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데이 모닝스
산제이 굽타 지음, 최필원 옮김 / 느낌이있는책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한 통의 호출 문자가 온다. ‘311. 6’ 이 문자가 호출기로 올 때 의사들은 긴장한다. 뭔가 사고가 생겼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이 문자의 의미는 월요일 새벽 6시 311호에서 모임이 있다는 통지다. 병원은 태생적으로 사고가 일어날 수밖에 없고, 의사들은 그 사고 속에서 배우고 익히면서 성장한다. 하지만 사고를 낸 당사자는 이 호출문자가 좋을 리가 없다. 실수나 사고에 대해 다른 의사들의 질타와 비난을 견뎌야 하고, 자신도 언젠가 이 자리에 설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떨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사고나 실수는 병원의 절차나 시스템을 개선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이 소설은 한 명의 의사가 주인공이 아니다. 많은 의사들이 등장한다. 그들 모두가 실수를 한두 번씩 한다. 어떤 의사는 검사 하나를 놓쳐 죽음에 이르게 하고, 어떤 의사는 죽은 것으로 잘못 판단하여 장기 각출을 할 뻔한다. 또 누군가는 레지던트에게 믿고 맡겼다가 요리사의 후각를 마비시킨다. 누구보다 베테랑인 의사가 쉬운 수술을 실수해 환자를 식물인간으로 만들기도 한다. 이런 실수들은 그 자신들이 의도한 것이 아니다. 순간의 만용이, 아니면 믿음이, 아니면 편견이 실수를 만든 것이다. 이 과정을 여러 명의 의사들의 개성을 살리면서 빠르게 풀어낸 것이 바로 이 소설이다.

 

첫 시작은 응급실이지만 마지막은 외과수술실이다. 응급실에 한 번이라도 간 사람들은 알 것이다. 인턴이나 레지던트들이 얼마나 정신없고 무력한지. 이 무력함은 바쁜 일정에 제대로 쉬지 못한 상태에서 일을 하다가 생긴 일일수도 있지만 경험 부족도 한 몫 한다. 현대 의학이 발전함에 따라 의사들의 전문 분야는 더 세분화되고, 그들이 알고 있는 것은 점점 더 작아진다. 많은 것을 배우고 익히지만 인간에 대해, 병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이전보다 더 작다. 물론 이런 의사가 있기에 환자들의 고통이나 상처 등이 줄어들고 사라진다.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한계는 분명하다. 작가는 이 한계와 실수를 중심으로 의사들의 세계를 세밀하게 그려낸다.

 

매력적인 인물들이 참 많이 나온다. 미식축구 선수 출신인 조지, 탁월한 외과수술 실력일 지닌 타이, 매력적인 외모에 한 명의 좋은 의사를 키우려고 노력하는 티나, 무엇보다 일을 우선하면서 의사의 길을 강조하는 시드니, 부족한 영어 실력과 조직에 잘 동화되지 못하지만 열정은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한국인 성 박, 그리고 이 외과 의사들을 모두 총괄하는 하딩 등. 이들 모두가 한 명의 의사로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한다. 하지만 실수나 사고는 자신들의 의지와 상관없이 일어난다. 뛰어난 의사지만 가정이나 연애에 문제가 생기는 것도 쉽게 생긴다. 그곳이 바로 병원이다. 이 병원의 이름은 첼시 제너럴이다.

 

“죽음과 합병증은 의사들의 숙적이다. 그리고 가끔 그것이 운명적으로 다가올 때가 있었다. 특별한 이유도 없이. 나쁜 일은 선한 사람들에게도, 좋은 의사들에게도 찾아들 수 있었다. 가끔은.” 이 문장은 타이가 실수했을 때 나온 것이다. 우리가 생활하면서 늘 경험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것을 이겨내지 못하고 자살하는 의사도 있다. 너무 당연하다는 듯이 지나가는 의사도 있다. 이 차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될 지 아직은 잘 모르겠다. 개인적으로 자살보다는 당연하다는 듯이 지나가는 의사가 더 필요할 것 같다. 하나의 조건을 붙이자면 다음에도 같은 실수를 하지 않는다는 것 정도다. 한 명의 의사를 만드는데 드는 비용과 시간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의학의 현실을 표현하는 문장이 있다. “의술은 세 걸음 발전할 때마다 꼭 두 걸음씩 퇴보했다. 의학 지식의 한계는 엄청나게 방대했지만 그에 비해 의사들이 습득할 수 있는 지식은 굉장히 미비한 수준이었다. 의사도 가끔은 그냥 물러서서 몸의 자연 치유 능력에 모든 것을 맡겨야 할 때가 있었다.” 이 문장은 이전까지 읽은 몇 권의 의학 서적에서 혹은 다큐에서 본 것이다. 하지만 전적으로 이 말을 신봉하는 것은 미개한 짓이다. 현대 의학의 엄청난 발전 중 하나가 외과 수술이고, 이로 인한 혜택도 엄청나기 때문이다.

 

먼데이 모닝에 일어난 논쟁 중 하나를 이야기하고 싶다. 그것은 수술 현장에 의료기기 영업사원들이 들어와서 수술을 도와주는 것이다. 찬성하는 의사들은 이들이 이 기계를 더 잘 알고 더 잘 다룰 수 있기에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이 논쟁을 보면서 의사의 역할이 점점 축소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의사의 정신이 사라지고, 기능인으로 변하는 듯한 느낌이다. 표결의 결과는 그들이 계속해서 수술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 표결의 뒤에 숨겨진 경제와 정치 논리는 우리로 하여금 의사를 점점 더 신뢰할 수 없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 속에 나오는 멋진 의사들이 있어 우린 그들을 믿고 병원으로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