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득이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오래만에 읽어보는 청소년 소설이었다. 재미있게 술술 넘어갔지만, 과연 술술 넘어갈만한 주제였을까?? 무엇보다 좋았던 점은 책이 권선징악, 내지는 해피엔딩이라는 강박관념에 매여 있지 않았다는 것이다.

주인공 완득이는 17세의 거친 소년이다.. 꼭 움츠려든 고슴도치 같다는 생각을 했다. 베트남 출신 어머니는 완득이가 기억할 수도 없는 옛날에 이미 아버지와 자신을 버리고 도망가 버렸고 난쟁이 춤꾼 아버지는 허우대는 멀쩡하지만, 말투도 사람도 약간 모자란 삼촌과 함께 허구한 날 집을 비우고 카바레 삐끼를  하며 외지로 떠돌았다. 그런 환경에서 완득이는 세상으로부터 상처 받지 않고, 사람들 그 어느 누구와도 깊은 관계를 맺지 않은 채 있는 듯, 없는 듯 사는 법을 스스로 터득하면서 자라 왔다..  

그런 그에게 강적이 나타났다.. 바로 담임!! 동주였다!! 

날카롭게 가시를 세운 채 늘 웅크리고 있던 그를 담임 동주는 발로 차듯 툭툭 건드려왔다.. 학생들 앞에서 완득이의 아킬레스 건인 아버지와 가난을 대놓고 말하고, 급식품으로 받아온 햇반을 빼앗아  먹고 술 사오라고 시키고, 완득이 아버지에게는 되지도 않게 완득이가 글 쓰는데 재능이 있다는 식으로 뻥을 치면서 완득이의 든든한 보호자인 척하고... 

등등..  

오죽하면 완득이가 난생 처음 담임이 늘 다니는 교회에 찾아가 간절하게 한 첫 기도가 우리 담임 똥주 좀 빨리 하늘나라로 데려가 달라는 것이었을까?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완득은 조금씩 알아간다..  

그 동주를 통해 조금씩 세상을 향해 소통하는 법을 배우고, 어머니를 만나게 되고 자신 안에 쌓여 있는 분노를 표출하는 방법.. 친구가 되는 방법.. 등등을 배우면서,  살아 숨쉬는 사람이 되어 간다..  

이 책의 미덕이라면 버림 받은 소년 완득이가 어머니를 만나 행복해진다거나, 완득이가 핫복싱을 하면서 숨겨져 있던 자신의 눈 부신 재능을 발견해 나간다거나, 알고 보았더니 개떡 같은 선생인 줄 알았던 담임이  상처받은 학생들을 보살피며 불법 체류 외국인을 돕는 아주 훌륭한 분이라는 것을 신파조나 교훈조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 담담하게 조금씩 부족하고 모자란, 그래서 서로 터 놓고 의지하고 때론 기대고 때론 싸우고 때론 울고 때론 웃는 게 사람이라는 식의 사람 냄새 나는 글로 만들어 놓았다는 점 인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