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 칠드런 - 2014 제8회 블루픽션상 수상작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76
장은선 지음 / 비룡소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료 기술의 발달로 노화가 멈추고 젊음을 유지할 수 있게 된 가까운 미래 이야기다. 사고가 나지 않으면 죽지 않는 사회가 만들어지면서 인구 문제가 심각해진다. 출산율을 낮추지만 죽는 사람이 없다보니 인구는 줄지 않는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식을 낳은 사람들에게 자식세를 걷는다. 하지만 이것도 시간이 흐르면서 부의 상징처럼 된다. 돈이 없거나 신념 등으로 아이를 몰래 낳거나 자식세를 부담할 재력이 없어 아기를 버리는 부모도 생긴다. 이런 아이들은 국가 보육시설이나 학교에서 자란다. 이 소설의 무대로 그 중 하나인 고등학교다.

 

문도새벽. 그는 부모가 사고로 죽으면서 비싼 자식세를 내기 싫은 친척들에 의해 버림받아 사립고등학교로 배정된다. 이 학교는 몰래 낳았다가 걸린 아이거나 버려진 아이들이 공부하고 생활하는 곳이다. 24시간 이 학교 안에서만 살아야 한다. 그들이 밖으로 나갈 수 있는 것은 성인이 되어야만 가능하다. 나이가 되었다고 일반적인 성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정책에 의해 상위권 몇 할 정도만 성인이 될 수 있다. 나이가 먹으면 성인이 아니냐고? 이 미래 사회는 성적이 떨어지는 낮은 등급의 학생들을 중성화시켜 밖으로 내보낸다. 한국의 교육 현실을 바탕으로 조금 더 과격하게 나간 설정이다.

 

통치자는 피지배자의 불만이 자신에게 오는 것을 막기 위해 피지배자들 사이에 갈등을 불러일으킨다. 늘 자신과 붙어사는 사람들이 갈등의 대상이다. 이 소설 속에서 학생들의 적은 학생들이다. 하나의 무리는 몰래 낳았다가 잡힌 아이들을 헤이즈라고 하고, 다른 하나는 넘버즈라고 부른다. 새벽 같이 부모가 자식세를 내는 아이들은 등록아동이다. 각각 다른 환경 속에서 살아온 이들은 각각의 무리를 만들고, 서로 대립과 갈등을 빚어낸다. 그들은 성적순이라는 가혹한 환경 속에서 스트레스와 불만 등을 수시로 표출하는데 그 대상은 항상 같은 학생들이다. 실제 자신들을 이런 환경 속으로 몰아넣고 그들을 이간질하는 성인들의 모략을 알아채지 못하고 말이다. 이 사실을 깨닫는 인물이 바로 문도새벽이다. 새벽이란 이름이 의미하는 바도 바로 여기에 있다.

 

등록아동이라는 이유만으로 다른 아이들에게 놀림과 구타의 대상이 되는데 그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학생이 있다. 바로 이오다. 전교 1등인 아이다. 그는 성인능력시험에 좋은 점수를 받고, 자신의 부모를 찾을 희망을 품고 있다. 새벽에게 잘 해 준 이유는 자신이 모르는 외부세계 이야기를 듣고 공부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다음 시험에서 새벽이 1등을 한다. 늘 1등이었던 이오가 2등으로 떨어진 것이다. 이것이 이오에게 엄청난 충격이다. 새벽에게 멀어지고 질투하고 방해한다. 그리고 다음 시험에서도 1등을 하지 못한다. 결국 옥상에서 뛰어내린다. 그가 1등을 하지 못한 이유는 당연하다. 새벽은 유전자 조작으로 암기로 시험치는데 최적화된 아이이기 때문이다. 작가는 이오를 통해 성적 비관으로 자살한 학생들과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같이 풀어낸다.

 

작가가 자신의 모교를 방문하고 놀라 이 소설을 썼다고 한다. 세상이 발전하는 와중에 학교는 과거와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 아니 오히려 퇴보했다. 잘 암기하고 더 빠르게 문제를 실수 없이 푸는 학생이 우수한 학생이다. 시험문제는 현실과 관계없이 점점 어려워진다. 그리고 그들은 이것을 변별력이란 말로 포장한다. 학생들의 창의성은 사라지고, 기계적인 기술만 늘어난다. 토익마저 영어실력이 아닌 기술이라는 광고가 나왔을까. 내신이 있지만 선행학습을 한 학생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고, 부모의 재력도 일부의 학교에서는 중요한 평가의 대상이 된다. 디스토피아지만 우리의 현실이라는 문구 그대로다.

 

이야기는 빠르게 진행된다. 폭력은 현실적으로 다루어지고, 인권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성적의 등급이 계급처럼 작동하고, 아이들은 이것을 아무런 비판없이 받아들인다. 주요 인물 간의 갈등이 있지만 길지 않은 분량 속에 풀어내려고 하다 보니 깊이가 조금 부족하다. 새벽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없어 그의 능력과 자각이 어디에서 비롯한 것인지 알 수 없다. 어떻게 보면 새벽이 체제 속에서 가장 안락한 생활을 했던 인물인데 갑자기 학교로 왔다고 인권을 외치는 것은 조금 모순된 설정이다. 나만의 착각인가? 그리고 마지막 장면을 보면 절망이 아닌 희망을 다루고 있는데 이것을 둘러싼 수많은 이야기들이 갑자기 사라진 느낌이다. 문장과 설정과 진행 등이 너무 익숙해 신선함이 떨어진다. 그러나 학교와 학생들의 생활과 모습은 너무 현실적이라 오히려 섬뜩하기조차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