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를 잡아먹은 오리 - 2015년 제1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김근우 지음 / 나무옆의자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11회 세계문학상 대상작이다. 오리가 고양이를 잡아먹다니 제목부터 특이하다. 낯익은 작가 이름인데 한때 판타지 소설 쪽에서 유명했던 그가 맞다. 고등학교 때 쓴 <바람의 마도사>란 작품으로 이름을 알렸고, 그 후 몇 편의 판타지 소설을 쓴 경력이 있다. 내가 마지막으로 그의 소설을 읽은 것은 <피리새>다. 다른 초기작을 사놓고 어딘가에 쌓아두고 있기는 하다. 이름으로 검색하니 깜빡 잊고 있던 작품들도 나온다. 제대로 그의 작품들을 읽은 적이 없어 쉽게 판타지 소설에 대한 평가를 내릴 수는 없다. 다만 첫 작품과 너무 다른 이야기 방식이라 놀랐던 것은 기억이 난다. 그런데 이번에는 문학상까지 받았다. 이 변화가 놀랍다.

 

이 소설에서 이름이 제대로 나오는 것은 딱 하나 있다. 바로 오리에게 잡아먹힌 고양이 호순이다. 호순이의 복수를 하려는 노인도, 이 일을 돕는 두 명의 남녀도, 그의 아들이나 손자도 이름이 불린 적이 없다. 이 익명은 소설이 끝날 때까지 이어진다. 단지 마지막에 서로의 이름을 알려준다고 하지만 실제로 불린 적은 없다. 우리가 너무 쉽게 통성명을 나누는 세상에 살다 보니 이런 관계가 이상하게 보인다. 하지만 실제 이름을 알려준다고 해도 그것을 가슴 속에 담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다만 필요에 의해 이름을 기억하고 부를 뿐이다. 이 소설 속에 나오는 사람들도 처음에는 그런 관계였다. 자신들의 이익과 목적에 의해 만나고 헤어지는 관계 말이다.

 

등장인물이 몇 명 없고, 이야기 구성도 간단하다. 위에서 말한 사람들이 등장인물 전부다. 아! 한 명 더 있다. 엑스트라처럼 오리만 열심히 찍고 있는 그들을 보고 호기심 때문에 그들의 직업을 물어본 할머니 한 분 있다. 물론 불광천 주변을 오가는 사람이나 여기저기에서 부딪히는 사람이 있을 수는 있지만 그들은 단지 배경일 뿐이다. 어쩌면 이 배경으로 등장하는 사람들보다 불광천에 서식하는 오리들이 더 중요할지 모른다. 실제 할아버지의 의뢰에 의해 호순이를 잡아먹은 오리를 찾기 위해 매일 일당 5만 원에 오리 사진을 찍으니 말이다.

 

이야기는 말도 되지 않는 의뢰를 다룬다. 할아버지가 사랑하는 고양이 호순이를 잡아먹은 오리를 찾는 것이다. 이 일을 하기 사전 단계로 할아버지는 불광천에 서식하는 오리들의 사진을 찍으라고 한다. 자신이 호순이를 잡아먹은 오리의 모습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일을 하는 사람들의 첫 생각은 일당 5만 원은 좋지만 과연 오리가 고양이를 잡아먹을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며칠 동안은 돈 때문에 이 일을 하지만 정상적인 생각으로 할 수 없는 일이다. 할아버지는 계속해서 이 일을 시킨다. 전직 장르소설 작가인 화자도 이 일을 고민하지만 꾸준히 한다. 이 일이 이어지면서 이 일에 동참한 사람들의 사연이 짧게 나오고, 이런 저런 사건도 생긴다. 이 과정을 작가는 큰 과장없이 현실적으로 다룬다. 비현실적인 것으로 꼽으라면 너무 쉽게 이 일에 대한 회의와 미안함을 가지는 것이다.

 

작가는 소설 속에 자신의 경험을 녹여내었다. 실제로 작가가 판타지 소설가였다. 얼마나 그 경험이 현실적으로 담겨 있는지는 모르지만 많은 장르 소설가들이 알게 모르게 사라졌다. 최소한 한국에서 판타지 소설가에서 일반 문학상을 받을 정도로 성장한 작가는 없다. 그런 점에서 작가의 이 발전과 성공은 이 다음을 기대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전 경력이 그의 문학에 상상력을 더해주면서 일반 작가와 차별화되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어쩌면 더 황당한 설정으로 더 강한 블랙 코미디를 보여줄지도 모르겠다. 김근우 작가의 세계문학상 수상을 축하하고 오랜만에 그의 소설을 읽어 반가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