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 하냐?"
"약과 놓잖아."
"왜 비닐은 ‘안 벗겨." - P201

"저거, 다 죽은 땅이야."
"땅도 죽어?" - P202

곧 떠날 사람이라는 마음으로일하는 것은 골치 아프고 서러웠다. 이곳저곳 떠돌더라도 다시 돌아올 수 있는 곳이 필요했다. - P203

"자기 연민이란 게 무서워." - P206

"그럼 나는."
"어?"
"날 위해서는 뭐 하는데."
"이게 널 위한 거야." - P209

대진은 스스로 많은 것을 이고진 채 살고 있었다. 기후 위기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고 농법까지 고안해가며 지속 가능한 세상을 꾸려나가는 사람이었다. 해나는 생각했다. 그중 나를 위한 노력은 얼마 정도 될까. 그저 생일이 되면 전화라도한통 해주고, 때때로 맥주 한잔하자고, 놀러오라고 말해주길바랐는데. - P210

내가 여기서 죽어도 아빠는 후손 생각을 할까. 이상하게 아픈 와중에 그런 생각이 들었다. 해나는 자신이 다친 만큼 대진또한 그만큼의 흠집이 나길 바랐다. 대진이 그런 무른 사람이길 바랐다. 하지만 동시에 그 흠집을 견디고 다시 자기가 하고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길 바랐다. - P213

대진이 수배당하던 시절 그를 숨겨줬다던 여인들도 떠올랐다. 대진은 그 여인들이 하나같이 자신을 좋아해서 숨겨줬다고 했다. 하지만 그게 아닐 수도 있었다. 그저 그 여인들은, 대의를 생각했을 수도 있는 것이다. 대진이 자꾸 뭐라고 외치는소리가 들렸다. 여전히 구급차는 오지 않았다. - P215

태수씨와 엄마는 모 대학 사학과 85학번이었는데, 동기들이야기를 할 때마다 그들을 민주85라고 불렀다. 내가 아주 어렸을 때부터 성식이 형, 민재 형, 의식이 형과 같은 형 이야기를 많이 했고 그들이 다 민주85라고 했다. - P221

나는 바지 주머니에서 수첩을 꺼냈다. 그리고 성식이 형이름 아래 있는 문장을 읽었다. 최대한 연습한 대로.
"울지 마쇼. 태수씨의 지령이오." - P224

"대신 부탁이 있어요.‘
부탁? 성식이 형이 되물으며 불안한 모습으로 주변을 둘러봤다. 우리집 개를 장례식장에 데려와주세요. 그러자 성식이형이 나를 빤히 쳐다봤다. 그러더니 아직까지도 미행을 당해, - P229

오후가 되자 장례식장은 사람들로 붐비기 시작했다. 나의가까운 친구들부터 먼 친구들까지 알음알음 찾아왔는데 태수씨의 친구가 가장 많았다. 나는 몽롱한 정신으로 조문객을 맞이했고 수첩을 펼친 뒤 SNS나 사진 등을 통해 알아둔 얼굴을매치시켜 태수씨의 말을 전해줬다. 그러면 어떤 사람은 울었고 어떤 사람은 웃었다. 또 어떤 사람은 더러 화를 내기도 했다. 그럴 때마다 엄마는 영문을 모른 채 내가 들고 있는 수첩을 뺏으려 들었지만, 나는 결코 내어주지 않았다. - P235

누구보다 태수씨를 잘 알고 사랑했던 맏딸이 여기 있는데. 하지만사랑을 증명할 길은 달리 없었다. 누구의 사랑이 더 크다고말할 수 있을 것인가. 우리는 한 트럭의 미움 속에서 미미한사랑을 발견하고도 그것이 전부라고 말하는데. - P235

"차장님도 요즘 여자들이 그렇게 싫으세요?"
"요즘 여자들? 우리 회사 요즘 여자들은 다 괜찮아. - P243

어쨌든 유자는 태수씨를 졸졸 쫓아다녔다. 태수씨가 올 때면 어떻게 아는지 엘리베이터 소리만 들려도 꼬리를 흔들고낑낑거렸다. 태수씨는 유자의 두 앞발을 들어 함께 춤을 추기도 했다. 노래도 없이 추는 그 춤은 신기하게도 경쾌하게 느껴졌다. 그런데도 나는 유자를 태수씨의 장례식장에 데려오는게 이상하다고 생각했다. 내가 태수씨에게 꼭 그래야 하냐고묻자 태수씨는 꼭 그래야 한다고 대답했다. 그러면서 내게 말했다. - P247

"니들 진짜 미쳤니?"
나는 수첩을 들어 엄마에게 해야 할 말을 찾았다. 그리고 해오던 것과 같이 최대한 태수씨의 말투를 흉내내며 말했다.
"공여사, 자중하시오. 우리의 적은 제도잖아." - P2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욕실 벽에 붙인 고리가 시원찮았다. 끈끈이의 접착력이 약해졌는지 수건을 자꾸 떨어뜨리고 자기도 밑으로 고꾸라졌다. - P7

"En qué trabajas?" 당신은 어떤 일을 합니까?
"
Soy periodista de cine. 저는 영화기자입니다. - P9

맡은 일의 종류가 늘어나도 결국 공통키워드는 영화이고,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는 일은 글쓰기다. - P11

아무튼 다 잘하고 좋은 고리. 가장 센고리. 여기서 십 년이 더 흐른다 해도 어쩌면 그것이 될 수는 없을지도 모른다. - P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든 꽃을 치운다. 집에 시든 꽃을 두는 게 아니라고배웠다. 엄마는 내게 그런 걸 가르쳤다. - P103

‘무엇을 잃고 있는가?‘ - P104

여자들은 내게 질문의 근원이고 여자인 나는 질문하며산다. 아니 질문을 산다. 질문을 살면 답이 된다는 것을아니까. 답이 된 내 삶이 또 다른 여자의 질문이 되리라는것을 믿으니까. - P106

김혜순 시인은 여성의 시 언어가 ‘이제까지 밖에서 주어졌던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반동으로부터 터져 나오는것이며, 여성의 언어는 본래 위반의 언어‘라고 했다. - P108

대부분의 여자들은세 가지 방식으로 저질 농담과 싸웠다. 몰래 울거나, 농담보다 더 강해지거나, 침묵하거나 - P111

그런 것들을 쓰지 않는다면 무엇을 써야 한단 말인가? 나는 엄마가 금을 낸 그 여성의 세계에서 벗어나 내가 살아갈 땅을 찾는 중이다. 나의 땅은 여성명사이고, 나는 그 땅 안에서 쓴다. 내가 틀린 것을, 모르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을. 그런 것들을 쓰지 않는다면 무엇을 써야 한단 말인가? - P115

"낙태라니... 미안하지만, 이런 주제는 진부하게 느껴집니다. 마치 엄마의 책장에서 먼지 쌓인 68년도 책을 꺼내보는 느낌이었어요." - P117

‘5월 혁명‘이라고도 불린다. 프랑스에서 부르주아 혹은 노동자들이 일으켰던 기존의 혁명과는 달리 학생들이 주축이 된 혁명으로, ‘금지하는 것을 금지한다‘라는 구호 아래 기성 체제에 대한 저항과 성적 자기결정권과 표현의 자유를 역설했다. - P1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자들은 그 어쩔 수 없는 것 때문에 자기 안에 중요한 뭔가를 만들어. 한 번은 반드시 그걸 바깥으로 꺼내야하고" - P23

별거 아닌 것들의 별것을 향한 몸부림. 그 말을 선명하게 기억한다. 별거 아닌 것을 말할 줄 아는 용기도. 엄마의 그 말이 없었다면 나는 아무것도 쓰지 못했을 테니까. - P25

당신의 어쩔 수 없음은 무엇인가? - P26

엄마의 바람과 상관없는진실을 말하자면, 나는 틀 바깥으로 나갈 수 있을 만큼 용기 있지 않았고, 틀 안에서 순응할 만큼 순종적이지도 않않는데 어쩌면 그것이 나의 영원한 모순이 아닐까 싶다. - P29

침묵을 듣는 일은 가벼워야 한다. - P34

제가 원하는 것은 생명이 유동하는 것, 매일매일 변하는 것, 어떤 새로운 것, 습관적인 것인데! 미칠 듯한 순간, 세계와 자아가 합일되는 느낌을 주는 찰나, 충만한가득 찬 순간 등 손에 영원히 안 잡히는 것들이 나의 갈망의 대상입니다.* - P37

여자라는 이유로 서로에게 조심하라며 윽박지르거나, 조심성이 없다고 탓하다가 미안해졌던 많은 일들이 결코 우리의 잘못은 아니었다는 것을. - P43

"눈앞에 보이는 게 끝이 아니라 그 너머에 무언가가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만 갈망할 수 있는 것 같아. 나는 늘눈앞에 보이는 것 그 앞에서 멈췄던 것 같고." - P47

이 시의 첫 줄에서 말하는 영원히 안녕이란 뜻의 ‘Adieu‘
는 슬픔에 고하는 작별이고, 둘째 줄의 안녕은 ‘Bonjour‘,
눈앞에 있는 슬픔을 맞이하는 인사다. - P53

"오래된 노래야?"
내가 물었고,
"오래된 노래야?"
엄마가 답했다. - P55

한국어가 서툰 그는 ‘오래된‘과 ‘아름다운‘을 헷갈린다. - P59

‘여긴 괜찮으니까 어서 가라고 말하며 남아 있는 사람들. - P62

"새... 러안 사므를 지삭키는 너에게… 맞아?"
그는 내게 편지를 돌려주며 물었고, 나는 그에게 천천히 또박또박 엄마가 쓴 글자를 읽어줬다.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너에게." - P70

"다 그리고 싶어"
언젠가 엄마가 내게 했던 말이기도 하다. 하얀 캔버스와 사과와 꽃병과 접시 앞에서. - P77

화가가 되지 못했던 엄마가 그린 그림은 사실상 모두연습에 불과했고, 그 연습 끝에 엄마가 완성한 진짜 작품은 연습했던 시간, 엄마의 인생이라는 것을 나는 잘 알고있다. 내가 쓰는 글 역시 모두 연습이고, 이 연습 끝에 탄생하게 될 진짜 작품은 좋은 글을 쓰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시간, 나의 인생이라는 것도. - P81

고독이라면 모를까, 외로움은 우리를 자기만의 방이 아닌 타인의 방문 앞으로 데려다놓을 뿐이다. - P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야기는 건넌방에서 시작됐다. 작은 창으로 손바닥만한 세상이 보이던 방, 그 방에 스물세 살의 여자와 아기가있었다. - P7

마르그리트 뒤라스는 출산을 죄책감이라고 했다. 출산은 아기를 놓아버리는 것이며, 태어난 생명의 첫표명은 고통이라고. 실제로 출산 후 여자가 느꼈던 감정은 행복이나 충만함이 아닌 두려움과 불안이었다. - P7

‘있었다‘로 시작해서 ‘살았어‘로 끝나는 이야기들. - P8

"이야기로 나아가기"
내가 여자에게서 들었던 말이다. - P10

나는 엄마의 이야기로부터 ‘있다‘의 세계를 향한 믿음을 키웠고, 그것은 내 글쓰기의 토대가 됐다. - P12

나의 셰에라자드, 엄마의 이야기는 창조에 가까웠다.
이야기 속에서 엄마는 발견했고, 떠났고, 만들었다. - P12

그렇다면 하찮은 이야기를 해보면 어떨까. - P20

"사람이 참 하찮은 것에 매달려 살아" - P23

"여자들은 어쩔 수 없지."
그런가? - P23

"여자들은 그 어쩔 수 없는 것 때문에 자기 안에 중요한 뭔가를 만들어. 한 번은 반드시 그걸 바깥으로 꺼내야하고"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