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마네킹 > 새마을청소년 학교에 대한 추억-지리산

1983년 8월 14일

이리역 광장 시계탑 밑에 배낭을 맨 학생들이 하나 둘 모여들고 있다.

이들은 학생이라고 보기에는 청준남녀들이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나도 그 속에 함께 있으니 같은 무리가 되어버렸다.

그 중 나보다 두 살 위인 화숙이라는 학생이 있었는데 피아노 교습소를 운영하고 있었다.

집에서 가지 말라고 한다며 우리를 배웅하러 나왔단다. 그러더니 집에 그냥 다녀올래요 하는 전화를 하더니 우리와 동행해 버렸다.

절친한 친구 양규도 같은 교사가 되어 여행을 함께 떠났다.

기차는 전주 임실을 거쳐 우리를 남원에 내려놓고는 그냥 가버렸다.

우리를 태운 버스는 여원재를 지나 운봉, 인월을 거쳐 백무동에 이르렀다.

덜컹이는 버스 속에서 보이는 계곡의 바위들과 물들이 녹음과 어우러진 모습은 한폭의 산수화였다. 버스의 엔진이 시원찮은지 길이 험하고 그래서인지 버스는 백무동을 오르는 동안 수차례 멈춰섰다. 옆은 계곡인데 하면서도 뭔가 모를 스릴을 만끽했는지도 모른다.

하여튼 무사히 우리는 백무동에 다다를 수 있었다.

숙소를 정하고 짐을 푼 후 한신계곡으로 향하였다.

집떠난 기분에 모두는 신이 나 있었다.

폭포수에 발을 담그고 일부는 물로 뛰어들어 물장난 치고 오랜만에 동심으로 돌아간 모습이었다.

저물어가는 여름을 관조하며 숙소로 내려왔다.

저녁을 마친 후 널찍한 장소를 골라 모닥불을 피우고 빙 둘러 앉았다.

밤이 이슥해지면서 캠프파이어의 불은 더 이글거렸고 카세트에서 흘러 나오는 음악은 모두를 신이나게 해 젊음을 발산할 수 있었다.



이른 새벽 4시

주위에서는 지리산 일출을 보려는 등산객들의 모습이 여기저기 눈에 띈다,

우리는 단체란 취약점 때문에 이른 아침을 들었지만 시계는 7시를 넘고 있었다.

학생들은 주로 회사에서 종이토록 앉아 일을 하는 이유때문에 지리산을 오르는 일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뒤쳐지는 학생들을 부축하며 4시간여를 오른 끝에 장터목에 다다랐다.

그 사이 지나는 고사목 지대는 안개가 자욱이 끼어있어 신비감을 주고 있었고 펼쳐지는 산아래의 풍경은 정말 감탄사가 나올 정도였다.

장터목에서 피로가 지나친 학생 몇과 친구 양규를 아쉬움으로 남겨두고 하늘로 통한다는 통천문을 지나 천왕봉에 드디어 올랐다.

'야호'라는 함성과 함께 남한 최고봉에 올랐다는 기쁨을 누렸다.

하늘 아래 내가 최고 높은 곳에 있다는 것을 느끼는 순간이었다.

그날 밤은 모두가 잠을 이룰 수 가 없었다.

지리산 최고봉인 천왕봉을 올랐다는 성취감이 모두를 휘감고 있었기 때문이었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마네킹 > 새마을 학교에 대한 추억-입학

1월 중순이 되면 굳게 닫혀있던 교무실 문이 열리고 얼어붙은 교무실 난로는 석유 몇 방울에 몸을 녹이고 온기를 되살려 낸다.

그동안 만나지 못해 밀렸던 이야기가 교무실을 가득 메우고 학교 운영에 관한 계획을 세우고 본격적인 학생 모집에 들어간다.

모집광고에 대한 초안 작성과 더 많은 학생들을 모집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원서를 준비하여 인쇄소에 맡기고 모집광고문이 마련되면 여기 저기서 자전거를 구하고 풀을 끓여 그릇에 담는다.

몇 개 조로 편성하여 이리시를 분할 한 다음 시내 구석구석을 누비며 광고게시판, 전신주, 벽 등에 무언가 붙어 있는 곳이면 하나고 남김없이 붙이고 다닌다.

그것도 근로자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을 중심으로 붙여 나간다.

학생을 통한 모집이 모집이 가장 중요하여 재학생과 졸업생들을 동원해서 새마을 청소년학교를 홍보한다.

다른 야학에 인원을 빼앗기지 않아야 학교를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선거전과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교무실을 개방하고 3-4교대로 근무를 한다.

찾아 오는 학생들에게는 배움의 필요성과 우리 학교의 장점 그리고 단점을 이야기 해 준다.

그래도 장점이 주로 이야기 되지만.....

그리고 2년동안에 3년간의 과정을 마치기 때문에 수업 부담이 있으며 검정고시를 보아야 한다는 설명도 함께 해 준다.

낮에 시간을 내서 시내를 돌아다니며 홍보물을 붙이고 밤에는 학교에서 학생들을 기다리며 시간을 보내게 되면 뱃속이 출출해 진다.

그 때 가장 우리가 먹는 훌륭한 음식은 순대국밥.

순대국밥에 묵은 김치를 쭉찢어 걸쳐 먹은 그 맛이란! 지금도 가끔 생각이 나지만 실제 먹어 보면 그당시의 느낌이 나지 않는 것은 시간의 흐름때문일까!

2월말이 되면 교무실도 취업이나 군입대 등으로 선생님들고 바뀌게 된다.

새로 들어오는 선생님들은 모두가 각오들이 대단하다.

누가 시켜서도 아니고 보수가 있는 것도 아닌데.

젊음 그 하나만의 열정으로 학생들을 가르친다는 것이 보람된 일이라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을 것이다. 나도 그랬으니까

3월이 되고 입학식이 시작되면 모두가 새롭게 만나는 친구들 그리고 교실.

교과서도 학생수에 맞게 구입하고 나누어 주고 환경정리도 하면서 교복은 없지만 새롭게 시작한 학창시절이 꿈처럼 느껴지는 시기이다.

그당시 신상훈 산부인과원장님이 새마을 청소년 학교 교장선생님이셨었다.

학생들을 위한 이야기도 많이 해주시고 학교 운영비의 대부분을 도맡아 학교 운영에 도움이 많이 되었었다.

지금쯤은 많이 주름진 얼굴이 되어 있을 것 같다. 그래도 그 모습을 한 번 보고싶다.

아마 우리들 얼굴은 잊지나 않으셨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마네킹 > 물린 부위 침바르는 습관 고치자

사람들은 벌레에 물리면 그 자리에 침을 바르는 버릇이 있다.

침을 발랐을 때 가려움증이 줄어드는 것은 알카리성 물질인 침이 산성 물질인 벌레의 독성을 중화시켜 단순히 자극을 줄여주기 때문이라고 한다.

침은 90%의 물과 유기물 및 무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점막보호 및 항균, 소화촉진 혈액응고촉진 등의 작용을 한다.

이중 항균작용을 하는 것은 면역글로블린이라는 단백질이 한다.

하지만 침 속에 섞여있는 면역글로블린의 양은 극히 적다. 때문에 침의 향균효과는 매우 적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침 속에는 연쇄상구균 및 포도상구균 등 각종 세균이 있어 상처를 더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벌레에 물리면 차라리 물로 깨끗이 씻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고창군 신영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마네킹님의 "사춘기의 한 고비 - '죽음이 뭐지?'"

반올림 같은 이야기를 소설화된 것이 있었네요. 안타깝게 죽어간 어린 학생들을 위해 써려갔다는 말에 동감합니다. 엊그제 서해대교에서도 이런 일이 있었는데 그들에게도 명복을 빕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마네킹 > 사춘기의 한 고비 - '죽음이 뭐지?'
어느 날 내가 죽었습니다 (반양장) 반올림 1
이경혜 지음 / 바람의아이들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가 한 소년의 어이없는 죽음을 전해듣고 며칠내내 슬픔에 잠긴다. 부모의 심정이 되어서였나보다.

어느날 내가 죽었습니다.

파란 표지의 재준이 일기장의 첫장에 쓰인 말. 재준엄마에게 받아 든 유미의 가슴저미는 아픔. 몇 덜 전 불의의 사고로 죽은 재준이의 예언같은 글자가 유미를 답답하게 한다. 노래가사를 만들어 재준이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낸다. 그 순간 재준이는 텅 빈 거리를 날아올라 하늘로 날아가고 만다. 메시지에 대한 답장도 없이.

유미와 재준은 크리스마스 이브에 춘천까지 여행을 함께 떠난다. 위정하. 정소희에게 모두 딱지를 맞은 그들만의 실연이겨내기 여행인 것이다. 서로에게 준 선물은 속옷과 일기장. 그 일기장에 재준의 마음이 그리고 아픔이, 미래가 담겨져 있다. 중학교 3학년이라면 이몽룡과 성춘향의 또래이다. 청소년의 마음이 그리고 생각이 솔직담백할 시기이다. 일기에는 죽음이라는 것을 시체놀이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학교에서 재준이 운동장에서 시체놀이를 하면서 진짜 자신이 시체가 되었다면 하는 생각에 사로잡힌다.

재미있단다. 죽었다고 생각하고 세상을 다른 눈으로 보면서 살 수 있다는 것이. 작가가 사춘기 아이들의 마음을 염세주의에서 헤어날 수 있을 정도로 표현하고 있는 듯 하지만 인터넷 사이트에 옮겨다니는 자살사이트를 생각나게 하는 순간 움찔하며 소름이 돋는다.

그래도 유미는 재준이가 정소희를 끔찍히도 사랑했었다는 것에 위안을 삼는다. 사랑도 한 번 제대로 하지 못했다면 억울했을 거라며 재준이를 자유롭게 놓아준다.

반올림이라는 드라마적 성격을 띤 성장소설로 아이들이 보다가 놓고같 것을 얇아보이고 제목인 조금은 수상(?)하여 펼치게 되었는데 단숨에 읽어내려갔다.감수성이 예민한 사춘기 아이들의 심리상태를 '죽음'이라는 강한 자극을 제시하면서 풀어가고 있다.

교통사고 같은 어이없는 일에 아이들이 어이없이 사라져가는 일이 많아져 작가는 그들의 모습에서 유별나고 극적인 삶을 살게 하고 싶지않고 평화스럽게 성장하기를 바라면서 글을 마무리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