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없는 나라 - 제5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이광재 지음 / 다산책방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5회 혼불문학상 수상작이다. 이 문학상 수상작을 처음 읽는다. 이전 수상작들을 찾아보니 제목을 아는 소설이 몇 편 있다. 딱 그 정도다. 소설 <혼불>을 읽어보지 못한 관계로 이 문학상이 추구하는 바를 정확하게는 모른다. 다만 <혼불>이 재간되기 전 절판되어 많은 독자들이 읽기를 원했다는 것 정도만 알고 있다. 대학을 졸업한 후 장르 소설을 제외하고 단 한 번도 대하장편소설을 읽은 적이 없는 것을 감안하면 당연할 수도 있다. 진득하게 작품을 읽기에는 끈기가 너무 없어진 것이다. 그래도 늘 좋은 대하장편소설을 욕심내고 형편이 되면 산다.

 

구한말 동학농민혁명을 배경으로 했다. 요즘처럼 국정교과서로 역사 문제가 시끄러운 이때, 이 소설은 우리가 역사 시간에 배웠던 동학농민혁명을 다른 시각에서 보게 한다. 단순히 동학도가 남도에서 흥기하여 무작정 한성으로 진격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왜 이런 일이 벌어지게 되었는지 그 당시 조선과 조선을 둘러싼 나라들 사이의 역학관계를 간결하게 다루었다. 실제 다루고 있는 내용이나 인물 등을 생각하면 한 권으로 압축한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작가는 많은 가지를 쳐내고, 핵심 되는 내용과 인물을 통해 그 시대를 재현해내었다. 그 속에는 동학농민군을 무식하고 미신에 휩싸인 무리였다는 속설을 뒤집는 것도 적지 않다. 아니 새로운 시대를 열려는 의지가 더 굳건하게 담겨 있다.

 

지금까지 내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작가의 상상력의 부산물인지 알 수 없지만 전봉준과 대원군의 만남은 아주 놀라운 일이다. 자신들의 목적을 위해 상대와 힘을 합치고, 권력을 잡은 후 다시 내부적으로 싸우려는 의도가 나올 때 병법의 기본 원칙이 느껴졌다. 이렇게 소설은 조선 조정과 그곳을 둘러싼 권력의 관계자들이 등장하여 이야기를 이끌고, 다른 한 축은 전봉준과 그를 둘러싼 사람들의 삶이 내용을 가득 채운다. 개인적으로 나의 관심을 끌었던 부분은 전봉준 측이 아닌 일본의 힘을 이용하려는 의도를 가졌던 김교진 등의 세력이다. 역사의 결과를 알고 있는 독자의 시점에서 본다면 그들의 노력이 얼마나 무의미하고 무서운 것인지 알 수 있다.

 

솔직히 말해 소설을 조금 힘겹게 읽었다. 문체나 문장이 그렇게 가독성이 좋은 편이 아니기 때문이다. 어쩌면 취향에 맞지 않는지도 모르겠다. 문장에 호흡을 맞추다 보면 읽는 속도가 떨어진다. 최근 나의 독서가 이런 종류와 동떨어져 있다 보니 더 그런 것인지 모르겠다. 여기에 적지 않은 인물들이 주연 및 조연으로 등장하는데 어느 순간 한두 명씩 사라졌다. 역사의 한 장을 장식하는데 그들이 개인이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고 해도 소설 속에서 비중 있게 나왔다면 그 어떤 흔적이라도 남았으면 했는데 보이지 않았다. 소설 전체를 통틀어 가장 통찰력 있는 인물이었던 이철래가 너무 힘없이 사라졌기에 더 그랬는지 모르겠다. 그 당시 힘의 역학 관계를 가장 잘 파악하고, 자신의 양심 때문에 고뇌하던 그는 시대를 앞선 모습이었다.

 

녹두장군, 전봉준. 민요로도 남아 있는 그를 중심에 놓고 이야기를 풀어가지만 그의 모습은 아주 인간적이다. 동학 접주들을 만나 세를 규합하고, 그들을 이끌고 봉기하지만 현실 속에서 그는 아주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가장 많이 떠오른 것은 전봉준을 한양까지 끌고 가는 과정을 다룬 한승원의 <겨울잠 봄꿈>이었다. 이번 소설에서는 아주 짧게 다루지만 두 작품 속 전봉준과 그들 둘러싼 사건들이 조금은 다르게 묘사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아쉬운 대목이 있다. 바로 그들의 의지와 노력과 혁명이 역사에 의해 제대로 평가받을 것이라고 말하는 부분이다. 결과를 아는 작가의 의지가 너무 노골적으로 개입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가장 큰 아쉬움은 분량이 적어 충분한 내용을 담아내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 시기가 한국근대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어머어마한 것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역사와 작가의 상상력으로 세밀하게 채워 넣을 이야기가 너무 많이 눈에 띄기 때문이다. 친일로 돌아선 사람들의 심리와 그 당시의 역학관계를 제대로 다루었다면 아주 멋진 정치 소설이 등장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너무 방대한 이야기의 많은 가지를 쳐내면서 적절하게 풀어낸 것에는 박수를 치지만 말이다. 현재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현실을 돌아보고, 비교하고, 분석한다면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