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수의 결사단 1
훌리아 나바로 지음, 김수진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6월
평점 :
품절


 몇 년 전 신문에서 성의에 대한 소식을 들은 적이 있다. 당시 기독교에 별다른 관심이 없고, 하나의 소문으로 치부하고 오랫동안 잊고 있었다. 그 후 다른 곳에서 성의가 시대적으로 예수 생존 당시의 것이 아닌 중세의 위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이 소설에서는 다른 주장을 펼친다.

성 수의가 보관된 토리노의 성당에서 불이 나고 몇 년 전처럼 혀가 짤린 시체가 나온다. 이에 이탈리아 예술품 관련 범죄를 전담하는 경찰팀인 예술부의 팀장이 이에 의문을 가지고 이를 파헤치기 시작한다. 그와 동시에 성의와 관련된 두 집단의 현재와 더불어 성의의 탄생과 에데사의 초기 기독교와 성당기사단의 등장이 서로 맞물려 돌아가면서 전개된다.

과거 에데사에서 성의를 보관하던 무리가 성의를 지키기 위해 보였던 처참한 행동과 성의를 빼앗긴 후 오랜 시간 그것을 찾기 위해 보여주는 집념과 노력을 상상을 초월한다.

성의를 소유하고 현재까지 보관하고 있는 성당기사단의 후손들의 힘은 구체적인 묘사는 없지만 엄청나다. 각 국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힘을 뻗치고 있다. 그 사이에서 예술부 팀원들의 성의와 관련된 사건의 추적과 스페인 기자 ‘아나’의 연구와 추적은 성의와 관련된 과거의 흔적과 성당기사단의 현재 모습을 밝혀나간다.

소설을 읽어나가면서 생각이 교차하는 작품이 몇 개있다. 최근에 나온 ‘다빈치 코드’나 ‘템플기사단’ 등이 그것이다. 뭐 이전으로 올라간다면 몇 가지 더 있겠지만 이 두 소설이 더 기억에 남는 것은 비교적 근대의 것이고, 성당기사단과 그들의 비밀이라는 동일한 소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두 작품이 다른 것이 ‘성배’라면 성 수의 기사단은 ‘성의’를 다룬다는 차이가 있지만.

왜 동일한 집단에 대한 다른 소재가 나왔을까? ‘다빈치 코드’나 ‘템플기사단’이 성배와 관련하여 예수의 결혼 여부를 다루어 새로운(?) 가설을 환기시켰다면 이 소설은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에 새로운 가정을 덧붙혀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 부분이 강한 동의를 하기 어려웠고 왠지 부자연스럽게 느껴진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성 수의를 둘러싸고 현재와 과거를 넘나들면서 펼쳐지는 이 소설이 쉽고 즐겁게 읽히지는 않았다. 처음엔 번역자의 탓인가 하고 약력을 보니 아르투르 페레스의 작품을 번역한 이였다. 페레스의 작품에 강한 재미를 준 번역이었기에 번역 탓만 할 수 없다.

전체적으로 소재가 주는 재미와 전반적인 구성과 전개가 부족하고 등장인물들의 캐릭터가 살아있지 못한 것이 이유가 아닌가 한다. 예술부의 팀장 마르코의 비중이 갈수록 줄어들고, 갑자기 여기자 아나의 활약과 소피아의 부각은 사실성과 짜임새가 떨어지면서 균형감이나 긴장감을 유지하거나 지속시켜주지 못했다. 그리고 성의의 기나긴 이동이 주는 긴장감이 전혀 없다. 대단한 물건임이 틀림없는데 너무 쉽게 이동하고 역사 속에 나타난 것이다.

큰 기대 없이 보기에 알맞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