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광주까지 7시간이 걸렸다는 뉴스를 접할 때마다, 한 시간 거리의 시댁이 참 고맙다. 내가 인천에서 살았다면 민족의 대이동이라는 저 대열에 합류했을 거라고 상상하면 겁난다. 명절마다 고향을 찾느라 고생하는 그들에게 존경을 표한다. 우린 설 전날 아침 10시에 집을 나서 광주 무안 고속도로를 이용하니 한 시간이면 족하다. (사진 시간에서 - 40분)
아이들이 어려야 설 분위기도 산다. 곱게 차려 입은 한복 만큼이나 세뱃돈을 기대하는 아이들의 눈빛이 반짝여서 좋다. 우리 아이들 어릴때만 해도 그랬는데, 이젠 막내가 열다섯이니 반짝이는 눈빛보다는 '세뱃돈 많이 벌어야지(?)...' 음흉한 계산이 작동한다.
93년 1월 우리 큰딸이 네 살, 증조할머니께 천원짜리 세뱃돈을 받는다.^^ 아버님이 빳빳한 새돈을 담아 봉투를 드리면 하나 둘 헤아려서 증손주와 손주들에게 주셨다. 곱고 단아한 모습으로 한 세기를 넘겨 102살까지 사셨으니, 이 사진 이후로도 10년이나 지속되었던 설날 풍경이다.
증조할머니부터 할아버지 할머니, 큰엄마 큰아빠~~ 순서대로 세배를 마치면 큰집 조카들은 우리 민주에게 절을 받고 세뱃돈을 주며 즐거워했는데 이젠 결혼을 앞둔 꽉 찬 나이가 되었다. 이번 설에는 예비고딩인 우리 둘째에게 '물 흐르듯이 살면 안된다'는 당부의 말을 전하며 금일봉까지 하사해 온당지기의 모습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 접힌 부분 펼치기 >>
96년 2월 19일 설날 사진인데, 막내는 한복사진이 안 보인다. 아마도 돌 전이라 한복을 안 입힌 듯... 둘째가 네살, 첫째가 여덟 살로 학교 가기 전인데 표정이 왜 저럴까? ^^ 민경인 지금 식탁 위에서 재롱떠는 중이다. 이젠 조카들이 결혼해 아기가 태어나야 설풍경을 되찾을 수 있겠다.
|
<< 펼친 부분 접기 <<
이번 설에는 아이들이 팀을 짜서 전도 부치고 만두도 만들어, 20년째 전을 부치던 나는 처음으로 손을 놓았다. 그럼 뭘 했냐고? 전과 만두 소를 준비하고 드디어 생선을 찌는 자리로 등극했다. 그동안 큰동서의 지휘하에 나물은 했어도 생선을 찌는 건 20년 만에 처음 했다.^^
아이들이 크니까 왜 여자들만 일하고 남자들은 먹고 즐기기만 하냐면서 자기들 세대에선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강력하게 제기됐다. 서른이 된 조카는 곧 결혼하면 자기 색시 고생할까봐 주방에서 살거라는 큰엄마의 설득으로 큰조카는 빼고, 성주도 큰엄마와 짝을 이뤄 고기전도 부치고 만두도 빚었다. 사실 남편은 내가 안 키웠으니 뭐라 할 말 없지만, 시대가 시대인지라 내가 키우는 아들은 청소기며 설거지를 시켜서인지 음식하는 것도 손에 익은 듯 잘 해냈다. 우리 아들은 반드시 '사랑받는 남편'이 되게 할거얌!ㅋㅋㅋ 좁은 주방에서 옹기종기 일하느라 사진은 따로 따로 찍었다. 보장되지 않는 초상권을 스스로 지키는 컨셉이란다.^^
>> 접힌 부분 펼치기 >>
딸 셋이 모든 전을 부치려면 하루 해가 다 가게 생겼으니 고기전은 큰 엄마와 성주가 한짝이 되었다. 많이 해본 듯 손에 익은 성주 솜씨에 큰엄마가 놀라셨다.^^ 이어서 만두까지 넷이 다 빚어서 나는 한개도 안 만들고 찌기만 했다.
|
<< 펼친 부분 접기 <<
아이들이 빚은 만두를 쪄냈다. 김치를 넣은 것과 넣지 않은 두 가지라 색깔이 다르지만 김치만두가 인기 있었다.^^
이번 설에는 차 문화를 즐기는 큰아주버님 덕분에 우아하고 고상하게 차 강의를 들었다. 일명 '물고문'이라 불린다. 설 전날엔 민주가 큰아버지와 차를 마시며 장장 3시간에 걸친 강의를 들었는데, 차를 즐기는 친구 덕분에 관심이 있었는지 큰아버지의 명강의를 즐긴 듯하다. 찻잔도 하나 얻었고 다음에 친구를 데려오면 차를 대접한다고 약속했다면 좋아했다.
설날엔 남자들만 성묘를 다녀왔고, 민주는 처음으로 설거지를 하느라 고생했다. 대학생이라고 세뱃돈도 두둑이 받았으니 권리만 누리지 말고 의무도 행하라는 엄마의 압력에 의한 봉사였지만 느낀게 많은 듯.^^ 오후엔 막내 시누이네가 와서 점심을 먹고 시숙님의 다문화 강의 2탄~~~ 우아하게 차를 마시며 화기애애한 대화를 나누는 시간이 좋았다.
차를 즐기는 사람들끼리 공유하는 세계에 우리도 한발을 디딘 셈이다. 막내 시누이와 우리 남편은 진즉 다구를 얻어 즐기기 시작했는데, 이번에도 각종 차와 자사호를 하나씩 얻었다. 오른쪽이 우리집에 온 것. 덩치나 색상을 봐선 왼쪽 걸 고를 줄 알았는데 작고 깜찍한(?) 마누라 고르듯 오른쪽 걸 골랐다.ㅋㅋㅋ
보이차는 우리나라 스님들이 먼저 마시기 시작해 3~40년쯤 되었고, 녹차는 오래되면 안 좋아지는데 보이차는 오래될수록 좋은 차가 되어 가보로 물려주기도 한단다. 첫물은 버리고 두번째부터 보통 다섯 번까지 우린 차를 마신다. 처음 마신 차는 철관음, 생차는 일반적이고 전통적인 방법으로 만든 차, 인위적으로 숙성시킨 차를 숙차(와인색이 나지만 탁하고 맛이 달달하다), 산차(덩어리지지 않고 잎이 하나 하나 떨어진 차로 향은 강하지만 색이 옅고 맛은 떨어진다) 광운공병은 와인색이 나고 맑은데 구하기가 어렵단다.
내가 경험한 생차는 녹차향이 나고 숙차는 지푸라기 같은 향이 났다. 초보자가 오묘한 맛의 세계를 감지하거나 표현할 능력이 없으니 이 정도로... 우린 2~3년 된 차부터 10년 20년 된 차를 마셨는데, 민주는 거의 3시간 가까이 강의를 들으면서 더 마시겠다고 해서, 큰아버지도 일년에 한번 마신다는 40년 된 차를 마셨단다. 우리 딸은 큰아버지의 다문화를 전승할 수제자(애제자)의 자리에 오른 듯하다.^^
자사호(자사로 만든 차주전자?^^) 자사는 오래될수록 좋은 품질로 인정하기에 호에도 뜨거운 물을 자주 부어주면 색깔이 변하고 촉감도 부드럽게 된단다. 다른 차를 마실때마다 호를 다른 것으로 해야 차의 맛과 향을 구별할 수 있단다. 여기 보이는 자사호가 일곱 개니까 우리가 마신 차도 일곱 가지였다는 것~~~
포대화상인데, 뒤에 자루를 달고 다니며 구걸해서 없는 사람들에게 나눠주었다고 한다. 요것도 자사로 만든 것으로 여기에도 자주 차물을 부어준다. 아래 우렁이도 같은 용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