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TH 더 패스 : 세상을 바라보는 혁신적 생각 - 하버드의 미래 지성을 사로잡은 동양철학의 위대한 가르침
마이클 푸엣.크리스틴 그로스 로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버드 대학 강의가 또 한 권의 책으로 나왔다. 지난번에 읽었던 것이 서양 철학이라면 이번에는 중국의 고전이다. 동양 철학이라고 말하지만 책 내용을 보면 중국 철학으로 한정시킨 문구들이 가득하다. 실제 이 책들의 저자 혹은 인물들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저자들은 중국으로 표기한다. 저자들은 “이 책에서 언급하는 중국 철학은 이런 ‘현실 안주의 시대’에 대안을 제시한다. 하지만 그것은 이를테면 민주주의를 대체할 말한 일관된 사상은 아니다. 그보다는 자아에 관한, 그리고 세상에서 자아의 위치에 관한 반직관적 개념이다. ”라고 말하면서 중국 철학임을 말하는 동시에 이 책의 방향을 알려준다.

 

이 책에서 다루는 중국 철학은 6권의 책으로 대변된다. 논어, 맹자, 노자, 내업, 장자, 순자 등이다. 이중에서 조금 낯선 것은 <내업>이다. 책 제목 정도는 어딘가에서 들은 적이 있겠지만 다른 책들에 비해 많이 낯설다. 내용도 신과 혼에 대한 것이라 쉽지 않다. 혼을 말하면서 백을 같이 다루지 않는 것은 조금 어색하다. 혼백으로 늘 붙어 다니는 두 단어가 떨어져 있으니 더욱 그렇다. 그리고 호흡을 다루고, 이것을 도와 연결한 부분은 또 하나의 신비주의 같은 느낌이다. 물론 저자들이 이런 방향으로 이야기를 전개하지는 않는다.

 

많은 장점 중에서 가장 눈에 들어오는 대목은 역시 동양 철학에 대한 서양의 관점에서 벗어나려고 한 부분이다. 하나의 문화나 철학이 새로운 곳에 도착하면 그곳의 문화나 철학에 의해 변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해도 현재 서양의 동양 철학에 대한 신비주의는 너무 과한 느낌이다. 특히 영화나 만화 등에서 표현되는 동양의 모습은 판타지 그 이상이다. 물론 이것이 한국과 연결되면 괜히 기분이 좋아지기는 하지만 냉정하게 들여다보면 그 외는 별로라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이것의 반대 작용으로 우리가 서양 철학과 문화를 바라보는 시선이 있을 것이다.

 

책에서 다루는 동양 철학자들은 모두 고대의 인물들이다. 공자, 노자, 맹자, 장자, 순자 등은 전국시대와 같은 전란의 시기에 태어났다. 이들 중 대부분은 정치인으로 성공하지 못했거나 잠시 있으면서 큰 업적을 남기지 못했다. 가장 유명한 공자만 해도 수많은 나라를 돌면서 철학을 말했지만 정작 살아서는 별로 이룬 것이 없다. <논어>라는 책이 없었다면 역사에 한 줄도 남기지 못했을지 모른다. 어떻게 보면 뛰어난 제자들의 덕을 봤다고 해야 하나. 저자들은 공자의 삶에서 가장 핵심으로 뽑은 것은 인과 예다. “공자는 오직 예로써 인을 닦을 수 있다고 가르쳤다.”는 문장은 우리가 가장 흔하게 접하는 제사와도 이어진다. 물론 공자가 바라는 것은 핵심은 빠지고 없는 요즘의 제사 같은 것은 아니다.

 

맹자와 같이 다룬 인물이 묵자다. 최근에 묵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 저자들은 묵자의 사상을 현재의 프로테스탄트와 비슷하다고 말한다. 아직 묵가의 사상을 잘 몰라 이 부분은 낯설다. 그리고 학창 시절 한 번은 들은 적이 있는 맹자의 성선설을 다룬다. 이것과 대칭을 이루는 것이 유학자인 순자의 성선설임을 감안하면 이 부분은 조금 의외다. 노자를 장자와 분리한 것은 최근의 연구와 맞닿아 있다. 노자가 자신의 강함으로 약함을 억누르지 않고, 약함을 이용해 자신의 세계를 창조한다고 했을 때 이유제강의 원리의 다른 면을 보았다.

 

장자의 호접지몽에 대한 너무 유명한 이야기는 생략하자. 사실 가상 현실을 다룰 때 가장 많이 나오는 부분이기도 하다. 순자의 성선설은 본능의 나쁜 점과 세상을 개선하고 최고의 인간이 될 수 있는 기회에 주목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현대 교육에서 가장 강하게 주장하는 바가 이것이다. 특히 한국에서는 이것이 더 강하게 작용한다. 하지만 과거 제도에 대한 인용에서 시간의 흐름 속에 어떤 부작용이 있었는지 생략하면서 제도와 사회 문화 등의 중요성을 빠트렸다. 분명 동양과 서양이 다른 길을 걸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 주제만으로 충분히 매력적인 글이 나올 것 같다.

 

그렇게 많은 분량의 책이 아니다. 동양 철학자들의 철학을 그렇게 깊게 다루지도 않는다. 저자들이 바라본 핵심만 추려낸 것이다. 하버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강의가 목적이다 보니 한계가 분명하다. 아니 이것은 한국에서 자라고,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동양 철학을 듣고 보고 생활한 나의 방식과 다를 뿐이다. 그리고 ‘도’를 흔히 번역하는 ‘Tao'라고 하지 않고 ’The Path'라고 한 것도 낯설다. 하지만 하나의 상황만 주고 이것을 풀어내라고 하는 기존의 사고 실험과 다른 방향을 제시한 것은 아주 좋았다. 전체의 맥락을 파악하라는 의미는 특히. 공자의 이야기로 이 실험을 피해갈 때는 뭐야? 했지만 책을 덮는 순간에는 고개를 끄덕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