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가장 핫한 한국 소설이다. 인터넷과 언론에서 <82년 생 김지영>에 대한 언급을 너무 많이 들어 꼭 읽어야 하는 소설처럼 다가왔다. 보통 이런 소설에 관심은 두지만 잘 읽지 않는데 이번에는 읽었다. 소설보다 르포 같다는 누군가의 평과 “우리 모두 김지영이다.”라는 말 때문이다. 책을 받고 처음 에는 생각보다 얇다는 느낌이 들었고, 목차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궁금했다. 그리고 저자 약력을 읽고 낯익은 제목이 있어 찾아보니 재밌게 읽었던 책이다. 어떤 내용이길래 이렇게 수많은 호평을 받는지 궁금해 하면서 펼친 첫 장은 나의 예상을 빗나갔다.

 

김지영. 82년 생. 여자. 할머니, 엄마, 아빠, 언니, 남동생. 이렇게 여섯 명이 같이 살았다. 아버지는 공무원이다. 지금도 많지 않지만 그때는 더 적은 월급을 받던 직업이 공무원이다. 물론 뒷돈을 잘 받는 사람은 다르지만. 할머니는 아들 손자를 원했고, 딸만 둘을 낳은 엄마는 임신 중 딸이란 소식에 낙태를 한다. 다행이 막내는 남동생이다. 하지만 할머니의 손자 사랑은 아주 극진해서 같은 자식이란 느낌이 들지 않도록 만든다. 밥을 퍼는 순서가 아빠, 아들, 할머니 순이란 것만으로 충분히 설명가능하다. 이런 가정에서 딸들에게 주어지는 역할은 김지영 엄마의 과거에서 잘 드러난다. 지영의 엄마는 이것이 한 맺혀 딸들의 삶이 주체적이길 바란다.

 

언니의 대학 선택을 둘러싼 갈등에서 기성세대의 시선이 드러나지만 엄마는 자신의 실수를 금방 깨닫는다. 사실 이 부분을 보면서 김지영은 아주 좋은 엄마를 만났다고 생각했다. 주변의 수많은 여자 선후배 및 친구들 이야기는 이것과 사뭇 달랐기 때문이다. 그리고 97년 IMF사태는 삶의 기반을 뒤흔들었다. 철밥통이었던 공무원을 퇴직해야 했고, 친구들의 허황된 감언이설을 엄마가 막아 집의 몰락을 저지했다. 이 시절 수많은 집들이 무리한 사업과 주식 투자 등으로 몰락했었다. 자신의 현실과 과거를 혼동하고, 너무 쉽게 사회를 마주한 탓이다.

 

이런 가정사 속에서 지영은 보통의 여자 아이들처럼 자란다. 그녀를 좋아하는 듯한 짝꿍의 놀림과 다툼을 겪고, 여성 차별이 보편화된 중고등학교를 거친다. 대학에서도 그녀는 성차별의 높은 벽을 마주한다. 하지만 그것을 인지하지 못한 순간도 많다. 등산동아리에서 일어난 몇 가지 에피소드는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를 그대로 보여준다. 첫 사랑을 군대에 보내고, 헤어지고, 새로운 남자 친구를 사귀는 과정은 일반적이다. 그런데 한 에피소드에서 한 선배가 내뱉은 말은 그보다 훨씬 나이가 많은 내가 들어도 충격적이다. 이것은 남성의 문제라기보다 그 남자 개인의 문제인데 문맥 상 오해를 불러올 수 있는 부분도 있다.

 

어렵게 취업한 그녀에게 놓인 현실은 일 잘 하니 더 열심히 일을 시켜야겠다는 것이 아니다. 언제 그만 둘지 모르니 남자를 키워야겠다는 생각을 한 사장이 있다. 여자 팀장이 아이와 가정보다 더 일에 집중해 인정을 받지만 그녀의 이런 행동은 다른 여직원들의 귀감보다는 장애물이 된다. 사장의 입장에서는 귀감일지 모르지만. 팀장의 한탄은 밖에서 보는 직장 여성의 다른 모습이다. 그리고 거래처 부장과의 회식 자리는 몇 년 전 한 국회의원이 골프장에서 손녀 같아서 그랬다고 한 성추행이 떠올랐다. 자신의 딸은 지극정성으로 돌보려 하면서 다른 직장의 여사원은 왜 그렇게 대하는지.

 

결혼과 동시에 여성을 힘들게 하는 일 중 하나가 출산과 육아다. 출산도 쉽지 않지만 육아는 더 힘들다. 그녀가 가족계획을 세우고 있는데 주변 사람들이 더 나서 설레발을 친다. 약을 해줘야 한다느니. 언제 나을거냐니 등. 이때 한 마디 쏘아붙이면 시원할 텐데 입을 다물고 웃고 만다. “어처구니없고 부당한 상황에서 거의 대부분 입을 닫아 버린다. 그때마다 하고 싶은 말들이 있었지만 하지 않았다.”고 말하며 우리 사회가 여성 혐오 사회이고, 이 사회에서 여성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행위가, 존재 자체가 얼마나 숱한 위험에 처할 수 있는지를 깨달았다고 주장한다. 공감하는 대목이다.

 

육아에서 흔히 남성들이 하는 실수 중 가장 큰 것은 아마 아내를 돕는다고 하는 말일 것이다. 같이 하는 일이 아니라 돕는 일이란 표현은 내 일이 아니라 내 시간을 쪼개 도와준다는 생각이 내포되어 있다. 이것은 여직원과의 대화에서도 자연스럽게 서로 주고받는다. 집에서 얼마나 도와줘요? 라는 말로. 나도 이 말을 했다가 김지영처럼 아내에게 큰 구박을 여러 번 들었다. 첫 장 2015년 가을 김지영이 다른 사람들 흉내로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것과 2016년 그녀를 진찰한 의사의 속내는 묘한 대조를 이루면서 현실을 비춰주고, 우리 사회의 모순을 그대로 보여준다. 간결하고 건조한 이야기지만 이 시대를 살고 있는 30대 이상의 여성들이라면 충분히 공감할 내용이다.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