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 (특별판)
로맹 가리 지음, 김남주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유주얼 서스팩트]란 영화를 보다가 마지막에 가서 우와! 하면서 경악한 적이 있었다. 처음 그 영화를 보고 나서는 너무 놀라우면서도 하나 하나 영화 속에 마지막 반전을 위해 그럴 수 밖에 없는 개연성과 힌트를 숨겨 놓은 감독의 재능에 감탄했었다. 지금이야 대부분의 영화들이 관람객들의 허를 찌르는 반전을 만들기 위해 이런 저런 장치를 숨기는 것들이 일상화되어서, 오히려 그런 반전이 없는 영화는 무언가 밋밋한 느낌까지 들기도 하지만, 마지막의 충격적인 반전이 머리 속에서 그럴 수도 있겠구나, 혹은 아! 그래서 그랬구나 하는 수긍과 감탄을 불러일으키는 경우는 여전히 드물다.
이 책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는 바로 그런 잘 만들어진 반전 영화 같은 느낌을 주는 로맹 가리의 단편을 모은 소설집이다. 로맹 가리는 자살로 생을 마감한 소설가로 그의 사후에 [자기 앞의 생]이란 작품을 쓴 에밀 아자르가 사실은 로맹 가리 자신임이 밝혀져 더 유명해진 사람이라고 한다. 자기 자신의 삶 자체를 놀라운 반전으로 매듭지은 사람이라고나 할까?
그런 사람이 쓴 소설집..어쨌든 이 책에는 그 로맹 가리의 중단편 16편이 실려 있다. 거기에는 놀라울 정도로 다채로운 배경을 가진, 다양한 등장인물들이 다양한 장소를 배경으로 등장한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그러나 꼭 현실 속 어딘가에 살고 있을 것 같은 사람들이 겪는 그럴 법한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것이 소설이라면, 로맹 가리야 말로 그런 재능을 타고난 소설가인 듯 싶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들이 짧은 이야기 속에서도 생생하게 느껴질 뿐만 아니라, 왠지 모든 인간 속에 내재되어 있는 본성을 조금씩 엿보게 되니 말이다.
이야기 들중 내 마음을 특히 끄는 이야기는 자신 안에 꿈틀거리는 예술적 감수성으로 고통 받는 외교관의 이야기를 그린 [류트]와 좀 다른 방식으로 독일의 유태인 학살 비극을 다룬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이야기]이다. 두 작품 모두 어떤 면에서는 충격적인 반전을 깔고 있다.
먼저 류트에서는 겉보기에는 든 면에서 완벽한 삶을 영위하는 한 외교관이 등장한다. 그러나 내면적으로 그는 자기 안에서 꿈틀거리는 예술가적 감수성으로 인해 내적으로 고통받고 있다. 그는 자신의 내면적 욕구를 충족시켜줄 만한 완벽한 품을 만나기를 고대하며 고미술상을 돌아다니지만, 완벽한 듯 보여지는 작품들도 섬세한 그의 눈에는 무언가 부족한 듯 보였다. 그런 그의 고통과 갈등은 이제 집안의 식구들이나, 그가 종종 들르곤 하는 고미술 가게의 주인의 눈에까지 드러나게 되었다. 그러다 우연히 오래된 터키의 악기 류트를 만나면서 그의 그런 갈등은 드디어 해소되기에 이른다. 더할 나위 없이 완벽하게 아름다운 류트를 통해, 그의 예술적 감수성, 무언가를 표현하고 싶지만, 갇혀있는 듯한 그의 감수성이 표현되어지려고 하고 있었다.
당연히 나는 드디어 그가 자신의 길을 찾은 거구나 하고 생각했다. 물론 처음 접하는 악기를 대번에 잘 할 수는 없겠지만, 런던의 주식 중개인이었다가, 40도 넘은 나이에 그림을 그리게 되는 고갱처럼 이 사내도 드디어 자신의 가식과 체면을 벗고 류트와 함께 진짜 삶을 사는 이야기겠구나 생각했다. 그래서 간간히 등장하는 외교관의 아내가 남편을 위해 류트를 뜯는 마지막 구절을 보면서 나는 말 그대로 멍했다. 나의 당연한 예상을 보기 좋게 벗어난 경탄스러운 결말이었다.
자신 안에 감당하기 어려운 예술적 감수성이 꿈틀거리다, 결국 어떤 타락의 길에 이르는 외교관과 그를 사랑하기에 어쩌면 평생 자신을 희생했던 그의 아내에 대한 이야기라고도 볼 수 있고, 또 반대로 자신이 원하는 완벽한 삶의 이미지를 위해 자기 자신과 주변 모두를 속이는 아내와 비록 비루하지만, 자신이 원하는 대로 살고자 하는 남자의 충동에 관한 이야기로 해석해 볼 수도 있을 듯 싶다. 그리고 타인의 내적 고통을 즐기는 고미술상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재해석 해 보아도 재미있을 듯 싶다. 길지 않은 이야기이지만, 참 여러 가지 해석의 여지를 남기는 작품이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이야기]는 2차 대전이 끝난 것도 믿지 못하고, 유태인들의 나라 이스라엘이 건국된 것도 다 독일군들이 마지막 한 명의 유태인까지 찾아내 학살하기 위한 잔인한 술책이라고 생각하면서 볼리비아까지 와서도 자신을 학대하고 고문했던 나치 간부를 숨겨두고 그의 비위를 맞추며 그를 부양하고 있는 유태인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의 머리 속 시계가 수용소에서 멈춰져 있기에 세상이 아무리 바뀌었어도 그는 여전히 두려움에 떠는 나치 간부가 개인적으로 부리는 유태인 포로일 뿐이다.
스톡홀름 증후군이라는 게 있다고 한다. 인질이 어느 사이엔가 인질범에 동화되어 나중에 인질에서 풀려난 뒤에도 인질에게 유리한 증언을 해 주게 된다고 한다. 2차 대전 중에 잃어났던 유태인의 비극을 아주 짧은 분량의 이야기 속에 담고 있는 이야기였다.
로맹 가리가 에밀 아자르라는 필명으로 썼다는 소설 [자기 앞의 생]은 나도 예전에 읽었던 작품이다. 그런데, 성장 소설이라는 것 말고는 내용이 전혀 기억나지 않는다. 망할 기억력!! 도서관에 가서 [자기 앞의 생]을 다시 빌려 봐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