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이야기
니시 카나코 지음, 권남희 옮김 / 생각정거장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얇은 책이다. 밥과 추억을 적절하게 엮어 쓴 글이다. 이 책 내용 중 일부는 이전에 네이버에서 본 것이다. 그때 아주 인상적이었던 몇 개의 상황 때문에 기억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카이로에 살았던 저자가 먹었던 달걀밥이다. 요즘은 거의 먹지 않지만 어릴 때 나 자신도 마가린과 달걀과 간장을 넣고 비빈 이 밥을 아주 좋아했다. 지금도 가끔 가족들을 만나면 이 당시 먹었던 이 달걀밥 이야기를 한다. 하지만 누구도 이 밥을 만들어 먹을 생각을 하지 않는다. 그 추억의 맛이 현실로 바뀌지 않을 것이란 것을 알기 때문일까? 아니면 그 순간 재료가 없는 것일까?

 

작가의 어릴 때 경험은 부족한 식재료에서 비롯한 것이 많다. 달걀밥도 그 연장선이다. 어머니가 쌀알에서 벌레와 돌을 하나씩 핀셋으로 찾아내었다는 에피소드를 읽으면서 우리 부모들도 그렇게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릴 때 유난히도 자주 씹고는 했던 돌들을 생각하면 작가의 어머니처럼 한 것은 아닌 것 같다. 이렇게 이 책 속 이야기는 과거의 추억과 기억을 떠올려주었다. 그리고 활자밥으로 넘어가면 절로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글로 표현된 음식의 매력은 독자의 상상력과 맞물려 최상의 음식이 된다. 요즘은 텔레비전 화면을 통해 본 음식들이 되겠지만. 물론 현실과 상상은 언제나 차이가 있다.

 

작가의 음식 취향 중 가장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불어터진 면발들이다. 국물을 빨아들여 원래 부피의 세 배까지 된 그 음식을 생각하면 고개를 절레절레 한다. 뭐 개인의 취향이니 내가 할 말은 아니지만. 그리고 글을 읽다 보면 왠지 모르게 작가가 남의 시선을 아주 많이 쓴다는 느낌을 받는다. 혼자 초밥집에 가지 못하는 것까지는 이해하겠는데 첫 데이트나 주문 등까지 신경을 쓰는 것을 보면 일본의 문화가 그런 것인지, 아니면 작가의 성향인지 의문이 생긴다. 잠깐 과거를 돌아보면 나에게도 비슷한 일이 있었지만 실제로 이 정도까지는 아니었다. 하나의 소재가 되면서 과장되게 표현된 것일까?

 

뉴욕의 맛이란 글을 읽으면서 머릿속에 떠오른 생각은 한식 외는 잘 먹지 못하는 주변 지인들이다. 사골 육수조차 싫어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들도 이 음식을 작가처럼 맛있게 먹을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다. 언제나 여행을 갈 때면 가장 중요시 생각하는 것 중 하나가 음식인 나에게 이 의문은 아주 중요하다. 그렇지만 활자밥의 위력은 먹고 싶다는 욕구를 더 강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 에세이의 마지막을 장식한 제이나브의 홍차는 맛보다 추억이란 식상한 문구가 먼저 떠오른다. 아마 달걀밥도 그럴 것이다.

 

마지막에 실린 단편 <놈>은 신의 다른 표현이다. 도발적인 표현인데 이런 경험을 한다면 나도 이렇게 말하지 않을까? 우유도 마시지 못할 만큼 부은 목을 가졌던 그녀의 이 경험은 제대로 실감할 수 없지만 링겔 속 영양만으로 살이 쪘다는 표현을 보는 순간 웃음이 나왔다. 먹지도 못하는데 살까지 찌다니 얼마나 억울한가. 이 단편 마지막에 가면 놈을 새로운 시각으로 보는데 나의 마음은 이 새로운 시각보다 그녀가 아침까지 취한 자세에 관심이 더 많다. 이런 모습은 아마도 이 책을 읽는 내내 계속해서 내 머릿속에 있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