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1970
유하 원작, 이언 각색 / 비채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개봉한 영화 <강남 1970>의 시나리오를 소설로 각색한 책이다. 유하는 이 영화로 <거리 3부작>을 완성했다고 말한다. 먼저 이 영화를 보고 온 여직원들의 말에 의하면 재미있다고 한다. 책이 먼저 손에 들어온 관계로 영화 보기는 솔직히 살짝 뒤로 밀렸다. 어느 한쪽을 보고 난 후 그 이미지가 계속 남아 있는데 영화가 소설보다 더 심해 극장으로 발길을 쉽게 돌리지 못했다. 하지만 이 소설을 읽으면서 영화 속 장면들처럼 다가오는 것들이 많았다. 서사나 설명이 간략하게 다루어진 채 빠르게 이야기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솔직히 강남 형성기에 대한 소설만 놓고 본다면 황석영의 <강남몽>이 훨씬 잘 뛰어나다. 실제 한국의 역사와 조폭을 엮어 강한 시대성을 잘 풀어내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먼저 떠오른 책도 바로 <강남몽>이다. 무대와 주인공들의 역할이 조폭으로 설정된 부분이 많이 비슷했기 때문이다. 황석영의 소설이 과연 어디까지 영향력을 끼쳤는지 솔직히 모르겠지만 강남 형성과 조폭의 연관성을 더 잘 알고 싶다면 <강남몽>을 추천하고 싶다. 그렇지 않고 영화를 본 후 그 느낌이나 더 세밀한 이야기를 알고 싶은 사람에게는 이 소설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야기 구조는 간단하다. 두 넝마지기 용기와 종대가 조폭의 하수인으로 일하다가 우연히 서로 다른 길을 가게 되고, 강남 개발 사업에 엮이면서 다시 만나 일확천금의 꿈을 꾼다는 구성이다. 하지만 이들은 그 시대 권력의 하수인이었을 뿐이다. 권력의 힘 앞에 너무나도 무력하다. 더 좋은 줄을 탄 후 성공을 꿈꾸지만 그 줄이 언제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 조폭들의 힘겨루기와 폭력은 살인으로 심심치 않게 이어지고, 배신은 또 다른 배신을 불러온다. 아차 하는 순간 등에 칼이 꽂힐지 모르는 상황이 벌어진다. 그래도 돈의 유혹은 너무 강하다.

 

종대 역은 이민호가, 용기는 김래원이 맡았다. 소설을 읽으면서 이 배우들의 이미지는 그대로 머릿속에서 살아 움직였다. 이 둘은 고아원에서 만나 친형제처럼 살아간다. 넝마지기다. 이들의 운명에 변화가 생기는 것은 철거와 야당 정당대회를 공격할 폭력배 동원이다. 먹고 살기 위해 야당 정당대회를 공격한다. 이때 우유를 잘 못 먹은 용기가 화장실에 갔다가 쓰러져 다른 패거리 버스에 실려간다. 여기서 용기와 종대의 운명이 갈린다. 용기는 양기택 파로 가고, 종대는 남순철 파 중간보스 강길수의 집에 들어간다, 하지만 강길수 집에 암살자가 나타나면서 조폭으로 성장할 기회를 놓친다. 길수는 다리에 칼을 맞고, 보스 남순철은 죽는다. 조직은 깨어지고 길수는 세탁소 주인으로 변한다.

 

시간이 흐른 후 두 주인공의 삶이 펼쳐진다. 용기는 양기택 파 중간보스로 성장하고, 종대는 창배와 함께 해결사 노릇을 한다. 그러다 만난 민 마담은 그들을 전혀 다른 세상으로 인도한다. 바로 정치권에서 은밀하게 꾸미고 있던 강남 개발 계획이다. 이 당시 땅투기는 극대화되는데 이들의 일부가 압구정 졸부와 오렌지족으로 발전한다. 이야기는 그들로 이어지지 않고 이 투기의 한 복판에서 권력의 충실한 하수인 역할을 맡은 조폭들로 이어진다. 이 조폭들은 권력 앞에 너무나도 무력하다. 권력은 이들을 소모품으로 다룬다. 피가 튀고 살인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와중에 배신은 조용히 은밀하게 벌어진다.

 

영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해서인지 굉장히 속도감 있게 읽힌다. 빠른 장면 전환과 천민자본주의의 속성은 몇 사람의 말과 행동으로 그대로 드러날 뿐이다. 두 형제의 우정도 자신의 삶 앞에는 어떻게 변할지 모른다. 그 와중에도 사랑은 잔잔히 펼쳐진다. 종대의 순수한 사랑은 이 폭력적인 이야기 속에서도 조용히 빛을 발한다. 용기의 사랑은 자주 보던 조폭영화의 한 장면이다. 너무 빠르게 변한 시대의 풍속 때문인지 아니면 영화에서 비롯한 한계 때문인지 풍성하고 농밀한 이야기는 생략되어 있다. 소설의 완성도를 바라고 읽기는 부족한 점이 많지만 영화를 보기 전이나 후에는 나쁘지 않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