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아이들과 노는 근린공원 산자락에 핀 참꽃이라 부르는 진달래다. 우리 조상들은 풀꽃이나 나물을 먹을 수있느냐 없느냐로 나누었는데 진달래는 먹을 수 있으니 참꽃이고 철쭉은 독성 때문에 먹을 수 없으니 가짜꽃 혹은 개꽃이라고 한다.
진달래는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이다. 봄이면 잎보다 먼저 가지 가득 진분홍빛 꽃이 핀다. 다섯 장의 꽃잎이 한껏 벌어져 있지만 아래는 한데 붙은 통꽃으로 가지 끝에서 3-6개의 꽃송이가 모여 달린다. 잎은 철쭉과는 달리 뾰족한 타원형이 광택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진달래와는 피를 나눈 변종과 품종이 몇 가지 자라는데 아주 귀한 것으로 힌 꽃이 피는 흰진달래, 잎과 자루에 털이 있는 털진달래, 잎이 넓은 왕진달래. 잎 표면에 돌기가 있고 윤이 나는 반들진달래, 열매가 가늘고 길며 한라산에 자라는 한라산진달래가 그것이다.(328쪽)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나무 백가지, 이유미, 현암사)
차례로 첫 사진은 한 달 전, 잎이 나기 전에 찍은 진달래고. 다음은 어제 찍은 연두잎이 난 진달래다. 그 다음 둘은 사무실 앞에 어우러진 철쭉과 영산홍이고, 마지막 둘은 우리집 마당에서 반기는 철쭉꽃!!
내가 어릴 땐 산에 진달래가 많았는데 요즘은 산에서 진달래 보기 어렵다. 왜 그런지 아시나요?
흐드러지게 핀 진달래 숲은 분명 아름답지만 생태학적인 관점에서는 그렇게만 볼 수는 없다. 이 나무는 척박한 토양에서 자라며 특별히 산성 토양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울창한 낙엽 활엽수림이 파괴되면 소나무가 등장하고 그 깨진 숲속에 진달래가 나기 때문이다. 그 동안 이 땅에 진달래가 유난히 많았던 이유는 산이 그만큼 헐벗고 척박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이제 우리의 숲은 제법 울창하게 우거져 가지만 한편으로는 대기 오염이나 산성비 등으로 피해를 받아 진달래도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대개 가을에 익은 종자를 따서 그대로 공기 중에 보관하다가 봄에 이끼 위에 파종한다. 삽목은 뿌리가 잘 내리지 않아 어려움이 있다.
진달래는 수분이 너무 많거나 한여름 볕이 너무 강한 곳을 좋아하지 않는다. 또 꽃이 잘 피게 하려면 꽃이 지려는 즈음에 꽃을 모두 따 주면 이듬해 더욱 풍성하게 꽃을 피우며, 꽃이 지고 순이 나올 때 일부만 남겨 놓고 따 주면 역시 실하게 나무가 커 간다. 또 실내에서 겨울을 춥지 않게 지내면 꽃이 피지 않는다. (330~331쪽)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나무 백가지, 이유미, 현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