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유의 힘
장석주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인이 작심하고 쓴 시에 대한 책이다. 은유에 대해 이보다 더 자세하게 쓴 책이 있을까? 현재까지는 모르겠다. 이 책을 선택한 것은 시를 조금 더 이해하기 위해서다. 시인이 되기 위해 노력한 적이 없다 보니 읽는 시나마 좀더 이해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시집을 읽을 때 쉽게 다가오는 시들도 있지만 무슨 말인지 통 이해할 수 없는 시가 더 많았다. 시어들이 만들어내는 이미지 중 몇 가지를 잡아낼 때도 있지만 아주 파편적이다. 이때마다 학창시절의 수업을 원망한다. 왜 좀 더 시에 대해 더 많이 알려주지 않았나 하고.

 

학창시절 배운 시는 암기였다. 은유를 이해하게 만들기보다 시험을 위해 외우는 대상으로 만들었다. 그러니 제대로 된 감상이 이루어질 리가 없다. 졸업 후 우연히 그 시들을 읽으면서 상상의 나래가 펼쳐지고, 그 지독한 감성에 놀랐던 것을 떠올리면 그 시절 그것들을 누리지 못한 것이 아쉽다. 조지훈의 <승무>보다 김광섭의 <성북동 비둘기>가 더 좋은 시라고 했을 때 받아들이지 못했던 것도 시라는 것을 단어 그 이상으로 이해하지 못한 탓이다. 박노해의 <노동의 새벽>을 읽고 그렇게 놀랐던 것도 나의 굳은 생각들 때문이다. 그리고 다시 한 번 더 나의 시에 대한 공부가 얼마나 부족한지 깨닫는다. 그보다 먼저 시인들, 시집에 대해 너무 몰랐다.

 

책을 읽다가 은유에 대해 멋지게 설명하는 장면들을 만난다. 밑줄치고 외우고 싶은 문장들로 가득하다. 좋은 시와 나쁜 시에 대한 설명을 듣고 고개를 끄덕이고, 서정시의 의미를 되새긴다. 하지만 다 읽은 지금도 머릿속은 제대로 정리가 되지 않는다. 아직 은유에 대해, 시에 대해, 시인에 대해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실재가 아닌 허상의 세계라고 했을 때, 말을 모으는 것이 아니라 말을 버려 의미의 부재에 이르게 한다고 했을 때 시에 한 발짝 다가간 듯한 착각을 한다. 이런 착각은 이 책을 몇 번씩 곱씹고 체화하는 하는 시간을 충분히 누리지 못한 탓이다. 안다고 생각하고 충분히 그 의미를 풀어내지 않은 탓이다. 시인이 휘트먼의 <풀잎>을 몇 개월 동안 읽고 있다고 한 것을 보면 분명해진다.

 

시가 우리 삶을 축약하고 이미지화한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 은유로 표현한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소리를 형상화해서 보여준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하지만 실재 세계가 아닌 허상을 통해 세계를, 현실을 드려내준다고 했을 때 좀 더 시에 다가갔다. 거울의 이미지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장르소설이나 영화로까지 이어지는 현실을 생각할 때 상상력이 지닌 힘과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된다. 어려운 시를 어떻게 해석해야할까? 하는 문제는 아직도 나에게 남겨진 문제지만 좀 더 읽고 좀 더 분석하고 더 많은 상상력을 동원하면 살짝 문을 열어주지 않을까. 아직은 더 많은 노력과 열정이 필요한 분야다.

 

많은 시들과 시인들이 책 속에 나온다. 낯익은 이름도 많지만 낯선 시인도 적지 않다. 나의 시 세계가 어딘가에서 멈췄다는 것을 깨닫는다. 새로운 시인의 발견은 또 다른 세계로 나를 인도하지만 멈춘 그곳에서는 과거로만 돌아갈 수밖에 없다. 여러 작가의 글 속에서 시인들을 한 명씩 발견해내지만 그 수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그래서인지 낯선 시인들의 이름이 나왔을 때 반가웠다. 그들의 시를 이해하는 것은 둘째 문제다. 인식의 공간이 넓어졌다는 부분에서 반가운 일이지만 시간 부족에 시달리는 현실에서 소장욕구만 높아진다는 문제로 넘어간다. 뭐 이것이 단순히 시에 한정된 문제는 아니지만.

 

시는 은유다. 시는 머리만의 언어가 아니라 몸의 언어다. ‘몸은 세계와 대면하는 접혀 있음이다.’라고 할 때 그곳에는 과거의 시간들, 상처, 기억들이 숨어 있다. 열린 것만 생각했는데 접혀 있는 곳을 들여다봐야함을 깨닫는다. 전체가 아닌 일부라고 했을 때 그 작은 공간과 시간 속에 세상의 비밀이 담겨 있는 것을 살짝 엿본다. 이 책은 시를 해설하기도 한다. 시를 풀어내고 그 이미지를 눈앞에서 펼쳐 보여준다. 시인의 광범위하고 깊은 독서가 없었다면 이런 작업이 나올 수 없다. 내가 늘 장석주의 책을 읽으면서 감탄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