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슬람 사원 갈등을 취재해 단편 영화를 만들었던 경북대 학생의 이야기가 기억에 남는다. 사원에 대해 듣고 싶어 왔다는 그에게 어쩌다 관심을 갖게 됐냐고 묻자 해 준 이야기다. 경북대 편입생인 그는 어느 날 자취하는 골목에 걸린 혐오표현 현수막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 처음에는 어떻게 저런 게 버젓이 걸려 있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고 한다. 그런데 하루, 이틀, 며칠이 지나자 그 현수막 앞을 아무렇지도 않게 지나다니고 있는 스스로를 발견했다. 이대로는 안 되겠다는 생각에 무슨 일인지 알아보고자 카메라를 들었다. 혐오가 나쁜 것임을 모르는 사람은 별로 없다. 문제는 익숙해진다는 것이다. 내 일이 아닐 때는 쉽게 참아 넘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는 동안 배타적이고 위계적인 집 만들기, 텃세 부리기도 어느 순간 어쩔 수 없는 것이 되어 버린다. 혐오가 집이 되어 버리기 전에 상호 공존과 이해의 집을 만들어 가는, 우리 안 국경을 허무는 실천이 절실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외국어가 머리의 일만이 아닌 경험과 감각이 필요한 시간의 일이라는 사실은, 노력해도 당장 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는 점에서 위로가 되지만, 한편으로 절망이기도 하다. 끝이 어디인지 모른 채 오랜 시간 지속해서 끊임없이 반복하는 일은, 말이 쉽지 얼마나 고통스러운가. 그러니 우리는 알면서도 자꾸 욕심을 내는 것이다. 그래도 조금 더 빨리, 더 효율적으로 목표에 다다를 방법이 있을 거라고 믿고 싶어서.

그러고 보면 외국어 공부란, 신화 속 형벌 같다. 바위가 다시 그 무게의 속도로 굴러떨어질 것을 알면서도 온 힘을 다해 바위를 산꼭대기에 밀어 올려야 하는 형벌 같은 것. 외국어를 배우는 일에 완성이 어디 있는가. 나는 프랑스어의 세계에서 20여 년을 살고 있지만 여전히 완성됐다고 말할 수 없고, 그런 날은 절대로 오지 않으리란 걸 안다. 외국어란 산 정상 위에 머무르지 않는 바위와 같이 완전한 단계가 없다. 그러니 외국어 공부의 진짜 고통은 그 끝없음의 허무와 싸우는데 있다.
알베르 카뮈는 에세이 《시지프 신화Le Mythe de Sisyphe》에서 바위를 밀어 올리는 형벌을 인간 삶의 부조리에 빗대며, 우리 삶이 헛되고 의미 없는 것이라도 그것을 정면으로 응시하고 받아들이면서 그 과정을 즐겨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책의 마지막 문장으로 “산꼭대기를 향한 투쟁 자체가 우리의 마음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하다. 우리는 시지프가 행복하다고 상상해야 한다”고 썼다.
여기에 빗대어 본다면, 외국어 공부도 매 과정에서 희열을 느껴야만 의미가 생기는 일이라고 할 수 있겠다. 다다를 수 없을지라도 그 자체로 마음을 충족시켜야 하는 일. 언젠가 소멸할 것을 알면서도 일상의 무게를 지고 살아가는 우리 삶이 다 그렇듯이 말이다.
― 곽미성, 『외국어를 배워요, 영어는 아니고요』, 어떤책2023, 100~10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차피 혼자 사는 세상’을 되뇌며 내 몫을 챙기는 데 골몰하는 개인들이 모여 있는 사회에서는 당연하게도 사람들이 기대고 의지할 수 있는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한 여러 사회자본들 역시 자연스럽게 침식될 수밖에 없습니다. 서로에게 관심이 없으니 서로 신뢰를 쌓기 위한 최소한의 시간과 경험 역시 부족하게 됩니다. 제대로 알지 못하는 사람을 쉽게 믿을 순 없는 법이니까요. 그리고 무한경쟁 속에서 내 것을 챙기느라 지친 개인들은 나와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포용할 여유가 없습니다. 말 그대로 지쳐 버려서 윤리적 고민도 사치가 됩니다. 타인과 공동체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을 나약하다며 혐오하고, 내가 불리해지는 듯 보이는 사회적 변화를 요구하면 위선자들이라며 냉소를 보냅니다. 이런 사회를 경험한 아이들이 다른 이의 아픔에 공감하고 공동체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해 연대하는 어른으로 자라나는 것은 기적 같은 일이 아닐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많은 사람들이 '내'가 아닌 '사회'의 속도에 맞춰 오늘을 살고 있다.
빠른 사회의 속도는 다른 논리는 배제하고 효율을 최고의 가치로 치부한다.
숨 막히듯 앞만 보고 내달리는 세상과 획일적 논리로부터, 나의 삶을 잠시 쉬게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여행이다.
여행을 통해 깨닫는다.
삶은 무엇을 이루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사는 그 자체가 의미 있는 것임을.
그리고 여행을 통해 나는 생각한다.
여행이라는 쉼 속에서
빨리 도달 못해 안달하는 나를,
미래를 두려워하는 나를,
어디쯤인지 초조한 나를,
천천히 내려놓기로,
그리고 잊지 말기를
중요한 건
지금 이 순간이라는 사실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언젠가 권여선 작가의 인터뷰에서 사람에게 가장 힘든 일은 ‘시간을 보내는 일’이라고 말하는 부분을 읽은 적이 있다. 동의한다. 텅 빈 시간, 텅 빈 일정, 텅 빈 머리, 텅 빈 대화. 이런 것들을 감당하기란 쉽지 않다. 비어있는 공간에서 우리는 자기 자신과 마주쳐야 하는데 그렇게 마주친 자신의 존재를 감당하는 일이란…… 정말이지 끔찍하다. 그것이 너무나 어려운 나머지 우리는 해야 할 일을 만들고, 쓸데없는 말로 침묵을 채우고, 사람과 사건에 대한 이론을 계속해서 생성해 낸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을 충분히 버티는 사람을 나는 진심으로 존경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