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경제학 1 - 부동산의 비밀 위험한 경제학 1
선대인 지음 / 더난출판사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일 전세값이 들썩이고 있다. 내년 봄에 이사를 가야 하는데, 여기 저기서 계속 오른다는 얘기만 나오니, 한편으로는 걱정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보수 수구 세력의 언론 플레이에 놀아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인터넷을 뒤져보면 어떤 사람은 이제라도 내 집을 마련해야 한다고 하고 또 어떤 사람은 앞으로 우리 나라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줄 거고, 조만간에 집이 남아도는 시기가 도래할 테니 절대로 집을 사면 안된다고도 하고...

그러던 차에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말 그대로 위험한 경제학! 누구에게?? 책을 읽다 보면 답은 확연하다.  

부동산, 절대로 사지마라!! 왜?? 지금 우리나라는 부동산 거품이 최고조에 이르렀으니까.. 뭐라고 하건 간에 지금 일부 지역에서 전세가와 집 값이 오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 이명박 정부가 자신의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부동산에 올인하면서.. 건설업체와 소위 강부자들의 입맛에 맞는 정책을 추진하기에, 당분간 부동산 값이 떨어지지 않을 것 처럼 보이지만, 어짜피 거품이란 붕괴하기 마련이다.    

집값이 국민 소득 대비로 너무 지나치게 높아졌다고 한다. 그러면 일반 국민들은 집을 살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기에, 당연하게 집을 많이 지어도 집이 팔리지 않게 되고, 미분양이 속출하면, 건설회사는 미분양을 해소하기 위해 집값을 내리게 되고 덩달아 고평가되었던 인근의 집값도 하락하면서 적정 가격으로 안정화되어야 하는데, 유독 우리 나라에서는 이것이 통하지 않느다. 분양이 안 될 것 같으면 정부에서 나서서 건설회사에 자금을 지원하고 미분양 물건들을 사주고, 일반 국민에게 저리로 주택 자금을 대출해 주면서 빚으로라도 집을 사라고 권유한다. 왜 그럴까? 


모래로 쌓은 성처럼, 빚으로 쌓아올린 부동산 값은 언젠가는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거다. 미국발 경제 위기로 아직까지 세계 경제가 어떻게 될지 불확실한데, 유독 한국에서만 다시 부동산 값이 들먹거리는 이유가 현정권이 자신들의 지지 세력인 일부 부유층의 기득권 유지를 위해 부동산 몰빵 정책을 펴면서, 부동산 거품을 더욱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란다. 또 정권이나 자본에 대한 비판 역할은 포기한 채, 스스로 거대 자본화되어 가고 있는 보수 언론들도 거기에 부화뇌동하고 있다고 한다.    

어느 정도는 납득이 되는 이야기이다. 우리동네 부동산만 가도 거래 없이 한산한데, 신문이나 뉴스에서는 전세값과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는 보도가 연일 나왔고, 부동산 값을 띄우기 위한 언론 플레이 덕분에 연일 집값이 오르는 것처럼 보인다. 저자에 따르면, 서울 시내 곳곳에서 재개발이 진행되기 때문에 앞으로 수년간 집의 공급은 줄고, 이사 수요는 늘어나니까 자연스럽게 집값이 오른다는 신문의 설명과는 달리, 올 하반기 새로 공급되는 아파트 분양 물량은 엄청나다고 한다.  또 보금자리 주택이니 뭐니 해서 앞으로 신규 공급되는 물량까지 감안한다면, 앞으로는 도권 일대에는 집보다 사람이 더 귀해지는 시기가 올 거라고 하니, 집 없는 나로서는 참 고마운 얘기다.   

그러니, 집 없는 사람들 안달하지 말고 진득하니 기다리다 보면, 국민 소득 대비 터무니없이 비싼 우리 나라의 집 값이 현실화될 날도 오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 지금 이 시점에 집을 사기 위해 무리를 하는 것은 주식 시장에서 상투를 잡는 것과 같다고 한다.  즉, 여태 부동산으로 돈 벌만큼 벌고 이제는 손 털고 나오려고 하는 부유층에게 서민이 평생 모은 재산을 헌납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어리석은 일이란다.   

부동산의 지나친 거품은 계속 유지될 수 없다는 저자의 말은 일리가 있어 보인다. 이미 우리 나라는 과거와 같은 고성장보다는  잘 해야 지속적 저성장, 혹은 마이너스 성장을 할 수도 있고, 또 급속하게 노령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는데, 과거처럼 사기만 하면 마냥 집 값이 오르던 시절은 이미 지나간 듯 싶다. 여태까지 우리는 부동산 값이 폭락하는 것을 별로 본 적이 없어서, 당연히 집이란 사 두면 언젠가는 집값이 오른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앞으로는 가능성이 적어 보인다.  

그럼, 나는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 저자의 말처럼 몇 년 더 전세를 전전하면서... 집값이 떨어지기를 기다려? 그런데 당장 내년 봄에 마땅한 전세집을 찾을 수는 있을까?? 집값이 앞으로 하향세를 타거나, 심하면 폭락할 수도 있다는 저자의 주장에 백번 동의하는데, 내년 봄의 일이 걱정스러운 건 왜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