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독서광의 생산적 책읽기 50 - 미래를 위한 자기발전 독서법
안상헌 지음 / 북포스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제목 그대로 어떻게 보다 생산적으로, 자아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책을 읽을 것인가에 대해 50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   

책을 많이 읽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로 머리에 남는 것도 없고 가슴에 남는 것도 없다는 생각을 하는 것은 나뿐만이 아닐 것이다. 그런 사람들을 위해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담아 친절하게 충고한다.   

몇 가지 간추려 보자면..

책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중요한 내용이나 감동적인 부분을 외워라

책 내용이나 감동을 주변 사람들에게 말로 설명하거나(이런 과정을 통해 생각이 정리되고 머리 속에 더 깊이 각인이 된다), 때로는 한 페이지 정도로 글을 써서 정리해 두어라.. 행동에는 반드시 결과가 따르는 것처럼 독서 역시도 결과물을 산출할 수 있어야 한다.   

한 권의 책은 한 사람의 인생의 경험과 지식이 다 녹아있는 것이므로 쉽게 평가절하하거나 쉽게 포기하지말고 그 속에 숨은 보석을 찾도록 애쓰라.

독서를 통해 얻은 지식과 경험을 머리 속에 넣어두는 것만이 아니라, 자극을 통해 자신을 변화시키고 행동을 이끌어 내면서 항상 자신을 꾸준히 변화시켜라.   

여러모로 공감가는 부분이 많았다.  

또 책 내용 중간 중간에 저자 자신의 독서 노트가 삽입되어 있어서 아, 이 저자는 이런 식으로 독서를 하는구나, 어.. 이 책 나도 읽었는데, 이 책은 나도 다음에 한 번 읽어 봐야지.. 등등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게 되었다. 충분한 사례를 들기 위해 저자 스스로가 꼽은 다른 책들에 실린 명언들, 경구들, 이야기들이 대부분 나라도 밑줄 긋고 외우고 싶은 대목들이어서, 한 권의 책을 읽었지만, 다른 좋은 책들도 공짜로 (ㅋㅋ 이 세상에 공짜는 없다고 저자도 얘기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나에겐 공짜로 얻은 것처럼 느껴진다. ) 더불어 읽은 셈이다.  

특히 책에 소개된 [산월기]라는 작품 속 구절 

"지금 생각하면 나는 내가 갖고 있던 약간의 재능을 허비해버린 셈이지. 인생은 아무것도 이루지 않기에는 너무도 길지만, 무언가를 이루기에는 너무도 짧은 것이라고 입으로는 경구를 읊조리면서, 사실은 자신의 부족한 재능이 드러날지도 모른다는 비겁한 두려움과 고심을 싫어하는 게으름이 나의 모든 것이었던 게지. 나보다도 훨씬 모자라는 재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그것을 갈고 닦는 데 전념한 결과 당당히 시인이 된 자들이 얼마든지 있는데 말이야. 호랑이가 되어버린 지금에야 겨우 그것을 깨달았지 뭔가. 그것을 생각하면 나는 지금도 가슴이 타는 듯한 회한을 느낀다네.... 

내가 구슬이 아님을 두려워했기에 애써 노력하여 닦으려고도 하지 않았고, 또 내가 구슬임을 어느 정도 믿고 있었기에 평범한 인간들과 어울리지도 못했던 것이라네" 

수첩에 옮겨 적고 싶은 내용이다. 무언가를 이룬 사람에 대해 부러워 하거나, 때로는 시기하면서 아무 시도조차 하지 않는 나 자신의 심정을 대변해 준 것 같은 구절이다. 책 속에서 정곡을 찔린 느낌이다.  

남들과는 다르다고 느끼면서도 결국 별 볼일 없이 하루 하루를 그냥 소비하는 내 모습!!  

저자는 이런 나를 위해서 고맙게도 책 말미에 루스벨트의 명언을 소개해 주고 있다.  

"실패는 견디기 힘든 고통이지만 삶에 있어서 단 한 번도 성공을 위해 노력한 적이 없는 것은 더욱더 견디기 힘든 일이다. 인생에 있어서 노력하지 않고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