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통 - 죽음을 보는 눈
구사카베 요 지음, 김난주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무통. 제목대로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는 의미다. 몇 년 전 한국에서 무통증 환자가 주인공으로 등장한 적이 있다. 무통증을 앓고 있는 등장인물이 있지만 그 영화와 관련이 없다. 하나의 중요한 소재일 뿐이다. 이 소설에서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은 일본 형법 제39조다. ‘심신상실자의 행위는, 이를 벌하지 않는다. 심신박약자의 행위는, 그 형을 경감한다.’가 법조문이다. 이미 많은 영화나 소설에서 정신병을 앓고 있는 인물을 등장시켜 이 주제를 다루었다. 하지만 이 작품처럼 자극적이고 노골적이고 잔혹하지는 않았다.

 

크게 여섯 명이 이야기를 이끌고 나간다. 가장 핵심은 의사 다메요리다. 이 의사는 아주 특이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현실적이지 않는데 아주 매력적이다. 그 능력은 환자를 진찰하면 그 인물의 병을 알고, 중병인 경우는 완치가 될 수 있는지도 같이 아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능력을 가진 또 한 명의 천재의사가 등장한다. 시라가미다. 시라가미는 자신의 능력을 병원의 확장에 사용한다. 오만하고 도덕적 관념이 그렇게 투철하지 않다. 자신의 의료법인이 더욱 확장되길 바라는데 그 장애 요소 중 하나로 다메요리의 진료소가 등장한다. 그리고 다메요리가 보낸 환자 모두가 죽었다는 사실을 파악한다. 이 둘은 비슷한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그 능력을 사용하는 방식이 다르다.

 

소설의 문을 여는 것은 이시카와 일가족 살인사건이다. 아주 잔혹한 네 가족 살인사건인데 단서가 없어 수사가 지지부진하다. 그러다 아내가 신문에 낸 글과 사진을 보고 시체들이 놓여 있는 모습이 똑같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현장에서 발견된 신발 크기와 모자 크기는 모순되어 있어 충분한 단서가 되지 못한다. 이 수사 현장에 참여한 하야세 형사는 자신이 체포한 범인이 형법 제39조 덕분에 풀려난 경험을 했다. 때문에 이 조항을 대단히 싫어한다. 작가는 하야세를 통해 이 법조항의 의미를 되새긴다. 새로운 경험이 쌓이면서 하야세가 변화하는데 작가는 그렇게 녹녹하게 이야기를 풀어내지 않는다.

 

서로 다른 인물들을 중간에서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인물이 나미코다. 남편과 사별한 후 아들과 살다가 이상한 남편과 재혼 후 다시 이혼했다. 다메요리의 지갑을 주은 것으로 인연을 맺었다. 그녀 자신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고, 그녀와 관계된 사람들이 문제를 일으킨다. 그 두 사람은 바로 무통환자 이바라와 나미코의 전남편 사다다. 사다의 행동이나 심리 표현을 보면 도저히 나미코와 연결될 수 없는 인물이다. 상황이 묘하게 꼬이면서 결혼했다. 하지만 행동에 문제가 생기면서 이혼당했다. 이후 나미코 주변을 머물면서 스토킹한다. 그의 집착과 찌질하고 조악한 행동들은 읽는 내내 기분이 나빴다.

 

제목과 관련해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이바라다.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것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지 못한다. 그가 좋아하는 사람이 둘 있다. 하나는 맹신하는 시라가미고. 다른 하나는 동경하는 나미코다. 일상에서 그는 자신의 성격 덕분에 직장에서 아주 꼼꼼한 일처리를 한다. 하지만 그의 취직은 시라가미의 도움이 없었다면 불가능했다. 그가 좋아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수술하는 장면을 보는 것이다. 이것은 나중에 아주 참혹하고 잔혹한 장면으로 이어진다. 전혀 예상하지 못한 장면이다. 작가가 이렇게까지 묘사하고 설명할 필요가 있었을까 할 정도다. 한 편의 공포 영화를 보는 것 같았다.

 

여러 명의 인물이 등장하고, 잔혹한 장면이 나오고, 특별한 능력을 가진 의사들이 있지만 그래도 역시 다루고 있는 주제는 형법 제39조다. 읽으면서 몇 번이나 이 주제가 마음을 흔들었다. 이전에 본 소설이나 영화의 한 장면들이 머릿속을 스쳐지나가면서 나의 의견을 물었다. 쉽지 않다. 심실상실자와 심실박약자의 범위가 너무 광범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한국에서도 술에 취해서, 혹은 약에 취해서 이런 사건 사고가 자주 일어나지 않았는가. 정치인들도 술에 취했다는 핑계를 얼마나 많이 대었는가. 음주운전 사고도 마찬가지다. 물론 소설은 이보다 더 잔혹한 살인을 다루고 있다. 선의의 피해자를 막아야 한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피해자 가족을 생각하면 또 머릿속이 복잡해진다.

 

이시카와 가족 살인사건의 범인은 쉽게 알 수 있다. 하지만 작가는 여기서 조금 더 나간다. 반전을 위한 장치를 만든 것이다. 하야세 형사의 마음과 시선을 따라가면 형범 제39조가 다양한 의미로 다가온다. 이 소설에서 가장 의미심장한 대목들이다. 현직의사의 너무 사실적인 묘사가 마음을 불편하게 만들지만 논쟁거리를 만들었다는 점에는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이전 작품도 역시 논쟁적이고 자극적이었다. 단순한 오락소설로 읽을 수도 있지만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국민들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주제다. 점점 범죄자 연령이 낮아지고, 사건이 잔혹해지는 요즘은 인권을 위해 만든 법들의 허점이 자주 드러난다. 작가가 마지막에 남겨 놓은 여운은 독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