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O 모중석 스릴러 클럽 43
제프리 디버 지음, 이나경 옮김 / 비채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읽는 디버의 소설이다. 책을 받고 바로 읽었어야 하는데 일이 꼬이면서 시간이 많이 지체되었다. 처음 캐트린 댄스 소개글을 읽고 그녀가 초능력을 지닌 줄 알았다. 판타지 소설을 좋아하는 나이기에 잠시 딴 생각을 한 것이다. 실제는 동작학 전문가로 나와 조금 실망했던 기억도 살짝 난다. 댄스가 등장하는 작품 중 읽지 않은 것은 조연으로 출연한 작품 <콜드 문> 뿐이다. 이번 작품을 읽으면서 예상하지 못한 인물들이 등장해 반가웠지만 개인적으로 이렇게 많이 엮이는 것을 그렇게 선호하지는 않는다. 너무 많이 엮이면 두 캐릭터의 영향이 조금씩 반감되기 때문이다.

 

이번 작품에서 캐트린은 휴가를 갔다가 친구이자 컨트리 가수인 케일리 타운의 스토커 사건에 엮인다. 스토커의 이름은 에드윈 샤프다. 그는 케일리가 보낸 팬 메일을 착각하고 그녀에게 집착한다. 누군가를 좋아하고 숭배하는 것은 나쁜 것이 아니지만 그 정도가 심하면 문제가 된다. 그런데 에드윈 샤프는 심하다. 아주 심하다. 그녀를 스토킹하기 위해 살까지 뺐고 그녀의 기록이라면 무엇이든지 다 파고든다. 그리고 아주 영리하다. 절대 법적 문제가 될 지점까지 나아가지 않는다. 오히려 법적 절차를 밟지 않은 경찰이 문제가 된다.

 

디버의 장기는 반전과 반전의 연속이다. 이 작품도 마찬가지다. 반전이 이어진다. 하나의 사건이 끝났지만 분량이 너무 많이 남아 다음 반전을 기다린다. 예상하지 못한 장면이 벌어지고, 또 하나의 반전이 펼쳐진다. 이전 작품들처럼 반전이 압축되어 연속적으로 벌어지지 않아 다음에 어떤 반전이 펼쳐질까 기대하게 된다. 댄스와 에드윈의 심리 대결은 속고 속이는 것의 연속이다. 조금이라도 방심하면 뒤통수를 맞을 수 있다. 하나에 집중하는 에드윈에 비해 여러 가지 일들이 있는 댄스가 불리해보이지만 그녀에게는 좋은 동료들이 있다. 이들 덕분에 그녀의 추리는 정확하게 맞아들어간다.

 

개인적으로 이번 반전 중 첫 번째는 그렇게 마음에 들지 않는다. 다음 반전을 위한 단계로 설정한 것 같은데 갑자기 툭 튀어 나온 느낌이다.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았던 것도 조금 불만이다. 뭐 이 때문에 반가운 사람들을 보게 되었지만. 이렇게 만들어진 반전들은 마지막 반전을 위한 설정이 된다. 의심이 의문으로, 의문이 다시 의심으로, 확신으로 변하는 과정은 순간이나마 눈을 뗄 수 없게 만든다. 늦은 밤 잠을 잊고 끝까지 달려갔다. 어떻게 결말이 날까 하는 호기심 때문이다. 그리고 그 결과를 확인하고, 다음에 일어날 혼란을 보면서 잠자리로 갔다.

 

이 작품을 읽으면서 크게 감탄한 것은 두 가지다. 당연한 반전은 제외하고. 하나는 케일리 타운이란 캐릭터의 현실성이다. 컨트리 가수인 그녀가 쓴 가사(실제는 디버가 썼지만)와 그 분야에 대한 애정으로 빚은 이야기들은 얼마 전에 들은 내슈빌의 컨트리와 엮이면서 이 지역과 음악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 만들어진 이미지 속에서 자신의 재능을 최고로 꽃피우는 케일리의 모습은 음악이란 소재로 인해 그 매력이 더욱 발휘된다. 읽는 동안 잠깐 잠깐 혹시 실존인물이 아닐까? 하는 의문을 품을 정도였다.

 

다른 하나는 음악 산업 이야기다. 컴퓨터가 일반화되고, mp3 파일이 대중화되면서 전통적인 음악 산업은 무너졌다. 이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19세기처럼 공연 중심으로 바뀌었다고 했을 때 고개를 끄덕였다. 2000년대 이후 내가 산 CD의 숫자는 손발로 꼽을 정도다. 물론 이전처럼 많이 음악을 듣지 않는다는 점도 있지만 이 CD를 들고 다니면서 듣기보다는 대부분 스마트폰 속에 넣어 듣는다. 아니면 USB에 담아 차에서 들었다. 저렴한 가격에 수많은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상황에서 몇 곡만 들을 CD는 불필요하다. 물론 그 음악가에 대한 충성도가 높다면 다르겠지만.

 

반전의 연속 속에 댄스의 연애전선에도 반전이 이어진다. 예전에 읽어 희미해진 기억들을 감안하면 아주 흥미로운 반전이다. 두 인물 사이에서 갈등을 하고, 선택을 고민하는 모습은 양손에 떡을 든 모습과 비슷하다. 그 결과가 어떤 식으로 펼쳐질지는 다음 작품에서 나오지 않을까 하고 기대한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궁금한 것 하나는 케일리가 다시 무대 위로 올라온 이유다. 책을 덮기 전, 덮은 후에도 이 이유를 잘 모르겠다. 설명 대신 장면으로 보여준 것 때문에 혼란스럽다. 아시는 분 있다면 설명 좀 해주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