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토의 검 소설NEW 3
김이수 지음 / 나무옆의자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치부 기자인 김영민에게 한 통의 전화가 온다. 형 영석이가 교통사고로 죽었다는 전화다. 병원으로 차를 몰고 달려간다. 곽 형사는 단순히 뺑소니가 아니라고 한다. 귀가 잘려 있고, 잘린 귀가 양복 주머니에서 나왔다. 두개골 함몰까지 있다. 타살이 분명해보이지만 부검을 해야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이 참혹한 정보를 어머니에게 제대로 전달하지 않는다. 형이 근무했던 세관을 찾아간다. 직원들의 반응이 그렇게 호의적이지 않다. CCTV에 찍힌 영상으로 그를 절도범으로 몰고 간다. 그리고 화자 김영민 가족의 불편한 내역이 조금씩 나온다. 결코 평범하지 않은 가족이다. 이제 본격적인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야기는 두 개의 축으로 진행된다. 하나는 형을 죽인 사람이 누구냐? 하는 것과 형이 들고 나온 것이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제목 ‘가토의 검’은 임진왜란 당시 왜장 가토 기요마사가 토요토미 히데요시에게서 사사받은 검이다. 단순히 유물이나 문화재 정도로 생각할 수 있는 검으로 치부하기에는 이 검에 부여하는 일본 극우파의 정치적 의도가 무섭다. 여기에 한국 정치인들의 야망이 곁들여진다. 아무 관계도 없는 것 같은 사건이 엮이고 꼬이면서 예상하지 못한 모습을 드러낸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은 역시 김영민이다.

 

소설 속에 드러난 사실들을 김영민이 홀로 알아낸 것은 아니다. 사건 전후에 있었던 몇 가지 사실들이 기자로서의 감각을 자극한다. 그 중 하나가 양 보좌관이 언론에 홍보한 통도사 금란가사다. 모르는 사람이 보기에는 국회의원이 노력해서 문화재를 돌려받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김영민의 후배기자 아영의 질문은 그 이면을 돌아보게 한다. 가토 가문이 이것을 쉽게 돌려주지 않을 것이란 의견이다. 이것을 밝혀내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 바로 김영민이다. 양 보좌관의 사무실에 몰래 들어가 수많은 자료를 복사한다. 여기에 가토의 검이 나온다. 이 정보를 조금 더 조사하기 위해 일본 유학파인 아영에게 해석을 부탁한다. 이 자료는 이제 일본에서 교수를 한 아영의 아버지에게 넘어가고, 단순한 문화재처럼 보였던 검의 의미가 드러난다.

 

가토의 검이 지닌 의미가 드러나면서 용의자는 축소된다. 그가 조사한 것들이 담당형사인 곽 형사에게 전달된다. 기자의 감과 조사가 범인을 정확하게 잡은 것처럼 보이지만 곽 형사의 조사도 만만찮다. 가장 유력한 용의자인 양 보좌관의 알리바이가 확실하다. 그럼 누굴까? 이야기는 가장 원론적인 부분으로 넘어간다. 그리고 영민의 과거가 하나씩 드러나고, 그의 숨겨진 야욕이 수면 위로 떠오른다. 지방대 출신 지방신문 기자에서 중앙으로 옮겨 성공한 그의 과거는 어떻게 보면 입지전적이지만 순간 드러나는 폭력성은 그를 다른 시각에서 보게 만든다.

 

형의 살인을 둘러싼 진실과 가토의 검이 지닌 의미 등이 엮이면서 단순한 살인사건을 벗어난다. 하지만 그 바닥에 깔려 있는 것은 가장 원초적인 것이다. 그래서 마지막 장에서 진실이 밝혀질 때 놀라지만 그렇게 큰 충격으로 다가오지 않았다. 작가가 많은 사실을 숨긴 채 전체 이야기를 이끌고 나갔다. 다만 김영민 가족의 과거사를 통해, 한국의 정치 현실에 대한 아영의 개탄을 통해 그 단서를 조금씩 흘려보낼 뿐이다. 특히 김영민의 과거는 그가 종국적으로 추구하는 바와 그대로 이어져 있다. 개인적으로 작가의 이야기 구성이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마지막 부분을 읽으면서 취향을 탔다. 이런 종류의 트릭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의미심장한 단서를 하나 던져놓으면서 그 결말에 여운을 남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