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드런 액트
이언 매큐언 지음, 민은영 옮김 / 한겨레출판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읽는 이언 매큐언의 소설이다. 최근에 문학 팟캐스트 방송에 그의 소설 <속죄>가 알려지면서 많은 대중의 사랑을 받고 있는 작가다. 나의 경우 이전부터 그의 소설을 좋아했다. 줄리언 반스와 같은 다른 영국 유명 작가의 소설을 읽을 때 집중과 몰입이 힘들었던 것과 비교해서 이언 매큐언은 늘 이야기 속으로 나를 끌고 들어갔다. 최근 10년 이내에 가장 좋아하는 영국 작가가 아닐까 생각한다. 아무 것도 모른 채 읽었던 <암스테르담> 이후 단 한 편도 나를 실망시킨 적이 없다. 그리고 이번 소설도 마찬가지다.

 

칠드런 액트. 아동법이다. 이 소설의 소개 글에서도 백혈병에 걸린 소년이 종교적 신념으로 수혈을 거부하는 상황을 먼저 내세웠다. 작가가 개인적으로 관심이 많은 부분이 이 아동법 부분이라고 한다. 소설을 쓰기 위해 아동법 관련 판결문을 많이 읽었다고 하는데 소설에 나오는 몇몇 판결문은 그 영향 덕분인지 아주 멋지다. 이 소설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 되는 여호와의 증인 신자 소년에 대한 판결문에서 이런 장점이 아주 잘 드러난다. 물론 수사학적인 부분이 정치와 종교를 감안하여 서술되다보니 약간 둘러가는 표현이 있다. 하지만 자신의 의지를 관철하기 위한 판사의 판결은 정확하고 분명하다. 이때 사용한 문장이 분명 법원 판결문이라 건조할 텐데 이상하게 나에게는 그 건조함 너머의 감정이 살짝 다가온다.

 

영국 고등법원 판사인 피오나 메이가 주인공이다. 그녀는 어느 일요일 밤 남편에게서 황당한 이야기를 듣는다. 그것은 아내와의 섹스가 없었고, 자신의 열정을 실현하기 위해 다른 여자와 연애를 하겠다는 선언이다. 배우자의 부도덕이 그대로 드러나는 부분인데 읽으면서 어떻게 이런 말을 할 수 있지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그런 다음 왜 이 둘의 섹스가 없었는지 피오나의 시점에서 이야기를 들려준다.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이야기다. 그리고 이 부부의 나이가 피오나 오십아홉 살, 남편 잭이 육십한 살임을 감안하면 놀라운 표현이 아닐 수 없다. 아니면 나의 선입견이 문제일 수도 있다.

 

판사인 그녀에게 하나의 급한 소송이 들어온다. 그것은 바로 소개 글에 인용된 백혈병 소년의 수혈 논쟁이다. 여호와 증인의 가정에서 태어난 소년은 종교적 신념에 의해 수혈을 거부한다. 병원은 소년이 아직 열여덟 살이 아니고, 의학적 치료를 위해서라도 수혈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부모와 아이의 거부를 법원 판결 후 집행하고자 하는 의사의 의지다. 과학적으로 검증된 수혈을 단순히 종교적인 이유로 거부함으로서 죽게 된다는 것이 비정상적으로 여겨진다. 피오나의 직무 혹은 사명은 아이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이 합리적이고 합법적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법적 성인이 되는데 이제 겨우 3개월 남은 애덤을 만나러 간다.

 

종교적 신념. 참 어려운 부분이다. 비종교인의 입장에서 본다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하지만 그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일이다. 애덤이 수혈을 거부하는 것이 자신의 의지인지 아니면 부모의 의지가 투영된 것인지 판단해야 한다. 부모도 역시 아들이 죽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 단지 종교가 이것을 거부하니 자신들도 어쩔 수 없다. 자신들이 수혈을 중지해달라고 법원에 요청까지 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진짜 속내가 드러나는 것은 피오나의 판결 때문이다. 애덤과 피오나가 병원에서 함께 보낸 시간은 그녀가 판결문을 쓰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애덤에게도 역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피오나가 판결을 위해 겪게 되는 몇 가지 이야기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소년이다. 하지만 이야기 전체를 끌고 나가는 것은 피오나의 일상과 삶이다. 남편과의 불화와 자신의 판결에 의해 죽게 된 한 아이. 물론 이 아이는 그녀의 판결이 아니었다고 해도 죽었을 것이다. 이런 가족과 아동에 대한 법률적 판결을 내려야 하는 그녀의 삶을 날카롭고 건조하고 정확한 문장 속에 풀어놓았다. 이것은 상황을 외부에서 좀더 객관적인 시선으로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판결과 현실의 문제가 엮인 듯하면서 따로인 현실을 만들어내면서 법정 밖에서 그녀의 판결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준다. 그리고 다시 그녀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도 같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