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정묘 파일 1
임종욱 지음 / 달궁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살아가면서 가장 많이 접한 문장이 논어에 나오는 문장들이다. 성경의 문구도 많이 나오지만 우릴 둘러싼 환경이라는 것이 한자 문화권이고 소설이나 드라마 작가들이 많이 인용하는 문구들이 논어에 나오는 글귀들이다. 허나 한 번도 제대로 끝까지 읽지 않은 책이다. 뭐 그런 의미에서 성경도 마찬가지이지만 교회나 성당에서 열심히 읽히는 것을 생각하면 참 무색하다.

이 책은 논어를 기반으로 하여 공자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과거의 이야기와 현재의 살인사건으로 구성된 역사추리소설이다. 요즘 많이 나오는 소설처럼 이 책도 과거와 현재와 교차하면서 진행되어지고 두 결말이 마지막에 가서 해결되어진다.

저자의 이력을 보면 논어를 번역하여 출간하였다고 한다. 변역하면서 느낀 의문점들이 있어 이 소설을 집필하였다 한다. 그 의문은 책 속에 잘 녹아있고 몇 가지에서는 충격을 느끼기도 한다.

소설 속의 성과들이 개인의 것은 아니지만 과거부터 누적되어 온 학문적 성과가 작가의 상상력과 잘짜여진 구성 등으로 재미를 준다. 가끔 다른 책에서 과거의 학설이나 의문들이 겉돌기도 하는데 이 소설에서는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와 함께 독자에게 잘 전해주었다고 생각한다. 그 의문들이 또 다른 생각을 불러오고 결국 논어라는 책에 대한 흥미로까지 발전하게 한다.

현재의 사건에서 많은 추리소설에서 보여주는 수수께끼 풀이를 하는데 약간은 재미있고 흥미도 있다.다만 그 뜻하는 바를 너무 빨리 파악하게 하여 흥미가 반감되었고, 범인에 대한 윤곽이 빨리 드러나면서 추리소설적인 재미가 약간 감소한다. 공자시대에서는 소정묘와 관련된 비중이 너무 적은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음모가 진행되지만 그 축이 되는 소정묘에 대한 깊이 있는 성격 창조와 배경 등이 너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한자 문화권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인 공자를 배경으로 쓰여진 소설이기에 관심이 있었고, 그와 관련된 살인이기에 흥미가 생겼고, 그 시대 인물들의 묘사와 서술이 재미를 주었다.

작가는 과거의 현장을 그 시대에 대해 충실히 재현하기보다 현재의 문장과 사고로 역사를 재구성하였고 가끔은 시대를 초월한 학설이나 현재의 평가에 기대어 서술한 부분도 많이 보인다. 그리고 현재 우리의 삶에서 우리가 잃고 살아가는 것들에 대한 것들을 조금씩 보여주면서 현재 우리의 삶에서 새로운 철학 부재를 말한다. 그리고 논어가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하였고 어떤 집단에 의해 어떻게 이용되고 변질되었는지 말한다.

많은 부분에 동감하면서 몇 가지 부분에서 이견이 있지만 소설적 재미와 함께 시대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즐거움도 있다. 요근래 한국이나 중국을 배경으로 한 역사추리소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친숙한 문화와 인물들이라 외국 소설에 비해 쉽게 몰입하는 재미가 있다. 작가의 다음 작품에도 기대를 가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