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34
밀란 쿤데라 지음, 이재룡 옮김 / 민음사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이해하지 못 했음. 그러나 감동적이다.

 

2. 중견작가, 혹은 거장이라 불리는 작가의 글을 읽을 때마다

   내가 맞닥뜨리는 난관은 바로 '이해하지 못 함' 에 있었다.

   여기서 이해하지 못 함은 철저히 상식과 지식의 부재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럭저럭 말은 이해하고 그 뜻은 미루어 짐작할 수 있으나

    그 말이 나오게 된 상황이나 배경에 대한 지식이 일말도 없으니

    극중 인물의 사고의 흐름에도 공감할 수 없게 되고

    그러다보니 정치적, 역사적 소설로부터 멀어지게 되었다.

    왜? 못 알아먹겠으니까.

 

3. 그렇다면 왜 알기 위해 노력하지 않았는가.

    노력할 정도로 궁금하지 않았다는 게 답이 되겠다.

    전쟁에 휘말린 인간이 어떻게 괴물이 되어가는가 는 나의 관심이 될 수 있지만

    전쟁이 어떻게 인간을 괴물로 만드는가 는 나의 관심이 될 수 없다.

    그런 사고로 이제껏 문학을 대했고 앞으로도 그럴 전망이다.

 

4. 하여 지식이 지나치게 넘치는 문학들은 경계를 먼저 하곤 했다.

    문학 이라는 창작물을 잊어버린 채 자신의 지식 설파에만 매달리고 있지 않은가

    또 얼마나 많은 페이지를 그냥 넘겨야만 할까

    난 지식이 있는 자가 만들어낸 진짜인 듯 가짜인 이야기를 읽고 싶은 거지

    당신의 강연을 듣고 싶은 것이 아니다.

    시간이 오랜 만큼 생각의 벽 또한 두꺼워 나의 이러한 편견(이 맞을지는 모르겠지만}

    의 벽을 넘어온 책은 그리 많지 않다.

    박상륭의 '죽음의 한 연구'

    이승우의 '생의 이면' '지상의 노래'

     그리고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5.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에서 인상적이었던 것은

    작가의 철학이랄지 철학적 사유랄지가 어떻게 등장인물의 삶으로 화했는가 하는 것이었다.

    가벼움과 무거움을 미끼처럼 던져두고

    각각 대비되는 인물들을 만들더니

    결국 말하는 것은 존재와 삶 이라니. 그냥 뒤통수를 맞은 느낌이었다.

 

6. 솔직히 아직도 이 책에 대해 뭐라 말해야 정확한지는 모르겠다.

    다만 한 가지 말할 수 있는 건

    지식(내지는 철학)과 창작의 조화의 모범적인 사례 같다는 것.

 

7. 결과적으로 이 책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는 모르겠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왠지 모르게 슬펐다는 것도 생경했다.

   어쩌면 처음부터 끝까지 모르는 것 자체가 핵심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언뜻 스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생각 이상으로 건조하다. 이방인(이인이라 해야 하나?) 보다 훨씬 건조한 듯.

2. 이런 식의 서술표현에 반감을 느낀다는 걸 다시 한 번 깨달았다. `나는` 이 아닌 `서술자는`으로 시작하는 문장이 주는 거리감이 이점이자 맹점이기도 한 듯.

3. 이전에 읽은 카뮈의 글에 대한 기억을 떠올려보면 저 거리감과 딱딱함이 그의 특징이 아닐까도 싶다.

4.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방인보다 페스트가 더 밍숭맹숭하게 읽힌 까닭은 개인적인 상황에 의한 공감의 유무 때문일 거다.

5. 기이했던 건 이름들이 발병하고 나면 그냥 환자로 일괄처리돼버리는 것. 이게 전염병인가 하는 느낌을 일순 받았다가 다시 밍숭맹숭해져버림.

6. 워낙 컨디션이 안 받쳐주는 날 읽어서인가 싶어 일단 재독은 해 보기로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미도 있고 문체도 정중하고 스피이 소설 하면 흔히 연상되는 액션이 아닌 작전과 계략이 등장하는 것이 인상적이긴 하나 본디 사회와 인간보단 인간 대 인간에 더 흥미를 느끼는 성향 탓인지 `독특하군` 이상의 느낌은 없는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퓨타 로 시작해서 델마와 루이스, 모 가수의 뮤직비디오 귀신소동까지 두루 감상한 느낌. 제일 마음에 들었던 건 허공의 아이들. 제일 기이했던 건 순환선. 국경시장에서의 낯선 우화들이 개그맨에서는 다소 언짢은 백일몽처럼 묘사된 것이 기이했음. 어느 쪽이 더 낫냐 라고 묻는다면 국경시장 에 한 표. 흥미로운 이야기이긴 하지만 왠지 불편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첫번째 의문. 이 재해석에 무슨 의미가 있나.

두번째 의문. 울림이 있긴 하나 너무 시적 언어로 표현되어 있어서인지 ˝와 독창적이다 근데 뭔 소리지˝ 하는 느낌

세번째 의문(이라기보단 생각)
예전. 그러니까 한창 해독불가의 것을 찾아다니던 20대에는 꽤 마음에 들어했을 듯도 하다. 허나 최근에는 난해한 것을 그대로 난해하게 풀이해내는 것에 썩 호감을 느끼고 있지는 못 한지라.

네 번째 생각. 카인과 비슷한 느낌. 재해석은 왜 이 방향으로만 되어야 하는가. 시적 언어로 끝낼 것이 아니라 아예 정석적인 청소년물이 되었어도 좋을 것 같다. 어차피 현대화 시킬거였다면 정말 현대로 다 워프시켜서 `새로운 데미안` 을 만드는 것도 괜찮았을 법 한데.

솔직히 말하자면. 난 빨간 괴물 게리온이 주인공인 새로운 데미안을 기대했더랬다.
아무래도 난 재해석이나 시하고는 안 친한 듯.
문학적 소양이 부족한 탓이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