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울어진 세상
톰 프랭클린.베스 앤 퍼넬리 지음, 한정아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멋진 역사소설이자 연애소설이고 스릴러물이다. 처음 도입부를 읽을 때는 스릴러라는 생각을 했고, 중간 정도 읽었을 때는 미시시피 홍수를 다룬 역사소설로 다가왔다. 하지만 끝까지 다 읽은 지금은 사랑 이야기가 눈길을 확 끈다. 이런 생각을 하게 만든 것은 역시 역사에 충실한 설명과 묘사가 바탕이 되었기 때문이다. 홍수에 잠긴 미시시피 주변 지역을 이렇게 멋지게 풀어낸 작품이 몇이나 있을지 모르겠다. 여기에 금주법 시대가 곁들여지면서 밀주 제조업자와 연방 밀주 단속원의 대결이 부각된다. 이 둘 사이를 멋지게 헤엄치는 것은 역시 불가능할 것 같은 두 남녀의 사랑이야기다.

 

1927년 미시시피 강은 홍수로 많은 도시들이 물에 잠길 위기에 처해있다. 소설의 무대가 되는 작은 마을 하브나브가 바로 그런 곳이다. 이 작은 마을이 중요한 것은 바로 최고의 밀주 위스키가 제작되기 때문이다. 금주법 시대와 어울리지 않는 술의 매매와 음주가 동시에 어우러지는 장면들은 법 집행이 무색하다. 이런 시절에 밀주 단속원들은 전국을 돌면서 밀주를 찾아내고, 제작자와 유통자를 법정에 세운다. 자신들이 언론에 노출될 것을 기대하고 딕시 클레이의 남편 제시를 잡은 단속원 둘이 등장한다. 하지만 딕시의 놀라운 사격 솜씨와 여러 명이 있다는 거짓말이 엮이면서 전세가 역전된다. 이 평범한 도입부가 앞으로 펼쳐질 놀라운 이야기의 핵심 요인이다.

 

보통 밀주 단속원이 나타나면 밀주 제작자들은 뇌물을 준다. 아주 큰돈이다. 대부분 부패한 이 돈을 받고 눈을 감아준다. 하지만 언제나 예외는 있다. 이런 유혹을 단호하게 뿌리치는 두 형사가 있다. 그들의 이런 실적이 큰 실적을 잡았다고 보고한 후 사라진 두 밀주 단속원을 좇게 만든다. 아니 정확하게는 그들이 보고한 실적을 찾아내라는 지시다. 이 지시는 나중에 대통령이 되는 후버가 내린 것이다. 처음 연방과 후버란 단어가 나왔을 때 그 유명한 FBI 설립자인 그 후버로 착각했다. 당연히 다른 인물이다. 대통령이 되려는 그는 이 실적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고자 한다. 햄과 잉거솔 콤비가 이 작은 마을에 오게 된 이유다.

 

이야기는 두 사람을 축으로 진행된다. 한 명은 당연히 잉거솔이고, 다른 한 명은 딕시 클레이다. 잉거솔은 고아 출신에 1차 대전을 참가한 용사다. 그가 좋아하는 것은 재즈다. 음악에 대한 탁월한 재능을 가지고 있는데 그의 재능은 이것뿐만이 아니다. 명사수이자 멋진 연주자이기도 하다. 이야기가 진행되는 중간 중간에 그의 과거사가 흘러나오는데 왜 그가 임무를 수행하던 중 발견한 아이에게 집착하게 되었는지 단서를 제공한다. 만약 이 아이가 없었다면 이야기는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을 것이다. 좀더 스릴러 쪽으로 말이다. 이성은 늘 감정에 휘둘리고 무너진다.

 

딕시 클레이는 한때 제이콥이란 아들을 가졌지만 병으로 잃었다. 이 죽음이 그녀에게서 생기를 뺏어갔다. 그녀가 만든 멋진 위스키는 금주법 시대에 누구나 원하는 술이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법이 무색하게 사람들은 공공연하게 술을 마신다. 제시와 딕시의 부가 더 많이 쌓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딕시가 원하는 것은 이런 성공이 아니다. 그녀가 원하는 것은 사랑과 삶의 의미를 부여해줄 수 있는 무언가다. 소설 속에서 그 무언가가 바로 잉거솔이 길에서 데리고 온 아기다. 딕시에 의해 윌리란 이름을 얻게 된다. 갑자기 그녀 삶에 생기가 돌기 시작한다. 잊고 있던 모성애가 발동한 것이다.

 

밀주 제작자와 밀주 단속원의 사랑 이야기로 변하는 것은 후반부다. 전반부는 세밀하게 이 시대의 풍경을 그려내고, 등장인물들 이야기를 펼치면서 그들의 과거를 하나씩 풀어낸다. 어떻게 보면 지루할 수 있는 부분들인데 작가들은 이것에 역사와 상상을 곁들여 긴장감을 높인다. 언제, 어떻게, 누가 터트릴지 모르는 제방을 둘러싼 긴장감은 또 하나의 재미다. 제방을 터트리려는 사람들이 있었다는 사실도 놀랍다. 단순한 충동에 의한 것이 아니라 어떤 이익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질 때 고개를 끄덕인다. 잉거솔이 딕시가 밀주 제작자라는 사실을 발견했을 때 느낀 갈등과 고민은 또 하나의 갈림길이자 자신의 감정을 정리하는 순간이다.

 

부부의 협업으로 탄생한 작품이라고 하지만 그 어떤 어색함도 느끼지 못했다. 미시시피 강을 둘러싼 상황을 배경으로 과연 이 두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고, 그 결과가 어떻게 끝날지 궁금했다. 각각의 인물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크게 지루함을 느끼지 못했다. 오히려 더 몰입했다. 읽으면서 작가의 다른 작품 <미시시피 미시시피>가 더 궁금해졌다. 조금 무겁고 지루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었지만 단순한 기우였다. 영화로 만든다면 어떤 부분에 이야기를 맞출까? 읽으면서 생긴 몇 가지 이미지가 춤을 춘다. 오랜만에 느끼는 감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