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을 기억하는 남자 스토리콜렉터 49
데이비드 발다치 지음, 황소연 옮김 / 북로드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에 이 소설이 출간되었을 때 많은 스릴러 독자들의 호평을 받았다. 애칭으로 <모기남>으로 불렸고, 나도 어느 순간 ‘모기남’이라고 말하고 있었다. 역사 속에 엄청난 기억력을 가진 이야기가 나오지만 현실에서 이런 인물들이 있을 것이란 생각을 못했다. 작가에 따르면 전 세계에 수십 명이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왜 이런 사람들이 이슈화되지 않고 있을까? 모든 것을 기억하는 남자에 대한 책도 있는데 말이다. 이런 의문은 이 소설을 읽는 내내 이어졌다. 그리고 읽으면서 모든 것을 기억하는 것이 엄청난 장점이지만 또 엄청난 고통이란 것도 다시금 깨달았다. 그 고통을 극대화시켜 보여주는 것이 이 소설의 첫 장면들이다.

 

에이머스 데커. 전직 미식축구선수. 현직 경찰. 그가 집에 돌아왔을 때 처참하게 살해된 가족의 시체를 발견한다. 보통 사람에게도 엄청난 고통이지만 그는 더 심하다. 그가 바로 과잉기억증후군을 앓고 있기 때문이다. 즉 모든 것을 기억한다. ‘모기남’은 여기서 비롯했다. 이 비극과 고통은 그가 자살을 시도하려고 할 정도였다. 하지만 실패하고, 좌절하고, 거의 패인이 된다. 일상으로의 복귀는 아주 더디고, 완전하지도 않다. 범인은 짐작조차 하지 못한다. 이렇게 시간이 흘러간다. 그러다 그가 다녔던 맨스필드 고등학교에서 총격 사건이 일어난다. 동시에 그의 가족을 죽였다고 말하는 인물이 자수한다. 분노와 살의 가득한 그가 경찰서로 간다.

 

경찰서에서 만난 범인은 허술하다. 충분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신입 경찰을 속이고 면회를 했지만 범인이라는 확신이 들지 않는다. 그의 진술과 데커의 기억이 어긋난다. 그가 몰래 들어왔다는 사실을 서장이 알아채지만 그냥 넘어간다. 그러다 맨스필드 고등학교 총격 사건 조사원으로 채용된다. 서장의 선택이다. 이 학교에서 그는 사건 현장을 둘러보고, 사건 보고서를 읽는다. 모든 것을 기억하는 그는 자신의 모교란 장점을 살려 다른 시각에서 사건을 보게 된다. 사건 당일 들렸던 소리 등이 대표적이다. 이전까지 조사에서 결코 발견하지 못했던 장소를 찾아내고, 단서의 꼬리를 쫓아간다.

 

누가 봐도 범인이 아닌 것 같은 자수범과 고등학교 총격 사건은 뒤엮인다. 데커의 일차 관심은 가족을 살해했다고 자백한 범인이다. 하지만 이 범인은 변호사를 통해 너무 쉽게 풀려난다. 다른 곳 경찰에 잡힌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데커가 풀려난 그를 쫓고, 한 술집에서 대화를 나누지만 어느 순간 사라진다. 이 순간 독자들은 이 놈의 정체가 무엇일까?, 의문을 품게 된다. 그리고 이야기는 고등학교로 돌아가서 새로운 단서와 증거들을 발견한다. 이때 아주 큰 역할을 하는 것이 데커의 기억력이다. 창의성은 없지만 모든 것을 기억하는 그 기억력 말이다.

 

현대의 과학 수사는 방대한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하고 분류하고 걸러내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 이것을 한 번에 할 수 있는 인물이 데커다. 자료를 그가 보기만 하면 입력되고, 필요에 의해 불러내어지고, 분류된다. 과연 소설 속에서 묘사된 것 같은 다양한 능력이 이 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가능한지는 의문이지만 결정적인 단서를 발견하는데 아주 효율적이다. 데커에게 기억은 “떠오르는 것이 아니다. 그건 이미 거기 있거나, 아니면 없는 것”이다. 이 기억도 입력될 때 약간의 오류가 생기는 모양이다. 원본과 기억의 비교가 이루어지는데 이것이 결정적 단서가 된다. 이 능력만 놓고 보면 정말 부럽지만 그가 겪은 고통과 수많은 아픔 등을 생각하면 결단코 가지고 싶지 않다. 망각은 인간에게 주어진 최고의 선물이란 말도 있지 않은가.

 

솔직히 말해 데커의 원맨쇼에 전 동료 골초 랭커스터와 FBI 특수요원 보거트, 여기자 재미슨 등이 살짝 곁다리를 얹은 느낌이다. 가끔 창의적인 의견을 던져주지만 이들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데커의 발이 되거나 의지를 유지하는 일이다. 물론 묘사되지 않은 수많은 일들을 홈즈 등의 소설처럼 경찰들이 해주었을 것이다. 그가 단서를 빠르게 쫓고, 발견하고, 의견을 교환하는데 이들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작가는 너무 데커에 집중했다. 그의 능력과 삶을 풀어내는데 열심이었다. 이것도 이 사건들의 단서가 데커의 삶속에 있다는 것을 알고 이해하게 되었지만.

 

소설은 잔혹하고 거침이 없다. 하나의 죽음은 다른 죽음을 발견하는 단서가 된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하는 물음은 마지막에 풀리지만 그것을 따라가는 과정은 결코 쉽지 않다. 그 해답도 모든 것을 기억하는 남자처럼 완전히 납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뇌는 현재까지 미개척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이야기를 따라가는 독자들은 상식과 지식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 괴리를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나는 그냥 받아들였다. 그리고 이 데커가 다음 소설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한다. 금방 <괴물이란 불린 남자>에서 다시 만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