들이 제대로 보지 않는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활동을 하는 구나라는 추측을 할 수 있다.


  게다가 신춘문예에 당선자이며, 실천 인문학센터 운영위원, 교수 그리고 유명 강사까지 다양한 일을 하고 있다는 설명에 참으로 바쁘게 살아가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직함은 많지만, 그의 모든 목표는 오직 한 가지를 향해 집중하고 있었다. 살아있음을 증명하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인문학과 삶의 의지를 알리는 것이다.


  이 책은 에세이라는 부제처럼, 저자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겪고 느낀 일들에 대해 짧은 감상과 이야기를 담고 있다. 어떨 때는 사회의 부조리에 대해 질타를 하기도 하고, 어떤 부분에서는 저자가 걸어온 삶을 얘기하면서 감동을 주기도 한다. 전반적으로 조용하지만 그렇다고 힘이 없고 약한 게 아니라, 속에 강한 힘을 숨기고 있는 느낌이다.


  노숙인들이나 여성 가장들처럼 먹고 살기 바쁜 사람들에게 과연 인문학 강의가 필요한 것일까라는 의문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저자는 한 노숙인의 예를 들면서 이렇게 얘기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현재의 조건이 아니라 삶에의 의지와 용기’라는 것이다.


  이건 꼭 노숙인들이나 여성 가장들에게만 해당하는 게 아니다. 어떻게 살아야 할 지 모르겠다고, 현실이 어렵다고,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고 한탄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말이다.


  물론 꿈만 좇는 말같이 들릴 수도 있다. 하지만 적어도 부정적인 생각으로 사는 것보다 긍정적으로 사는 게 여러 가지 면에서 더 좋을 거라고 본다. 가장 쉬운 예를 들어보면, 앞이 암울하다고 인상만 쓰고 있으면 얼굴에 주름도 더 지고, 입술도 더 튀어나오고 주변 사람들에게 안 좋은 느낌만 주고…….


  1장과 2장에서는 저자가 인문학 강의를 하면서 만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3장과 4장은 저자가 접했던 인상 깊은 작품들에 대한 단상, 어떻게 글을 쓰게 되었고 지금까지 어떤 생각으로 써왔는지에 대한 얘기들이 적혀있다.


  특히 4장은 저자가 생각하는 글쓰기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4장의 소제목이 이 책의 제목인 ‘어제 쓴 글이 부끄러워 오늘도 쓴다’이다. 저자는 소설이 허구를 다루고 있지만, 진실 되게 써야한다고 강조한다.


  이 부분에서 고개를 갸웃거렸다. 허구를 다룬 소설이지만 진실 되어야 한다? 한참 생각해보다 고개를 끄덕였다. 저자가 무슨 말을 하려는지 조금은 알듯했다. 그런데 그걸 여기에서 풀어보려고 하니까, 뭐라고 말해야할 지 모르겠다. 무조건 허구를 다룬다고 해서 중심이 없다거나 개연성이 없으면 안 된다고 말하면 될까?


  책을 읽으면서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문장들이 있었다. 제일 인상 깊은 것은 알베르 카뮈가 했다는 ‘분명한 글에는 독자가 모이지만 불분명한 글에는 평론가만 꼬인다.’는 말이다. 이건 글뿐이 아니라 다른 분야에도 해당할 것이다.


  그리고 p.87에 나오는 ‘실수에 대한 대응 실수’부분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했다. 그리고 반성을 하게 했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무조건 앞만 보라고 강요한 것은 아닌가.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낙오자라고 생각하고 버려두진 않았는가. 이래저래 생각과 반성 그리고 후회와 새로운 다짐을 하는 게기가 되었던 책이었다.


  개인의 실수에 대해 가혹하고 냉정한 사회적 대응이 빚은 결과가 바로 사회적 약자의 출현입니다.

  우리 사회에 우승열패의 신화는 존재하지만 패자부활의 신화는 온데간데없이 사라진 지 오래입니다.

  국가의 실수에는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야 하지만 개인의 실수에는 때로 관대함을 보이는 사회가 되어야 합니다. -p.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