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의 수레바퀴 - 죽음을 통해 삶을 배우고자 하는 이에게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지음, 강대은 옮김 / 황금부엉이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은 호스피스라는 말을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말기 암환자 같은 살아날 가망이 없는 환자들에게 불필요한 의료 행위를 자제하고 보다 인간답게 존중받으면서 죽어갈 수 있도록 돌보는 것을 의미한다. 의료진뿐만 아니라, 많은 자원봉사자들이 그런 환자들을 돌보며 고통받지 않고 생의 남은 날들을 값지게 보내도록 도와주고 있다고 들었다. 그런데, 그 호스피스 운동의 대모라고 할 수 있는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가 남긴 자서전을 보면 처음부터 호스피스란 개념이 환영 받은 것은 아닌 모양이다. 그녀는 죽어가는 환자를 이용해 자신의 명성을 드높이려는 여자라는 비난에 맞서.. 죽어가는 사람과 그를 바라보아야만 하는 사람, 그리고 그들을 진료하는 의료진의 아픔과 상실과 고통에 대해 이야기한 최초의 여자였다.
평생에 걸쳐 수 많은 죽어가는 환자들을 면담하고, 그들과 그 가족을 위한 워크샵을 개최하고, 필연적으로 죽음에 맞닥뜨려야 하는 의료진들과 종교인들을 위한 세미나를 열며.. 그녀가 결국 꿈꾼 것은 마지막 순간까지 참되게 살 수 있는 인간의 권리가 아니었을까?
엘리자베스는 죽음이란 마치 벌레가 고치를 벗고 나비가 되듯, 육신이라는 허물을 벗어버리고 자유로운 나비가 되어 본래 자신이 태어난 생명의 근원(그것을 하느님이라고 하건, 신이라고 하건, 부처라고 하건 뭐라 부르건 간에.. 모든 생명과 존재의 바탕)과 하나 되는 기쁜 일이라고 여겼다.
그녀의 삶 자체.. 인간에 대한 예의와 연민을 지니고 자신보다 약한 사람에게 기꺼이 자신의 손을 내밀 줄 알았던 그녀 자체가 참 대단하게 여겨졌다. 신이 우리에게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준 만큼, 최선의 선택을 통해 자신의 삶을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했던 엘리자베스는 그래서 남보다 어려운 길을 걸어가면서도 스스로에게 당당했다.
책에 나오는 몇 몇 구절을 베껴 놓았다. 진짜 삶의 귀감이 되는 구절들이다.
"누구나 삶 속에서 고난을 경험한다. 쓰라린 경험을 하면 할수록 거기에서 더 배우고 성장한다."
진정으로 인간을 치유하는 것은 오직 조건 없는 사랑뿐이다.
사후의 삶의 입구에서 누구나 똑같은 질문에 직면한다. "얼마나 봉사를 해왔는가? 돕기 위해 무엇을 했는가?" 그 때까지 기다린다면 대는 이미 늦는다.
삶의 유일한 목적은 성장하는 것이다. 우리의 궁극적인 과제는 무조건적으로 사랑하고 사랑받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모든 사람은 같은 근원에서 왔고 같은 근원으로 돌아간다.
우리 모두는 무조건적으로 사랑하고 사랑받는 법을 매워야 한다. 인생에서 만나는 모든 고난과 모든 악몽. 신이 내린 벌처럼 보이는 모든 시련은 실제로는 신의 선물이다. 그것들은 성장의 기회이며, 성장이야말로 삶의 유일한 목적이다.
먼저 자신을 치유하지 않고는 세상을 치유할 수 없다. 준비가 되고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영적 체험을 할 수 있다.
오늘은 어제 한 일에, 내일은 오늘 하는 일에 좌우된다.
오늘 하루 자신을 사랑했는가?
곷을 공경하고 꽃에게 감사했는가? 새를 사랑했는가? 산을 올려다보며 외경심을 느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