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담을 모은다. 이 세상과 저 세상을 연결짓는다. 짐을 덜어주고 죄를 덜어주어 혼령이 길을 갈 수 있게 해 준다- 라는 이야기는 한때 심령미스터리판타지 등의 만화에 열광했던 사람에게는 퍽 익숙한 구조라고 생각하지만 그 익숙함을 익숙하지 않게 풀어낸 것이 저력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다들 미미여사 미미여사 하는 건가...사건과 마음에 대해 너무 상세히 알려주려 하는 면은 별로였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검은 꽃 - 개정판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김영하 씨의 책을 읽을 때마다 기묘하게 느껴지는 것이

'진실과 허구 그 어디쯤인가' 하는 것이다.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외의 

별다른 그의 작품을 읽지 않았을 때는 그냥 그런가보다 했던 것이

언젠가 '너의 목소리가 들려' 에 대한 관심이 곧바로 '살인자의 기억법' 으로 이어지고

그외 마음에 든 것도 있고, 들지 않는 것도 있었던 그의 몇몇 작품들을 읽고 나서야

'김영하를 읽는 법' (표현이 이상하긴 하지만) 이 조금씩 감이 잡히는 듯 하다.

물론 오로지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니 신뢰하면 안 되긴 하지만서도.

 

내가 그의 작품에서 종종 느끼는 것은

허구를 진실로 만들기 위해 여러 장치들을 상당히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인데

이 형식의 초석(?)이 보였던 것이 아마도 '아랑은 왜' 가 아니었나 생각하는 바이다.

 

꽤나 오래 전에 읽은 소설이라 어떤 내용인지 구체적으로 기억나지는 않지만

요약해보자면 역사와 그를 토대로 한 상상을 교차하면서 팩션을 만들어내고자 했던 듯 싶다.

물론 썩 효과적이진 않았던 것 같다. 내용이나 감상이 떠오르지 않는 걸 보면.

 

허구를 사실로 만들기 위한 장치의 사용.

이것이 가장 극대화 된 작품이 개인적으로 느끼기에는 '살인자의 기억법' 이었다.

상황을 버리고, 설명을 배제함으로써, 주인공의 눈과 기억을 독자에게 동일시시켰고

그로 인해 반전 아닌 반전이 성립하게 된 참으로 희한한 사례라고 생각하는 바이다.

 

장치의 사용을 형식으로서 극대화 시킨 것이 '살인자의 기억법' 이라 치면

'검은 꽃' 과 '너의 목소리가 들려' 는

징검다리처럼 요소들을 끼워넣으면서 허구의 맛을 감소시켰고

그 결과로 이야기는 보다 리얼해졌다- 라고 생각하는 바이다.

 

허나, 이러한 그의 실험적인(?) 면에 대해서는 감탄하는 바이지만

어절 수 없이 호불호가 갈릴 수 밖에 없다 고 생각되는 것은

철저하게 감정이 거세된 문장 때분이 아닐까 싶다. 정확하게는 감성이라고 해야 할까.

 

결국 작품에서 중요한 것은 '사실같은' 것이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문장은 건조해지고 감성은 줄어든다.

이것이 김영하 특유의 문체이기는 하지만서도

가끔 보면 유난히 도드라지게 건조한 문장들이 있다.

이를테면 '퀴즈쇼' 보다는 '검은 꽃' 이 확실히 건조하고

'검은 꽃' 에 비해 '너의 목소리가 들려' 는 어딘가 습한 구석이 있다.

이러한 건조한 문장이 맞아 떨어지는 때가 있는가하면

건조한 문장 탓에 몰입이 힘들어 멀어지는 때도 있다. 내 경우에는 '빛의 제국' 이었고.

 

많은 소설들이 건조함과 감성팔이의 양 극단에서 그냥 제자리만 지키고 있는 와중에

이 두 곳을 마음대로 왔다갔다 하는 작가가 있다는 것은 꽤 놀라운 일이다.

그와 동시에 '...이래서 이 작가가 떴구나' 라는 것을 이제야 깨달았다나 뭐라나.

 

고백하자면

내가 김영하씨를 제대로 읽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살인자의 기억법' 이 출간되고 난 이후다.

.....널리 알려진 작품은 일단 피하고 보는 쓸데없는 오기가 낳은 무지라고 해야 할까...

 

어쨌든.

김영하 씨. 부디 지금처럼 왕성히 활동해주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껏 읽어본 온다 리쿠 책 중 가장 선명한 이야기인 듯. 그래서 마음에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의 선물 - 제1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개정판
은희경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런 류(?)의 자전적인지 아닌지 헷갈리는 성장소설을 볼 때마다 드는 생각이 있다.

 

 

1. 그래서 어쩌란 말인가

  - 풀이해보자면 왜 어떤 성장담은 의미를 갖고 어떤 성장담을 의미를 갖지 못 하나 정도 되려나.

    왜 유독 '진희' 여야만 했을까.

    장군이라던가 초반에 나오는 서울에서 온 아이라던가

    혹은 중간에 수없이 등장하는 많은 아이들.

    그 많은 아이들 중에 유독 '진희' 같은 아이의 성장담만이 눈에 띄는 까닭은 무엇일까.

    딴지를 걸자는 것이 아닌 정말 모르겠는 문제 중 하나이다.

    왜 우리는. 그러니까 어른이거나 혹은 어른에 가까울 나이의 책 읽는 사람들은

    어떤 아이의 성장담은 쉽게 받아들이고 공감하는 반면

    어떤 아이의 성장담은 받아들이지 못 하는가.

    그렇다면 그것은 정말 아이의 성장소설일까.

    아니면 어른이 바라는 '아이의 성장소설' 일까.

    아마도 가장 처음 읽은 책이어서 였는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지는 모르겠다만

    이상하게도 내게 있어 대부분의 성장소설은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 의 변형처럼 느껴진다.

    어떤 문체의 어떤 주인공의 이야기를 봐도 그렇다. '새의 선물' 도 그다지 다르진 않다.   

    작품의 좋고 나쁨과는 관계없는 이야기다. 아마 개인적인 문제라고 생각된다.

 

 

2. 나는 어떤 이야기를 할 수 있나.

  - 이런 류의 소설을 읽을 때마다 늘 의문이 드는 것은

    이 사람들은 어떻게 이런 것을 다 기억하고 있을까 하는 거였다.

    물론 온전히 기억에 의존해서만이 써내는 것은 아니겠지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정서의 발현이란 건 

    정보만 갖고도 이미지를 출력해낼 수 있는 경험자들이어야 가능한 것인지라

    전혀 기억이 없는 사람이 그 시대의 일을 썼다고는 보기 힘든 것이다.

    이 쯤에서 대부분 생각은 기억으로 넘어간다. 정확히는 나의 기억에 대해서.

    둔감하다기보다는 예민하고 또 예민한 청소년기와 청년기를 보낸 탓에

    다른 어떤 욕구보다 스트레스로부터 나 자신을 보호하고자 하는 욕구가 큰 편이다.

    그러다보니 남들보다 빨라진 것이 있으니 필요없다 느끼는 것에는 신경 끄는 것 쯤 되려나. 

    최소한의 것에만 신경을 쓰고 스스로에게만 관심을 쏟다 보니

    '과연 내가 무슨 이야기를 할 수 있나' 하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면 할 말이 없다.

    굴곡진 사건이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굳이 얘기로 쓰고 싶지도 않고.

 

 

3. 이야기를 쓰게 되면 그를 알 수 있을까.

   - 성장소설에 대한 생각은 늘 아버지에 대한 생각으로 끝맺음 하곤 한다.

    모든 부모가 다 그러란 법은 없지만

    적어도 우리집의 경우, 어머니는 상대적으로 자기 표현에 능한 편이다.

    아픈 것, 화나는 것, 힘든 것을 참아왔다고는 말하지만서도

    자신이 참고 있음을 반드시 누군가에게는 표현하는 편이다.

    그러니 어머니의 속내는 아버지에 비해서는 알기 쉬운 편이다. 적어도 우리집에서는.

    그에 반해 아버지는 자신의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자신의 이야기로 넘어갈라 치면 농으로 그것을 피해버린다.

    이것이 인간관계에서는 득이 될지 실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가정 내에서는 득은 아니었던 듯 싶다.

    나도 겪었던 그 여러 사건을 겪으면서

    심지어는 주모자로 몰려 자식들마저도 등을 돌렸을 때 그 때의 마음은 어땠을까.

    아니 사실 진짜 궁금한 것은 따로 있다.

    아버지의 성질을 꼭 달은 내가 어떻게 행동할지 뻔히 알면서

    자신을 주체하지 못 한 이유는 뭘까.

    스스로의 행동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몰랐던 것도 아니면서 결국 그리 했어야 했던 건 뭘까.

    ....아버지의 성장과정을 알게 되면 이 의문이 해결될까...가끔 이런 생각을 해보곤 한다.

 

 

4. 쓰고 나니 오늘도 역시 내용과는 상관없는 사담인 듯하여 몇 줄 덧붙이자면

   왜 '새의 선물' '새의 선물' 하는지 이해는 가지만

   왜 앞뒤로 어른인 진희가 나와야 하는지는 의문.

   허나 어른인 진희가 앞뒤에 없다면

   어린 진희의 효과가 지금처럼 강하진 않을 거라는 생각도 든다.

   비슷해 보이는 시대에 비슷해 보이는 시골에서의 이야기를 하면서도

   '외딴 방' 과 전혀 다른 이야기......작가의 특성이란 정말 놀랍구나...

   그런데 왜 제목이 '새의 선물' 이지?? 아이라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과 후가 명백히 드러나는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라고 해도 될 듯. 시대가 시대인지라 성립되는 내용. 만약 지금이라면 과연 이런 이야기가 나올 수 있을까 하는 생각. 요즘은 많은 이들이 많은 부분에서 뻔뻔해지고 있다. 또 하나 덧붙이자면 먹으로 그린 듯한 단정함은 소세키이기 때문일까 아니면 일본 문학의 특징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