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르배 섬의 비밀 세트 - 전2권 오르배 섬의 비밀
프랑수아 플라스 지음, 공나리.김용석 옮김 / 솔출판사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누구나 자연의 단 한 번의 귀중한 실험이다. 모든 인간의 생애는 자기 자신에 도달하기 위한 하나의 길이다. 그것은 크고 넓은 길을 찾기 위한 시도이기도 하고, 작고 좁은 오솔길의 암시이기도 하다. 어떠한 사람도 완전히 자기 자신이 된 적은 없다. 그러나 누구나 다 자기 자신이 되려고 애를 쓰고 있다”
헤르만 헤세 《데미안》

 

사막과 바다에서 출발한 코르넬리우스와 지야라는  독자적인 세계를 가지고 있고 각자가 멋진 세계이며 씨줄과 날줄의 두 세계가 만나서 하나의 우주가 탄생해서 서로를 지탱해준다.  다른 곳을 보지만 결국은 같은 곳을 바라본다. 이 책의 재미있는 점은 같은 공간에서 상대방의 관점을 엿볼 수 있다는 점이다. 현실에서 나는 상대방 얼굴의 모든것을 보지만 상대방은 자신을 볼 수 없다. 상대방의 이러한 고통을 내가 해소시켜줄 수 있는데 이 소설에서는 독자가 나와 타자의 시점에서 바라본다는 점이다.     

 

호메로스의『오디세이아』등 이국적인 세계를 향해서 떠나는 이야기는 많다.  살던 세계와 전혀 다른 세계를 만나서 역경을 딛고 일어서서 성숙해진후 고향으로 돌아오는 줄거리는 비슷하다. 하지만 이들 이야기는 언제나 흥미롭게 다가오고 다시 책을 들게 한다. 뭔가 새로운 이야기가 있을거 같기 때문이고 중요한 것은 소설가가 어떤 재료와 짜임새있는 구성으로  현실밖의 세계안으로 독자를 끌어들여서 일어날리가 없는 일을 일어났다고 믿게 만드면서 손에 땀을 쥐게하고, 감동을 주고, 눈물나게 하고, 분노를 일으키고,  공감을 얻게 하면서 소설속의 환상을 현실의 일처럼 자연스럽게 여기게 하는가에 달려있다.    

 

"우리가 앞으로 걸어가야 할 모든 길은 지금까지 걸어온 길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말해주고 싶소." 1권 (267쪽)

"자신의 남은 인생을 모두 걸고 추구해왔던 목표에 가까이 다가가게 된다면 과연 무슨 일이 일어나게 될까? 향신료가 더해진 빵 한 조각, 이내 사라져버린 그 단순한 향내와 맛이 내 앞에서 거친 바다의 향로를 활짝 열어준 바 있다. 그것은 끝이 아니라 어떤 시작이며 도약과 같은 것이었다. 세상이 내 몫으로 남겨둔 것을 찾기 위해 나는 거쎈 바람을 맞으며 앞으로 나아가는 일 이외에는 그 어떤 것도 갈구하지 않았다." 2권 (118쪽)     

 

길과 바다로 떠났지만 목적지 보다 중요한 것은 거쳐온 과정이고 만남 안에서 인연을 맺고 성숙해 지고 결국에는 사랑하게 된다.  지야라는  '빛을 가져오는 여인'이라는 뜻을 가진다. 그녀는 코르넬리우스에게 이름 그대로 빛이 되었다. 

 

거울 속에 있는 내 모습이 낯설지만 내 얼굴을 보고 싶으면 거울을 봐야 한다. 우리 세계를 알고 싶으면 다른 세계를 경험하고 이질성인 세계를 보면서 우리 세계의 독자성을 볼 수 있다. 이 소설 속에서 신비한 나라들의 사람들과 관습을 보면서 익숙했던 우리 모습이 보였다. 그래서 이 소설이 환상이지만 현실인 것이다.

 

"아이는 모든 것을 볼 수 있지만 이름 붙이는 법은 전혀 알지 못하거든요. 대신 아이는 미지의 세계를 대할 때 반드시 필요한 순수함을 가지고 있어요. 반면에 백 개의 이름을 가진 노인은 지식을 가지고 있지요. 그는 지도에 기록된 모든 글을 외우고 있어요. 사라진 언어로 적힌 글까지 모두 포함해서요. 하지만 그의 시력은 퇴화돼버렸죠. 사물의 형태를 잘 구별할 수 없답니다. 모든 것이 희미하게 보이죠. 그런 이유로 한 사람은 찾아내고 다른 한 사람은 그것을 해석하는 역할을 맡고 있어요. 이 지도는 그런 식으로 자신을 읽어내게 해요. 어린아이의 눈이 갖는 신선함과 오랜 기억을 간직하고 한 발짝 물러서서 볼 줄 아는 노인의 지혜 말이에요." 2권 (171쪽)

 

남자와 여자, 아이와 노인은 각자의 장점과 단점이 있고 이들의 결합은 서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작가는 나와 다른 사람은 틀린 것이 아니고 다른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걸까.  

 

끝으로 번역을 잘해서 우리 소설을 읽는 것처럼 흥미있었고 작가가 만든 조어를 권말에서 사전처럼 정리해서  유익했다. 재미있는 것은 여자 번역자가 남성의 시점인 1권을, 남자 번역자가 여성의 시점인 2권을 번역했다는 점이다. 뫼비우스의 띠처럼 1권과 2권이 순환하고 남성과 여성의 시점 또한 교차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