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곤플라이 데드맨 시리즈
가와이 간지 지음, 권일영 옮김 / 작가정신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갑자기 베스트셀러 역주행를 한 장르소설 한 편이 있었다. 바로 <데드맨>이다. 이번 작품은 이 작품의 후속작이다. 지금도 <데드맨>이 갑자기 베스트셀러가 된 이유를 모르는데 이번 작품을 읽으면서 그 재미에는 공감했다. 잘 짠 구성 속에서 개성 강한 인물들의 협력과 애브덕션이란 추론 과정을 통해 진실에 다가가는 모습은 뒤로 가면서 점점 더 몰입하게 만들었다. 가부라기 형사 팀의 활약은 약간 아웃사이드 같은 모습이 있지만 개개인의 능력이 극대화되면서 진실에 가까워진다. 이런 모습이 낯설지 않은 것은 일본 드라마에서 자주 봤기 때문일 것이다.

 

에필로그를 보면서 뭐지? 하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장면이 왜 필요한지 알려주기 위해 독자는 오랫동안 기다려야 한다. 이런 구성이 완전히 새롭지는 않지만 다시 떠올리게 되었을 때 작가의 의도를 금방 알게 된다. 이렇게 이 소설은 많은 부분에서 바로 알게 된다. 실제로 범인을 추론하는 것도 상대적으로 쉽다. 작가가 중간중간에 엇나가는 부분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실의 범인은 쉽게 맞췄다. 그런데 이 모든 사건의 원인이 되는 20년 전 살인은 조금 다르다. 가부라기 형사의 의문이 하나씩 풀려갈 때 놀라운 사실을 만나게 된다.

 

현상에 의문을 던지는 역할을 가부라기 형사가 한다면 프로파일러 사와다는 논리적 추론을 통해 이 의문에 답한다. 니코타마가와 강변의 시체 모습에 의문을 품고, 20년 전 사건에서는 밥상의 반찬이 이상하다. 그냥 넘어갈 수 있는 것들이지만 이런 사소한 것들에 의문을 품으면서 각각의 단계에서 돌파구를 찾는다. 이것은 가장 가능성이 높은 인물인 다누마 촌장을 구속했을 때도 마찬가지다. 모든 단서가 그를 가리킨다고 해도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 논리적 추론은 그 정해진 틀 속에서만 힘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그 틀을 깨트리고 다른 각도에서 상황을 보게 하는 것이 바로 가부라기 형사의 애브덕션이다.

 

댐 건설로 물에 잠기게 된 마을을 둘러싼 사건들을 다룬다. 현재는 유스케의 잔혹한 죽음이 있고, 과거에는 이즈미 부모의 죽음이 있었다. 시간적으로는 20년의 시차가 있다. 동일인의 소행이라고 느끼기에 부족함이 없지만 그렇다면 너무 쉽게 이야기가 풀린다. 이때 그 동일인이 다누마 촌장이다. 마을의 댐 건설 반대편에 서서 오랫동안 촌장 역할을 했지만 실제 그의 역할은 내부 스파이다. 댐 건설 지연으로 인해 건설사가 엄청난 폭리를 취하고, 댐 건설로 인해 다시 한 번 더 이익을 얻게 된다. 이런 상황을 만드는데 가장 큰 역할은 한 인물이 다누마 촌장이다. 그에게는 그 정체를 알 수 없는 거액의 돈이 정기적으로 들어왔다. 물론 이것은 누군가의 고발에 의해서다. 그에 대한 수사 과정에 가부라기 팀이 온 것이다.

 

다누마 촌장을 빼면 히류무라 마음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세 명이다. 태어날 때부터 눈이 먼 이즈미와 잠자리를 좋아하는 유스케와 이들의 친구이자 건축가인 겐 등이다. 이들의 어릴 때 추억은 풋풋하고 정답고 순진함으로 가득하다. 이즈미 부모의 죽음으로 헤어졌지만 다시 만나게 된다. 그렇게 만난 이들은 자신들의 자리를 지키면서 자신들의 감정과 정체를 숨긴다. 현실의 무거움과 욕망과 순수함이 뒤섞인 결과다. 그래서 이 소설의 마지막 부분을 읽을 때 그들의 삶에 연민과 안타까움을 느낀다. 충분히 평범하고 순수하고 아름답게 살 수 있는 그들이었기 때문이다.

 

제목에 잠자리가 들어간 것처럼 소설 곳곳에 잠자리 이야기가 나온다. 세 명의 어린 아이들을 엮어준 것도 사실 잠자리다. 비극도 잠자리 때문에 발생한다. 잠자리를 두고 일본 고사까지 들먹이는 부분에서는 약간 과장되었다는 느낌도 있지만 전문가들이 새로운 종에 대해 얼마나 강한 열망과 열정을 가지고 있는지 알기에 몇몇 부분에서는 고개를 끄덕인다. 직업에 대한 열정은 가부라기 형사 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군마현 경찰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누구도 알지 못했던 과거의 아픈 사실이 드러날 때 나의 기억은 다른 소설 한 편으로 날아갔다. 이 잔혹함이란!

 

일본 드라마나 소설 등으로 친숙한 장면들이 많다. 수사본부의 모습이나 히메노 형사의 활약 등은 특히 그렇다. 재미난 것은 관리관 역할을 하는 사이키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가장 먼저 연상된 것이 <춤추는 대수사선>이었기에 더욱 그렇다. 나도 모르게 무로이가 떠올랐다. 물론 그 드라마처럼 관할경찰서 형사들이 주인공은 아니다. 하지만 범인을 잡기 위한 그들의 열정과 대사 몇몇은 나도 모르게 그 드라마를 떠올리게 된다. 아니면 <파트너> 속 몇몇 에피소드. 가부라기 형사 팀이 건설사를 찾아가서 홍보팀 직원과 나누는 대화는 대기업이 얼마나 자기중심적이며 이기적인지 그대로 보여준다. 추리라는 요소를 빼고도 많은 것을 생각할 수 있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