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손 큰 할머니의 만두 만들기
채인선 글, 이억배 그림 / 재미마주 / 2001년 1월
평점 :
채인선님의 글맛과 이억배님의 그림이 어우러진 아주 아주 신나는 우리 이야기책이다. 그냥 그림만 봐도 입이 벙그러진다. 넉넉한 할머니의 얼굴엔 웃음이 끊이지 않고, 옹기종기 모인 동물도 신명난 표정이다. 또한 이 책의 노랫가락은 어깨를 절로 들썩거리게 한다. 아이들도 반복되는 가락이 재미있는지 서로 따라하며 즐거워한다.
만두 만두 설날 만두 / 아주 아주 맛난 만두 / 숲 속 동물 모두 모두 / 배불리 먹고도 남아 / 한 소쿠리씩 싸 주고도 남아 / 일 년 내내 사시사철 / 냉장고에 꽉꽉 담아 / 배고플 때 손님 올 때 / 심심할 때 눈비 올 때 / 한 개 한 개 꺼내 먹는 / 손 큰 할머니 설날 만두 /
이 책을 보면서 '만두소, 만두피'라는 것도 알고, 만두 재료로 들어가는 '김치, 두부, 고기, 숙주나물'도 줄줄 읊어대게 된다. 또 '소쿠리'와 '함지박'이 어떻게 다른지 구분할 수 있다.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엿새, 이레 날수를 헤아리는 것도 배우게 된다. 등장하는 숲 속 동물들의 이름도 줄줄이 꿰차며 자기 생김대로 만두를 만들었다는 것에 어린 독자들은 환호하며 부러워했다.
뭐니 뭐니 해도 이 책의 압권은 할머니의 손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는, 만두소와 밀가루 반죽이다. 세상에 지붕으로 덮었던 함지박을 가져와, 삽을 들고 함지박 안으로 들어가 만두소를 버무린다니~~~ 게다가 밀가루 반죽은 방 문턱을 넘어 툇마루를 지나 마당을 지나 울타리 밖으로 한없이 밀려간다니 정말로 놀랄만한 큰 손이다. 아이들은 밀가루 반죽이 더러워서 어떻게 만두를 만드냐고 걱정이다! ㅎㅎ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349637.jpg)
신나는 옛날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현대의 최신 장비 하나! 바로 망원경을 들고 나무 위에 올라가 지휘 감독하시는 우리의 손 큰 할머니, 아이들은 마치 비밀을 찾아낸 듯 즐거워했다. 이억배 화가의 센스가 돋보인다.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349635.jpg)
이레 동안 만두를 만드느라 지쳐버린 동물들, 할머니는 남은 반죽을 보자기처럼 펼쳐서 남은 만두소를 모조리 쏟아 부어 세상에서 제일 큰 만두를 만든다. 어이쿠~~~ 이렇게 큰 만두를 어떻게 붙일까? 양쪽에서 만두피를 잡고 "야아~ 야아!" 함성을 내지르며 앞으로 달리는 동물들, 얼마나 신이 날까? 싸리비만한 돗바늘을 가지고 만두 입이 터지지 않도록 꽁꽁 꿰매는 장면도 재미있다. 엄청나게 큰 가마솥을 끌어 와 이 큰 만두를 삶아 다같이 나눠먹는 모습은 함께 나누는 기쁨을 절로 느끼게 된다.
중요한 건 만두를 먹고 한 살 더 먹는다는 것! 아이들은 떡국을 먹어야 한 살 더 먹지, 왜 만두를 먹고 한 살 더 먹는냐고 따져 묻는다. 뭐라고 답해야 할까? ㅎㅎ 우리 어려서는 설날에 만두를 넣은 떡국을 먹었는데... 요즘엔 그렇게 하는 가정이 많지 않아서, 설날에 떡국만 먹는 것으로 아는 아이들이 많다. ㅠㅠ 그래도 이 책을 읽고 나면, '손이 크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알게 되니, 이번 설날엔 나눠먹는 경험을 즐기지 않을까 싶다.
넉넉한 할머니처럼 우리네 손도 커서 이웃과 나눠먹는 풍경을 많이 보여주면 좋겠다. 이번 설에는 큰집에 가서 만두를 만들자고 해야겠다. 식구들이 좋아하는데도 혼자 하기엔 엄두가 안 나서 번거롭다는 핑계로 안 만들게 된다. ^^ 자~ 이번 설에는 아이들과 같이 우리도 만두를 빚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