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의 기쁨과 슬픔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일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된 생각이 있다.  

일이 곧 자기 자신이며,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는 생산적인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에, 일이란 곧 진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 혹은 생계를 위해 어쩔 수 없이 해야만 하는 짐이자 굴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딱 부러지게 전자/ 혹은 후자로 나누어지는 사람들도 있지만, 대개의 사람들은 두 가지 생각 사이를 오간다.

전자에 속한 사람들은 자신의 일은 하면서 진짜 자신이 존재함을  느낀다. 반면에 나처럼 약간 후자에 속한 사람은 일에서 벗어날 때 비로소 자기 자신을 찾은 것 같은 느낌을 갖는다. 일의 기쁨과 슬픔이란 바로 두 가지 태도에서 빚어지는 건지도 모르겠다. 일에 대해 어떤 생각과 어떤 느낌을 가졌던 간에 우리들은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일을 하면서 보낸다.  

그 일에 대해, 특히 일하는 세계의 아름다움과 권태, 기쁨을 파헤치기 위해 알랭 드 보통은 화물선, 새채 잡이 어선, 물류 창고, 송전선, 과자 공장, 로켓 발사대, 상담사, 회계사, 무명 화가, 창업을 꿈꾸는 사람, 비행기 제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등 다양한 사람들을 만났다. 

 진열대 위에 놓여 있는 참치 통조림을 보면서 그 통조림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떠올리고 실제로 몰디브까지 쫓아가서 참치를 잡는 어부들을 취재하고 고속도로 변에 있는 비슷비슷한 컨테이너 박스 형태의 물류 창고 안에서 세계 곳곳에서 오는 물건들을 분류하고 발송하는 직원들을 인터뷰하고, 송전선에 매료된 지인을 따라 송전선을 따라 여행하고, 기타 등등.. 직접 일하는 사람들과 부딪치면서.. 일 하는 자들의 모습에서 살아있는 생명력, 별 볼일 없는 일에 의미를 부여하고, 자신과 현재를 중심에 놓고, 코 앞의 회의에 집중하며, 또 그런 것이야 말로 진정한 우리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는데 가장 중요한 일이란 걸 믿게 하기 위해 무수한 노력을 하는 회사 관리자들을 보면서.. 알랭 드 보통은 말한다.  

우리의 모든 노력과 기획의 궁극적 운명은 소멸과 죽음일텐데, 적어도 우리의 일은 그것에 집중하는 동안에는 소멸이나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걱정을  떠나 완벽한 희망, 빛나는 내일에 대한 꿈을 꾸게 해 준다고.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성취가능한 몇 가지 목표로 우리의 가엾은 불안을 위로해주며, 그 일을 통해 작지만, 삶에서 무언가 이루었다는 느낌을 줄 수 있고, 의식주를 해결해 주며, 무엇보다 더 큰 괴로움에서 벗어나 있게 해 줄 것이다라고..!! 

그러니,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상태에서 맞이하는 권태나 불안보다는 차라리 일하면서 겪는 수고와 피로가 훨씬 더 나을 것이다. 더불어.. 일은 우리 모두가 갈망하는 돈도 가져다 주니 말이다.  

나의 경우에는 일의 기쁨이라면, 무얼 해야 할 지 모르는 무의미한 시간을 채워 주면서 생계를 해결할 수 있는 돈을 벌게 해 준다는 점이고 일의 슬픔이라면, 바로 그 시간에 일 이외에는 다른 일을 할 수 없다는 점일 것이다.  

어쩌면 내가 하루 중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직장에서 보내기 때문에 내 맘대로 하지 못하는 그 시간에 더 큰 의미를 두는 건지도 모르겠다. 일하지 않는 자는 먹지도 말라고 했는데, 난 일하지 않구도 잘 먹고 잘 사는 시대가 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