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수 이야기 - 역사를 바꾼 은밀한 무역 예문아카이브 역사 사리즈
사이먼 하비 지음, 김후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밀수(smuggling)를 검색하면 ‘세관을 거치지 아니하고 몰래 물건을 사들여 오거나 내다 파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흔히 우리는 밀수를 불법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소한 것 정도는 위반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는다. 역자가 지적한 것처럼 해외여행에서 금액 한도 초과한 것을 그냥 들고 오는 것이나 금지된 과일이나 책 등을 가져오는 것 등이 대표적으로 사소한 위반 사항이다. 이 책은 우리가 사소하게 생각하는 것들이 과거의 역사 속에서 어떻게 작용했는지 말하고, ‘밀수가 국가의 첨병 또는 선발대 역할을 하면서 그 힘을 떨치는 데 도움을 주는 동시에 국가 정책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밀수하면 나의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역시 문익점의 목화씨다. 이와 비슷한 사례가 중국에도 있는 모양이다. 하지만 이 책 속에서 다루는 것은 몇 개 정도의 씨앗이 아니다. 수백을 넘어 톤의 단위까지 밀수를 통해 재배하려고 한다. 대표적인 것으로 차와 기나나무나 고무나무 등이 있다. 차의 경우는 중국 기술자까지 데리고 갔는데 현실에서 그들의 위치는 높은 기술자가 아닌 단순 노동자 바로 위였다고 한다. 왜 이렇게 차를 재배하려고 했는지에 대한 것은 엄청난 무역적자 때문이다. 엄청난 아편을 밀수해서 중국에 뿌렸지만 일반 대중들까지 차를 소비하면서 적자가 심화되었다고 한다.

 

근대의 밀수는 현대의 밀수와 다르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국가 차원에서 밀수를 장려한 경우가 16세기 이후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많았다. 밀수와 떼래야 뗄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해적이다. 그중에서 정부의 허가를 받은 사략선이다. 이 책의 앞부분은 향신료를 비롯한 다양한 물건의 밀수를 둘러싼 그 시대 각국의 정책과 그 시대의 유명한 해적과 지배자에 대한 이야기다. 해적 이야기 부분에서는 이전에 읽었던 카리브 해적 이야기가 조금 떠올랐고, 향신료는 <향료전쟁>의 일부분이 생각났다. 개인적으로 읽으면서 힘들었던 부분은 중남미를 무대로 한 장들이다. 낯설고 읽기 힘든 긴 이름이 나와 머릿속을 혼란스럽게 만들었고, 다양한 출처를 인용한 부분이 두뇌를 과부하 상태로 이끌었다.

 

개인적으로 흥미로웠던 장은 역시 사상을 밀수로 전했다는 부분이다. 조선 시대의 한 장면이 먼저 떠올랐지만 불교나 천주교처럼 종교나 7~80년대의 불온서적이었던 <자본론> 등이 이어서 연상된다. 물론 이 책에서 다루는 것은 신약성경이나 근대 철학자의 서적 등이다. 기존 질서를 위협할 수 있는 책들은 언제나 정부의 금서가 된다. 하지만 지적 호기심과 시대의 변화는 이것을 가볍게 넘어선다. 이 책의 재미난 점은 이런 것들을 조금 딱딱하지만 다양한 자료 조사와 인용으로 호기심을 자극한다는 것이다. 물론 너무 많고 낯선 이름이라 금방 질리는 경우도 많다.

 

전쟁이 일어나면 밀수가 줄어들 것 같지만 현실에서는 전쟁 중 밀수가 만연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작가는 영국과 프랑스 전쟁을 말한다. 서로 대치적인 두 나라 사이를 오가는 밀수꾼들의 모습은 이익이 있다면 어디든지 간다는 장사꾼의 모습과 겹쳐진다. 그리고 실재로 전쟁은 밀수를 부추긴다. 당연한 일이다. 적국에 의해 필수품의 수급이 원활하지 않고, 밀수는 높은 이익을 보장해주기 때문이다. 갑자기 떠오른 생각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북한 고위층의 생활이다. 경제 제재가 가해지고 있는 상황임을 생각하면 밀수 말고는 단박에 떠오르는 것이 없다.

 

근대 미국은 밀수로 산업을 일으켰다. 영국도 마찬가지다. 차나 고무나무 등이 없었다면, 향신료 등을 밀수하지 않았다면 그 부는 다른 나라들에게 넘어갔을 것이다. 이 밀수가 현대로 넘어오면 더 복잡해진다. 미국의 밀수는 자국의 이익을 위해 다른 나라에 무기를 몰래 전해주고, 그 돈으로 자신들이 원하는 정권을 수립하는 쪽으로 발전한다. 이때 원조가 지금 부메랑처럼 돌아온 경우도 적지 않다. 또 루브르 미술관에서 본 수많은 문화재들이 어떤 식으로 오게 되었는지 생각하면 밀수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궁금해진다. 노예무역도 있었으니 그 범위는 더 넓어질 것 같다.

 

어떤 시대, 어떤 지역에서는 밀수가 노골적으로 일어났다. 중남미의 몇몇 장소는 해적이 관리할 정도다. 이 때문에 ‘밀수는 불법이지만 밀수품은 시장에서 공공연하게 팔렸다’라는 말이 더 쉽게 이해된다. 그리고 현대로 오면 역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밀수품이 하나 있다. 바로 마약이다. 중국의 아편과 함께 연상되는데 이 마약은 현재 최고의 금지물품이다. 당연히 유통되려면 불법으로 유통될 수밖에 없다. 동남아 황금의 삼각지와 중남미 마약 재배지는 언제부터인가 나의 머릿속에 자리를 잡았다. 몇몇 장면들이 머릿속에서 춤춘다.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한 미국의 과거와 현재도 역시 같이 떠오른다.

 

정말 방대한 자료가 녹아 있다. 밀수를 이렇게 광범위하게 다룬 책은 처음일 것이다. 해적과 마약과 사상과 인물들에 대한 다양한 인용이 나온다. 소설도 하나의 자료가 된다. 단순히 몇 권 수준이 아니다. 중남미 밀수꾼 이야기가 나왔을 때 정점을 찍는데 보르헤스의 단편들에 대한 갈증을 불러올 정도였다. 밀수는 분명 불법이다. 하지만 이것이 거대한 수준에서 벌어진다면 시대에 따라 그 평가가 달라질 것이다. 우리의 문익점처럼. 그리고 쉽게 읽히는 책이 아니다. 내용도 어렵지만 번역이나 편집에 아쉬움이 많다. 역사를 바꾼 무역이란 부제가 정말 딱 맞는 설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