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은 토리노를 달리고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민경욱 옮김 / 비채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키가 자주 에세이를 내는 것에 비해 히가시노 게이고는 역시 빈도수가 적다. 소설만 놓고 보면 비교조차 할 수 없다. 압도적으로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이 많다. 물론 완성도는 별개로 하고 말이다. 얼마 전 하루키의 시드니 올림픽 에세이가 출간되었는데 이번에는 히가시노 게이고의 토니노 동계올림픽 에세이가 나왔다. 이 책을 읽고서야 게이고가 동계 스포츠 마니아란 사실을 처음 알았다. 그가 동계 스포츠를 배경으로 쓴 소설을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리고 한 번 더 놀란다. 그의 동계 스포츠에 대한 풍부한 지식 앞에서.

 

하루키가 정공법을 사용하여 시드니 올림픽 관람기를 적었던 것과 달리 게이고는 살짝 방법을 달리 한다. 자신이 기르는 듯한 고양이를 인간으로 변신시켜 화자로 등장시킨 것이다. 이 고양이 유메키치를 통해 일본의 동계 스포츠 현황을 되짚어보고, 동계 스포츠에 대한 정보를 차분하게(?) 전달한다. 보통의 경우 올림픽 현장으로 바로 가서 그곳의 정보를 최대한 담으려고 하는데 이 책은 일본의 동계 스포츠 현실에 꽤 많은 비중을 둔다. 덕분에 동계 스포츠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많이 얻는다. 고수가 아니면 쉽게 알 수 없는 내용들이다.

 

동계 스포츠 마니아이기에 그가 보여주는 토리노 동계올림픽의 풍경은 더욱 풍성하다. 문외한이 보기에 같아 보이는 경기를 유메키치를 통해 자세하게 설명해준다. 개인적으로 스키 점프의 규칙 변천사를 보면서 한국 양궁이 떠올랐다. 한국의 독주를 막기 위해 얼마나 많이 경기 규칙을 바꾸었던가. 예전에는 거리별 경기도 있었다. 당연히 토너먼트도 아니었다. 스키 점프가 키 크기, 몸무게 등과 스키의 길이를 연관시켜 발전했다는 부분은 정말 관심이 없다면 알 수 없는 일이다. 동시에 세대교체 혹은 올림픽 메달로까지 발전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아주 잘 전달되었다.

 

이 에세이의 가장 놀라운 점은 역시 유메키치다. 유메키치를 통해 자신의 속내를 능청스럽게 표출한다. 그리고 자신을 희화화한다. 처음 읽을 때는 왜 이런 식으로 이야기를 풀지 하는 마음이었다면 어는 순간부터는 그 자신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구나 하고 바뀐다. 자신을 한 명의 관중으로 놓고 그 현장에 참여하는 순간 좀더 객관적으로 그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물론 이런 마음인지, 아니면 자신의 눈으로 표현하는 것이 껄끄러워서 그런지는 알 수 없다. 괜히 후자 쪽으로 마음이 기운다. 왜냐고? 경기를 보는 순간 그의 열정과 팬심이 폭발하기 때문이다.

 

이 책을 다 읽은 지 좀 되었다. 보통 읽고 바로 서평을 쓰는데 가끔 타이밍을 놓치거나 어떻게 쓸까 고민하는 경우가 있다. 이번은 고민하다 타이밍을 놓쳤다. 그 당시 회사일이 바빠 잠시 미룬다고 한 것이 뒤로 한참 온 것이다. 그러다 보니 많은 것들이 기억나지 않는다. 동시에 분명하게 인상이 남는 이야기도 있다. 앞에서 이야기한 스키 점프가 대표적이다. 지난 동계 올림픽을 거의 보지 않은 나지만 어쩌다 자주 본 것이 컬링이다. 당시 중계에서 규칙이나 선수 구성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듣지 못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그 정보를 얻었다. 어떻게 보면 재미를 동반한 초보자용 동계 스포츠 안내서라고 해야 할까.

 

한국의 동계 올림픽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역시 김연아다. 그리고 쇼트트랙이다. 이 당시에는 아직 김연아가 이름을 알리기 전이었다. 쇼트트랙에서만 금메달을 따던 시기였다. 그래서인지 작가는 이 부분을 지적할 때 나도 모르게 고개를 끄덕였다. 하지만 다음 올림픽인 벤쿠버에서는 김연아와 스피드스케이팅의 남녀 메달리스트가 나타났다. 이것을 본 그의 반응이 궁금해진 것은 나의 고약한 심보 탓일까? 마지막에 덧붙여진 단편 2056년 쿨림픽은 지구온난화가 동계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을 아주 유쾌하게 그린 작품이다. 이 작품을 보면서 스크린골프와 야구가 떠오른 것이 나만은 아닐 것이다. 한국에 처음 번역된 게이고의 첫 에세이라고 하는데 다른 에세이는 어떤 느낌일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